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락지"(으)로 총 35건 검색되었습니다.
- 야생동물이 사람을 세 번 만났을 때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보내고 다음 겨울이 돼서야 자연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자연으로 돌려보내기 전 금속가락지와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장치를 부착했다. 덕분에 일정 시간마다 알비가 머무는 위치를 알 수 있었다. 충남 서산 천수만 부근에 방생한 알비는 3일 뒤 북으로 이동해 충남 당진에 자리를 잡았다. 한 시름 ... ...
- [기획] 최장거리 비행 기록을 갈아치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목격하셨다고요?작년 4월, 뒤꽁무니에 안테나가 튀어나온 큰뒷부리도요를 발견했어요. 가락지를 읽어서 4BBRW인 걸 확인하고 뉴질랜드 조류학자들에게 연락했습니다. 반년 후 4BBRW가 최장거리 비행 기록을 세웠다는 이야기를 전해 듣고는 다치지 않고 돌아갔구나 싶어 무척 기뻤어요. Q얼마나 ... ...
- [기획] 어떻게 길을 찾았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정책을 만들 수 있도록 돕고 있어요. 서해안 소청도의 연구 센터에서는 지나가는 철새에 가락지를 채워서 이동 연구를 하고 있지요. Q얼마나 많은 철새가 우리나라를 지나가나요?한 번이라도 기록된 종들을 다 합하면 지금까지 570종 정도의 조류가 우리나라에서 발견되었어요. 이중 도요물떼새, ... ...
- [이달의 우주날씨] 6월 금환일식! 한국에서도 볼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달리 금환일식은 달이 태양을 가릴 때 태양의 가장자리만 원모양으로 남아있어 마치 금가락지를 낀 손가락처럼 멋진 고리가 만들어지는 것을 말해요. 지구와 달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달의 시직경이 태양의 시직경보다 작아졌을 때만 발생하는 현상이죠.아쉽게도 이번 금환일식은 북아메리카 대륙의 ...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비 몰러 나간다~! 정다미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대뜸 ‘그때 걔 아직도 여길 찾아와’라고 말씀하시는 거예요. 고등학생 때 제가 가락지를 채운 제비를 말씀하시는 거였지요. 그날 밤 둥지를 확인해 봤더니, 정말 그 제비가 맞았어요. 그때 제비와 저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이라고 느껴 제비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됐답니다.” 폐가를 ... ...
- [지식] 북한에서 ‘사귐’의 뜻은?!수학동아 l2016년 09호
- ‘건망증’이라는 한자어를 ‘잊음증’이라 하고, ‘도넛’이라는 외래어를 ‘가락지빵’이라고 표현하는 것과 같다. 도형의 이름에 숫자를 쓴다는 특징도 있다. 예를 들어 ‘사각형’과 ‘육각형’은 ‘4각형’, ‘6각형’으로 나타낸다. 남북 수학 연구 교류에 힘써온 김도한 서울대 수리과학부 ... ...
- [Knowledge]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으로 저렴하다.한승우 연구원은 “위치추적기술이 없거나 너무 비쌌던 과거에는 철새에 가락지를 끼워서 어디에 있던 철새가 어디서 발견됐는지를 확인하는 정도였다”며 “기술 발전 덕분에 조류의 상세한 이동경로와 서식지 등 생태 특성을 알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위치추적기를 부착한 ... ...
- Part 2.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협력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부터 지금까지 227종, 5만 마리가 넘는 개체에 가락지를 채워 보냈다. 육·해·공 접수한 뛰어난 사냥꾼굳이 철새의 경이로운 이동성을 이야기하지 않더라도 비행은 새들만이 가진 큰 능력이다. 비행은 새를 지상 최고의 사냥꾼으로 만들어준다. 같은 날 오후에 ... ...
- 갯벌 지킴이, 넓적부리도요를 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0호
- 시베리아에서 가져온 넓적부리도요의 알 20개 중에서 17개를 인공부화 시킨 후 녹색 가락지를 달아 9월 초 러시아에 방사했답니다.넓적부리도요를 구하라❸ 도요새 사냥 금지넓적부리도요가 줄어드는 원인 중 하나인 사냥 문제 해결에 나서기도 했어요. 방글라데시와 미얀마 사람들은 식량 문제를 ... ...
- 쭈잇, 쭈잇, 찌이~♪ 새소리를 따라서!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다리에 가락지를 끼운다. 인공위성 추적장치 등 발달된 방법도 있지만, 가볍고 저렴한 가락지를 다는 방법이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수컷이 노래하는 이유는?아까 박사님께서 새의 울음소리를 녹음해 틀면 같은 종의 새들이 모여든다고 하셨잖아요. 그게 정말인가요?네~, 맞아요. 수컷 새는 ... ...
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