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개
d라이브러리
"
농무
"(으)로 총 5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과학사] 미국에서 첫 식목일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7호
위해 무분별하게 나무를 베면서 많은 숲이 파괴되고 있었지요. 모튼은 네브래스카주
농무
부에 나무 심는 날을 지정하자고 제안했어요. 그리고 1872년 4월 10일, 모튼이 제1회 식목 행사를 열면서 처음으로 식목일이 탄생했지요. 이날 네브래스카주에는 100만 그루 이상의 나무가 심어졌습니다. 이후 18 ... ...
'자체발광' 발광식물 연구 히스토리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밤에 빛을 내도록 개량했습니다. 이를 ‘반딧불이 피튜니아’라고 이름 붙였죠. 미국
농무
부가 2023년 9월, 반딧불이 피튜니아의 판매를 승인했습니다. 라이트 바이오는 2024년 봄부터 구매자들의 집으로 발광 피튜니아가 배송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발광식물이 처음 개발된 건 1986년의 일이니 어언 ... ...
[과학뉴스] 원인 불명 꿀벌 집단 실종 사태 발생
과학동아
l
2022년 04호
CCD·Colony Collapse Disorder)’이라고 부른다. 2006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보고된 이후 미국
농무
부(USDA)는 전자기파, 살충제 과다 사용 등을 가설로 세우고 CCD의 원인을 파악하고 있다. 2017년에는 ‘네오니코티노이드(Neonicotinoid)’계열 살충제(아세타미프리드, 이미다클로프리드 등)가 꽃가루 매개자인 . ...
미래│인간의 영향으로 달리 흐르다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어떻게 변화할지 알아봤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한강유역 17개 중권역을 대상으로 미국
농무
성 농업연구소가 개발한 유역모델인 SWAT과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에서 제공하는 온실가스 시나리오(RCP)를 적용해 유량 변화를 예측했다. 이 때 저감 없이 온실가스가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 ...
낯선 생물이 내 터전에 들어왔다...생태계 악당 침입종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구멍을 따라 곤충과 해충이 침입하고 나무는 결국 제대로 생장하지 못한다. 미국
농무
부의 조사에 따르면 유리알락하늘소의 가로수 침입으로 인한 피해를 돈으로 환산하면 매년 3000만~4000만 달러(335억~446억 원)에 달한다. 미국 가로수의 30.3%를 파괴할 가능성이 있다는 결과도 있다.연구팀은 한국 ... ...
황금쌀, 20년 만에 식탁 오를까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유전자 가위를 이용한 GMO는 규제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정부에 권고했다. 미국
농무
부도 유전자 가위 같은 새로운 육종 기술은 전향적으로 검토하는 분위기다. 박 교수는 “최근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GMO가 등장하고 있다”며 “변화하는 연구 환경에 맞춰 GMO 심사 ... ...
영장류자원지원센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갈수록 어려워져 실험동물로서 영장류의 중요성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한 예로 미국
농무
부(USDA)가 올해 9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서 생물의학 연구에 사용된 원숭이 수는 사상 최고치인 7만6000마리를 기록했다. 한국도 최근 10년 동안 영장류 수입 두수가 7배가량 증가해 ... ...
Part 3. [변신 3단계] 수박으로 움직이는 자동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움직일지도 모른다구~! 무슨 말이냐고?버리는 수박으로 자동차를 부릉~!2009년, 미국
농무
부 웨인 피시 연구원팀은 수박즙을 이용해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하는 방법을 발표했어요. 한 해 동안 미국 농장에서 재배되는 수박 중 떨어지거나 새가 쪼아 먹어 시장에 팔 수 없는 것들이 36만t이나 되는 걸 ... ...
[과학뉴스] 우유로 만든 피자박스의 탄생?!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미국
농무
부는 미국화학학회(ACS) 학술회의에서 우유로 만든 포장재를 소개했다. 이 포장재는 우유에 들어 있는 단백질 중 80%를 차지하는 카제인으로 만들었다. 연구팀은 카제인에 시트러스 펙틴을 넣어 응고시켰다. 시트러스 펙틴은 감귤, 레몬 등에서 얻을 수 있는 탄수화물 중합체로, 잼이나 ... ...
비만? 설탕 잘못만은 아니야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연관성은 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미국 코넬대 데이비드 저스티스 교수팀은 미국
농무
부에서 발표한 성인의 1일 평균 음식섭취열량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섭취열량이 1970년에 2039kcal에서 2010년 2544kcal로 500kcal가 늘어 비만 인구 증가의 원인으로 꼽혔다. 하지만 곡물과 지방을 포함한 음식물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