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밀"(으)로 총 50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물과 공기를 자유자재로~! 수륙양용 드론어린이과학동아 l201715
- 짝을 이루며 돌아가지요. 그러면 아래층 또는 윗층 프로펠러가 수면에 닿을 때 생기는 밀도 차이를 다른 층 프로펠러가 극복해낼 수 있거든요.내비에이터가 공기에서 물로 들어가는 중이라고 생각해 봐요. 아래층 프로펠러 4개가 먼저 수면에 닿으면서 물의 저항을 받고, 추진력이 약해질 거예요. ... ...
- Part 2. 시금치, 두근두근 심장 조직으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10
- 식물의 잎맥과 매우 비슷하다는 사실에 주목했어요. 특히 시금치 잎맥의 모양, 굵기, 밀도 등이 가장 혈관과 비슷했답니다.연구팀은 특수한 용액을 이용해 시금치 잎의 세포들을 분해시켰어요. 세포들이 모두 분해된 시금치 잎은 투명한 채로 뼈대와 같은 섬유질만 남았지요. 그 다음, 물관을 통해 ... ...
- Part 1. [메인 요리] 풍부한 육즙과 부드러운 질감의 인공 고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09
- 정도로 고기 맛이 난다”고 말했어요.고기를 먹지 않는 채식주의자들을 위해 콩이나 밀의 단백질로 동물 고기를 흉내낸 가짜 고기는 오래 전부터 있었어요. 하지만 고기 특유의 맛과 식감을 따라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일반 사람들에게는 인기가 없었지요.임파서블 버거는 채식주의자가 아닌 고기를 ... ...
- Intro. 울타리 없애고 가상현실로 만나고~! 동물원은 변신중어린이과학동아 l201709
-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건지 사연 신청자들을 모시고 이야길 들어볼까요?잠깐~! 저기 있는 밀웜 한 마리 먼저 먹고 시작해도 될까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울타리 없애고 가상현실로 만나고~! 동물원은 변신중Part 1. [첫 번째 사연] 동물들이 죽고 있어요!Part 2. [두 번째 사연] 동물원이 ... ...
- [Focus News] 햄버거병, 햄버거는 억울하다과학동아 l201708
- 한국맥도날드를 검찰에 고발했기 때문이다. 아이의 부모는 작년 9월 맥도날드에서 해피밀 불고기버거 세트를 먹은 뒤 아이에게 증상이 나타났다며, 햄버거를 원인으로 지목했다.이 사건이 알려지자 또 다른 피해자가 나타났다. 3세 아이가 5월 17일 맥모닝 세트를 먹고 장염에 걸렸다는 것이다. 1 ... ...
- [Culture] 치카우과학동아 l201707
- 감지 장치로 그 소리가 일으키는 공기의 진동을 감지할 것이다.”“알겠습니다. 확률 밀도 함수 붕괴 장치 일시 정지! 시리우스 회피 기동 준비 완료!”“시리우스 회피 기동 개시!”황제가 외치는 소리와 함께 우주선은 이상한 빛을 내뿜으며 아주 빠르게 잠깐 진동했다. 그러나 잠시 후 빛은 ... ...
- [Issue] 나폴레옹이 6월에 전쟁을 떠난 이유과학동아 l201706
- 상황에서 전개됐다.북반구 중위도 지역은 6월에 식량 수확이 시작된다. 이 때부터 보리나 밀, 채소 등의 식량조달이 가능해지고, 가을 수확시기까지 식량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나폴레옹은 식량을 안정적으로 조달 받기 위해 전쟁을 6월에 시작한 것으로 볼 수 있다. 6월에 시작해 가을에 끝낼 ... ...
-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과학동아 l201706
- 이용해 빵을 만들었다. 중국과 왕래가 잦았던 한반도에도 이와 비슷한 음식이 있었다. 밀가루 반죽을 효모로 발효시킨 한과도 여럿 있었다. 그렇다면 한반도에서 빵의 기원은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이전일지도 모르겠다. 한국의 빵 역사를 좀 더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 ...
- 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이끌까과학동아 l201706
- 없는 이유는 오래전부터 쌀을 주식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또 한반도에서 자라는 밀은 글루텐이 적은 탓에 반죽을 해도 잘 뭉쳐지지 않았다. 그래서 1940년대까지만 해도 일본이나 서양에서 유래하는 빵을 먹었다. 그러다가 1950년대부터는 개인 제과점이 성장한 제빵회사가 여럿 탄생했다. 이 가운데 ... ...
- [Future] 새롭게 주목 받는 ‘환경 곤충’,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과학동아 l201706
- 쌀벌레로 불리기도 하며, 우리나라 가정집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갈색거저리는 밀웜이라고도 한다. 반려동물의 먹이나 차세대 곤충 식량의 재료로 유명하다.2014년 11월 ‘환경과학기술’에는 PE 필름을 먹는 화랑곡나방 애벌레에 대한 연구가 소개됐다. 중국 북경 항공항천대 화학환경과 준 양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