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반지
지환
테
환대
링
ring
환형
d라이브러리
"
가락지
"(으)로 총 35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풀리지 않는 미스터리가 많다. 흑산도팀을 이끌고 있는 홍길표 팀장은 “철새에게
가락지
를 붙인다고 해도 중간에 어떤 경로를 통해서 이동하는지는 여전히 미스터리”라고 말한다.이 때문에 연구진은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을 이용해 철새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있다. 위치 정보를 무선 신호로 ... ...
1. 모양에 담긴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도넛에 구멍이 난 이유 북한에는 ‘
가락지
빵’이란 말이 있다. 무엇을 가리키는 말일까?
가락지
라면 손가락에 낄 수 있도록 동그란 구멍이 난 물건을 말할텐데 빵이라고 한다면…. 바로 도넛이다.도넛에는 왜 구멍이 생겼을까? 도넛 가게에서 밀가루를 적게 쓰려고 가운데 부분을 파냈다는 소문이 ... ...
새해 첫 천문이벤트 금환일식을 즐기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아프리카 동쪽과 인도, 스리랑카, 미얀마, 중국 남서부와 산둥 반도에서는 해와 달이 금
가락지
모양으로 겹치는 금환일식의 드라마틱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신혼여행지로 꼽히는 몰디브에서도 약 10분 48초간 장관을 지켜볼 수 있다. 인도 남부와 스리랑카도 중심에 가까워 지속시간이 10분이 넘는다. ... ...
[핫이슈] 7월 22일 태양이 빛을 잃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서울에서 태양을 보면 최대 약 79%가 가려진다. 이는 1948년의 금환식(태양 가장자리가 금
가락지
모양으로 보이는 일식) 이후 가장 많이 가려지는 일식이다. 태양은 남부지방으로 내려갈수록 더 많이 가려진다. 대전에서는 약 82%, 제주까지 내려가면 최대 92% 정도 태양이 가려지는 일식을 볼 수 있다 ... ...
올 겨울 유성우 전망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환상성운(環狀星雲)이라고도 하며 거문고자리 β별 가까이에 있기 때문에 거문고자리의
가락지
성운이라고도 한다 표면에 가로줄무늬가 보이는 근육 횡문근(橫紋筋)이라고도 부른다 뜻대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수의근(隨意筋)이라고도 불린다 인체의 가로무늬끈의 대부분은 골격근이며 얼굴의 ... ...
에이즈 치료하는 알약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환상성운(環狀星雲)이라고도 하며 거문고자리 β별 가까이에 있기 때문에 거문고자리의
가락지
성운이라고도 한다 표면에 가로줄무늬가 보이는 근육 횡문근(橫紋筋)이라고도 부른다 뜻대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수의근(隨意筋)이라고도 불린다 인체의 가로무늬끈의 대부분은 골격근이며 얼굴의 ... ...
제15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하현달 전체를 완성한 작품. 수많은 크레이터(구덩이)가 보인다.동 상김일순(일반)-쌍
가락지
성운(Helix Nebula)지구에서 물병자리 방향으로 650광년 떨어져 있는 행성상성운으로 거대한 눈처럼 보인다. 태양 같은 별이 최후를 맞이할 때 행성상성운이 생긴다.동 상신범영(일반)-페르세우스 이중성단(NGC88 ... ...
공항 보안검색 책임지는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환상성운(環狀星雲)이라고도 하며 거문고자리 β별 가까이에 있기 때문에 거문고자리의
가락지
성운이라고도 한다 표면에 가로줄무늬가 보이는 근육 횡문근(橫紋筋)이라고도 부른다 뜻대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수의근(隨意筋)이라고도 불린다 인체의 가로무늬끈의 대부분은 골격근이며 얼굴의 ... ...
중국 두 번째 유인우주선 선저우6호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환상성운(環狀星雲)이라고도 하며 거문고자리 β별 가까이에 있기 때문에 거문고자리의
가락지
성운이라고도 한다 표면에 가로줄무늬가 보이는 근육 횡문근(橫紋筋)이라고도 부른다 뜻대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수의근(隨意筋)이라고도 불린다 인체의 가로무늬끈의 대부분은 골격근이며 얼굴의 ... ...
러시아 소유즈 우주선은 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환상성운(環狀星雲)이라고도 하며 거문고자리 β별 가까이에 있기 때문에 거문고자리의
가락지
성운이라고도 한다 표면에 가로줄무늬가 보이는 근육 횡문근(橫紋筋)이라고도 부른다 뜻대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수의근(隨意筋)이라고도 불린다 인체의 가로무늬끈의 대부분은 골격근이며 얼굴의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