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랑"(으)로 총 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수학, 노력하면 잘할 수 있어요!수학동아 l2022년 06호
- 거예요. 이후 학습에 어려움을 겪던 학생들의 뇌를 fMRI로 촬영해 보니 해마와 두정엽내 고랑의 신경 회로가 이전보다 강해졌고, 4주 후 새로 본 수학 시험 성적도 평균 30%나 오른 것으로 나타났어요. 꾸준히 공부하면 뇌신경 회로가 잘 연결되고, 그만큼 성적도 오른다는 의미지요. 연구를 이끈 ... ...
- [파고캐고 지질학자!] 운봉산에 쌓인 돌무더기, 사실은 빙하기의 증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가장 빠르게 흘렀던 자리예요. 기후가 따뜻해지며 얼음이 녹으면 돌무더기가 내려앉으며 고랑처럼 쑥 들어간 부분이 나타나게 되지요. 또, 암괴류의 아래쪽일수록 주상절리 조각의 크기가 작아진다는 사실도 증거가 돼요. 주상절리 조각이 얼음을 타고 내려가면서 서로 부딪혀 깨졌을 테니까요 ... ...
- 바다거북 알 도둑, 코끼리 밀렵꾼 과학이 끝까지 잡는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90%가 목숨을 잃었다. 상아가 무기 구입의 자금원으로 쓰였기 때문이다. 이후 놀랍게도 고랑고사 국립공원에는 상아 없이 태어나는 암컷 코끼리가 급증했다. 영국 켄트대 연구팀에 따르면 1992년 이후 태어난 암컷 코끼리 중 3분의 1이 상아 없이 태어났다. 암컷 코끼리가 상아 없이 태어날 확률은 ... ...
- [실전!반려동물] 뽀삐야 점프는 조심조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있는 삼각형 모양의 뼈로, 무릎 관절 위에 있어요. 슬개골은 무릎을 접고 펼 때 도르래 고랑처럼 생긴 홈을 따라 왔다 갔다 하며 무릎 관절을 보호해요. 그런데 사람들의 선호에 따라 개들의 체구가 작게 개량되면서 이 홈의 크기도 작아졌어요. 그 결과 홈 안에서만 움직여야 할 슬개골이 작은 ... ...
- [Go!Go!학자]곳곳에 숨겨진 유적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조사 장소 주변을 걸어 다니면서 눈으로 흔적을 찾아봐요. 예를 들어, 유적 주위 밭의 고랑을 살펴보면 땅을 갈아엎으면서 올라온 토기 조각을 찾을 수도 있거든요.하지만 이 방법만으로는 유적을 발견하기 쉽지 않아요. 유적이 땅속 깊이 묻혀있다면요? 혹은 사막이나 밀림처럼 넓은 지역에서 ... ...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사랑탐사대 덕분에 상 받았어요! 닥터구리 유다은 대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조사 결과, 보리밭과 축사 근처에 수원청개구리 개체 수가 많았어요. 보리밭은 고랑에 물이 고여 있어서 천적을 피할 수 있는 환경이 되는 것 같아요. 또, 축사가 있는 지역에선 수원청개구리의 분포 비율이 더 높았답니다. 축사 주변엔 분뇨가 흘러나와 모기나 깔따구 등 곤충이 많은데, 이를 ... ...
- Part 5. 농부야, 개발자야? 로봇도 자급자족, 청년 농부 하병욱 씨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방식이에요. 카메라로 들어온 영상을 분석해서 눈앞에 있는 게 어떤 작물인지, 이랑과 고랑이 어딘지 파악해서 스스로 움직이는 거죠. 자율주행차랑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돼요. 더불어 이런 로봇을 최대한 싸게 만들고 싶어요. 미국에도 자동화된 트렉터가 있지만 가격이 10억 원에 달할 정도로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이것이 결국 뇌와 척수가 됩니다.신경관 발달… 엽산 섭취가 중요?U자 모양의 신경고랑이 동그란 관의 형태로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신경주름 세포들 사이에서 벨크로(찍찍이) 또는 지퍼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 아주 중요합니다. 지퍼로 옷을 여미는 것처럼 단백질로 신경관의 벌어진 부분을 닫기 ... ...
- [공룡은 왜? 1화] 공룡의 구애 행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파는 행위로 암컷을 유혹하지요. 이 동물들이 만든 흔적은 길이가 최대 2.3m이고, 땅에 고랑이 생길 정도로 매우 크고 깊어요. 이 모양은 아크로칸토사우루스가 만든 흔적과 매우 비슷하답니다.이러한 증거들을 토대로 공동연구팀은 공룡이 바닥을 긁은 행동이 암컷을 유혹하기 위한 구애 행동이라는 ...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깊숙이 들어간 고랑이 발달하는 속도가 다르기 때문이라는 학설도 세웠다. 이랑이 고랑에 비해 상대적으로 빨리 자라면서 공간이 부족한 탓에 바깥으로 볼록 튀어나와 주름이 생겼다는 주장이다.이 주장이 맞으려면 피질에서 주름이 생기기 전에 어느 부분이 빨리 자라고, 어느 부분이 늦게 ... ...
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