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랑"(으)로 총 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손목이 자유롭게 움직이는 이유 - 손목뼈과학동아 l2005년 02호
- 부어오르고 통증을 느끼게 된다. 손을 쫙 폈을 때 엄지손가락과 손목 사이에 생기는 고랑을 해부학코담배갑이라고 한다. 팔에서 손으로 가는 동맥이 2개가 있는데, 해부학코담배갑에서는 그 중 하나를 쉽게 만질 수 있다 ... ...
- 두뇌발달 따라 교육법 달라야과학동아 l2003년 04호
- 것도 대뇌피질이 다른 포유류보다 훨씬 발달했기 때문이다. 대뇌피질에는 꼬불꼬불한 고랑처럼 홈이 파여 있는데, 표면에 굵직하게나 있는 몇몇 홈을 기준으로 크게 앞쪽은 전두엽, 뒤쪽은 후두엽, 양옆은 측두엽으로 영역을 구분한다. 전두엽은 대뇌피질에서 가장 넓게 차지하고 있는 부위로 ... ...
- 세계에서 가장 작은 주판과학동아 l1997년 03호
- 둑을 쌓고 그 사이 고랑에 10개의 분자를 놓아 움직이는 방식. 구리원자 사이에 있는 고랑이 레일 역할을 하고, 주사형터널링현미경(STM)의 탐침이 분자 주판알을 앞뒤로 움직여 계산한다. 주판알로 사용된 것은 60개의 탄소원자가 축구공 모양을 하고 있는 C60 풀러렌분자다. 주판알 하나의 지름은 1nm(1 ... ...
- 정보사회의 일용할 양식-디스켓과학동아 l1996년 10호
- 때 매우 불편하다. 이렇게 밭을 일구듯 디스켓도 정보를 저장하기 전에 트랙과 섹터라는 고랑으로 미디어를 나눈다. 이 작업이 바로 포맷이다.포맷을 하면 동그란 미디어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가면서 트랙으로 나눠진다. 제일 바깥에 있는 트랙이 트랙1이 되고, 가장 안쪽에 있는 것이 트랙80이 ... ...
- 수학 마무리 특강과학동아 l1996년 10호
- 야산을 좋은 밭으로 만들어 줄 것이다. 기출문제를 분석하고 오답을 확인하는 일은 고랑도 내고 여기 저기 둑도 쌓는 일이 아닐까?또한 시험문제를 잘 푸는 일은 그 나름대로 준비와 연습이 필요하다. 어느것 하나 아침에 이루어질 수 없지만 서둘러서 될 일도 하나 없는 듯 하다. 어디에 처박혀 ... ...
- 한라산 나비과학동아 l1996년 09호
- 큰 영향을 끼쳤다면서 좀더 쉽게 내용을 소개해 주었으면 좋겠다는 의견도 나왔다.“고랑 몰라 봐서 알주”. 정세호연구원은 제주도 말로 ‘백문불여일견(百聞不如一見)’ 이라면서 이번 탐사가 과학교사들에게 큰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역시 생물을 이해하려면 교실이 아닌 자연으로 ... ...
- 2. 최고급 윤활유 가진 관절과학동아 l1996년 05호
- 멈추는데 더 많은 거리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수막현상을 줄이기 위해서 타이어면에 고랑이 파여져 있지만, 그래도 비오는 날에는 미끄러지기 때문에 속력을 줄여서 운전해야 한다.만일 모든 마찰이 없어진다면 못이나 나사못은 벽에서 미끄러지고 무엇 하나 손에 쥘 수 없으며 조그만 바람도 결코 ... ...
- 1. 하드디스크와 플로피디스크과학동아 l1993년 02호
- 이들을 구분시키는 작업, 즉 초기화를 해야 한다. 마치 갈지 않은 밭(새 플로피디스크)에 고랑(트랙)과 이랑(섹터)을 만들어 농사를 짓기 위한 밭갈이를 하듯이 디스크에 구획정리한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플로피디스크의 포맷은 도스의 외부 명령어인 FORMAT을 실행시켜 간단하게 가능하나 만약 ... ...
- 농사를 돕는 흰개미떼과학동아 l1991년 04호
- 에 빗물이 빠져나가는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의 기초조사에 따르면 사탕수수는 둔덕도 고랑도 아닌 그 중간쯤의 위치에서 가장 잘 자란다. 따라서 이 흰개미들이 만들어 놓은 둔덕 중간쯤이 사탕수수가 자라기에 가장 적당한 장소가 되는 것이다 ... ...
- 줄어드는 삼각주과학동아 l1991년 02호
- 않았을 것 같지만, 실제로 논에 물을 대고 홍수에도 대비할 수 있도록 제방을 쌓고 고랑을 파기 전에는 강의 효과는 전혀 볼 수 없다. 그러려면 상호협동하는 제도가 필요한데 이에는 많은 시간이 필요했다.그러나 기원전 4천년부터는 유프라테스강과 티그리스강 유역(현대의 이라크), 그리고 ... ...
이전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