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수관
d라이브러리
"
배수관
"(으)로 총 2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물 먹는 변기는 다이어트가 시급?!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느려져 배설물이 멈춰설 가능성이 크다” 고 설명했다. 서 교수는 초절수 변기에 맞는
배수관
이 설치되지 않는 한 문제가 생긴다고 덧붙였다. 그는 “사이펀 방식의 변기는 베르누이 정리로 절수한계를 계산할 수 있다” 며 “최소 5.8L의 물을 이용해야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고 말했다. 수세식 ... ...
Part 1. 변기물을 내리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변기통 중앙에 모이면 변기 아랫부분에 있는 트랩은 물에 잠기고, 물에 대기압이 작용해
배수관
을 따라 물이 흘러간다. 관에 물이 꽉 차면 오물이 하수구로 빠져나간다.배설물이 모두 관을 빠져나가면 변기에 깨끗한 물이 채워진다. 물통의 수압이 급수관의 수압과 같아지면 부자가 다시 정해진 ... ...
Part 2. 수학자의 별난 발명품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느려져 마찬가지로 관이 막힌다. 따라서 물의 속도에 맞춰 관의 지름과 기울기를 정한다.
배수관
에 흐르는 물의 속도는 1.2m/s가 적당하며, 최대 2.4m/s, 최소 0.6m/s이어야 한다. 물의 수심은 관의 지름에 50~70%가 돼야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주어진 표에서 물의 속도를 1.24m/s로 정하면 관의 지름은 20cm, ... ...
로드킬, 환경 오염 없는 경춘고속도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작은 동물이
배수관
에 빠질 경우 빠져나가지 못해 굶어 죽는 일이 생길 수 있다.
배수관
옆으로 경사도 30°에 폭 20cm의 탈출로를 설치했으며, 바닥은 작은 동물들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요철 처리를 했다.야생동물의 서식지를 지나는 만큼 로드킬(동물이 도로에 나왔다가 차에 치여 죽는 사고을 미리 ... ...
물을 자급하는 도시를 건설하라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빗물에 섞여 있는 나뭇잎이나 쓰레기처럼 크기가 큰 오염물질을 걸러 밖으로 배출한다.
배수관
의 끝 부분과 물탱크 사이에는 또 다른 필터를 설치한다. 여기에는 오염물질을 가라앉혀서 제거하는 침전형 필터, 물이 필터 내부를 돌며 생기는 원심력을 이용해 오염물질을 분리하며 제거하고 빗물만 ... ...
변기타고 떠나자! 화장실 익스프레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1호
있는 도시에선 똥과 오줌을 처리하는 문제가 그야말로 큰일이었죠. 그 때는 집 안에까지
배수관
을 설치할 기술력이 없었거든요.”그럼 혹시 길거리에 …?“그래서 사람들은 오늘날의 베란다와 비슷한 돌출된 창을 설치했어요. 창의 바닥에는 작은 구멍이 있었고 그 아래에는도랑이 흐르고 ... ...
살아 쉼쉬는 녹색의 도시 --유럽의 환경생태도시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1호
생태계가 다양 해지고 살아 있는 강이 되지요. 하지만 사람들은 편의를 위해 둑과
배수관
을 만들어 물이 흐르는 길을 막았습니다. 슈프레발트도 마찬가지였지만 물고기들이 지나갈 수 있도록 계단식 어도(물고기길)를 만들고 수로도 넓히는 등 물이 잘 흐르도록 노력했습니다. 그 결과 슈프레 강에 ... ...
똥의 향기에 취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0호
우리는 똥과 영원히 이별한다.똥은 차가운 물에 풍덩 빠져 거센 물길에 휩쓸리고 길고 긴
배수관
을 통과한다. 정화조에 모여 신세타령을 하고 있을 때쯤 푸른빛의 똥차가 똥을 단체로 수거해 간다. 이제 가는 곳은 배수종말처리장. 위에 뜨는 맑은 물을 걸러 낸 뒤 똥의 일부는 미생물 분해 시설로, ... ...
유럽 환경지킴이 3色 스토리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슈프레발트 자치정부의 현안이에요. 최근에는 하천에 ‘물고기 길’(魚道)을 만들었죠.
배수관
이 하천을 가로지르는 바람에 수위가 높아져 물고기가 거슬러 올라가지 못했는데, 정부가 계단식 어도를 조성했어요. 물이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도 넓어져 수질도 좋아졌대요.(10월 16일 서울 한강의 ... ...
사스 정체 둘러싼 미스터리 3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1명 집단감염사태 조사결과를 보고하는 기자회견에서 “욕실 바닥 배수구와 연결된 U자
배수관
을 통해 들어온 환자의 분뇨 방울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바퀴벌레가 바이러스에 오염된 배설물을 옮기는 역할을 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독일 열대의학연구소도 환자의 배설물에서 사스바이러스가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