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밀"(으)로 총 5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카멜레온 피부색 변화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07
- 속 나노결정 구조의 변화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어요.스위스 제네바대 마이클 밀린코비치 교수팀은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해 카멜레온의 피부 조직이 어떤 모양으로 생겼는지 관찰했어요. 그 결과 피부 바깥쪽에 있는 홍색소포층의 나노결정 무늬가 바뀌면서 피부색이 변한다는 것을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07
- 그러나 물은 다르다. 액체 상태일 때 밀도가 가장 크고 오히려 고체인 얼음이 되면 밀도가 낮아진다. 물이 얼면서 물분자가 육각구조를 만들어 빈 공간이 생기는데, 그 결과 부피가 커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고체인 얼음이 액체인 물 위에 둥둥 뜬다 ... ...
- [Life & Tech] 산(酸), ‘풍요의 시대’ 연 식품계의 일등 공신과학동아 l201506
- 메주를 띄워 만든 한식간장 등 다른 간장도 물론 존재한다), 그 외에도 옥수수나 밀 등의 식물성 단백질을 분해할 때 쓴다.산은 분해 외에 다른 공정에도 요긴하다. 유제품이나 잼, 주스, 장류, 통조림류, 한천 등을 세척하거나 가공할 때도 쓰이고, 기름을 정제할 때도 쓰인다. 과실의 껍질을 제거할 ... ...
- 바야흐로 생체 인증의 시대!과학동아 l201506
- 고민하던 날들이여, 안녕. 임시 비밀번호를 외우던 날들이여, 안녕. 이제는 ‘내’가 비 밀번호가 될 시간이다. 삼성SDS는 국내 최초로 파이도 인증을 받았다. 만약 파이도가 국제 표준 기술 규격이 된다면,생체 인증으로 온라인 쇼핑, 금융 거래 등을 손쉽게 할 수 있을 것이다 ...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과학동아 l201506
- 유라 시아판과 아프리카판, 아라비아판의 가운데에 위치 한데다 낙후된 건물이 밀집해있기 때문이다. 그밖에 인도(델리 3위, 뭄바이 12위)와 인도네시아(자카르타 10위, 반둥 14위), 터키(이즈미르 9위), 에콰도르(키토 4위, 과야킬 13위), 멕시코(멕시코시티 8위, 티후아나 17위) 등이 명단에 포함됐다.PLUS ...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과학동아 l201506
- 제거하려면 그 부분을 정밀하게 도려내야 한다. 고작 4096개 를 구분하는 효소로는 이런 정밀한 조작이 불가능하다. 인간의 DNA는 길이가 32억 개가 넘는데, 4096개마다 한 번씩 반복되는 서열을 잘랐다가는 산술적으로 7만 개가 넘는 다른 DNA까지 잘라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제한효소는 ... ...
- 상수의 탄생 ⑤ 난세가 만든 영웅, 플랑크과학동아 l201506
- 진스 이론에 서 에너지가 무한하게 발산하는 이유는 파장이 0에 가까워질수록 에너지 밀도가 무한하게 커지기 때문 이다. 이를 짧은 파장 영역에서 생기는 심각한 문제라 는 뜻에서, '자외선 파국'이라 부른다. 수학적으로 탄 탄한 레일리-진스 이론도 정답은 아니었다. 하지만 아 무리 눈을 비비고 ... ...
- [생활] 겉은 바삭~ 속은 촉촉~ 크루아상이 맛있는 비결수학동아 l201505
- 퍼지지 않도록 버터의 아랫부분에 있는 반죽을 위쪽으로 밀었다. 그 결과 한 번 반죽을 밀고 반으로 접었을 때, 처음 버터의 높이 x가 어떻게 바뀌는지를 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f(x)는 버터의 나중 높이). 아무리 늘여도 반죽은 2를 넘지 않고, 2가 되면 다시 반으로 접어 1이 된다. 이를 여러 번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05
- 이름처럼 달짝지근한 맛이 나는 약재인데, 그 특징을 따서 밀감(蜜甘, 꿀처럼 달다), 밀초(蜜草, 꿀풀)와 같은 이름으로 불린다. 단맛 덕분에 ‘감초사탕’ 같은 간식으로도 애용한다.감초는 간의 해독작용을 돕는다고 알려져 있다. 한약은 여러 약재를 혼합해 다양한 성분을 동시에 먹는 약이기 ... ...
- [Life & Tech] 오빠랑, 홍대, 떡볶이, 맛집과학동아 l201504
- 쌀떡볶이, 새끼손가락만한 굵기와 길이에 말랑말랑하고 더 쫄깃한 게 밀떡볶이입니다. 밀가루 속에 든 불용성 단백질인 글리아딘과 글루테닌이 물을 만나면 서로 끈적하게 결합하는데, 이를 ‘글루텐’이라고 합니다. 글루텐 분자는 사슬결합을 하면서 일종의 그물 구조를 형성합니다. 덕분에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