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맥
meal
mill
mille
d라이브러리
"
밀
"(으)로 총 504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Issue] 따뜻한 마음이 부른 폭력
과학동아
l
201503
쉽게 잔인한 일을 저지른다는 연구도 있다. 연구팀은 유명한
밀
그램의 실험을 재현했다.
밀
그램의 실험에서 참가자의 70% 이상이 단지 명령을 받았다는 이유만으로 실험대상을 고문했다. 연구팀은 이 실험을 그대로 재현했다. 재현된 실험에서 ‘원만성’ ‘외향성’ ‘개방성’ 같은 여러 가지 성격 ... ...
800년 동안 바다 속에 있던 보물선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2
정확한 항해 년도가 밝혀진 최초의 고려시대 선박으로 기록되었답니다. 선박 복원의 비
밀
을 밝혀라!바다나 강 등 물속에 남겨진 물건 중에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것을 ‘수중 문화재’라고 불러요. 보통 물속에서 발견되는 문화재는 육지에서 발견되는 것보다 보존 상태가 더 좋은 경우가 많아요. ... ...
컴퓨터 vs 인간 수학 왕좌의 게임
수학동아
l
201502
밝혔다. 컴퓨터과학에서 시작된 P대 NP 문제는 클레이 수학연구소가 발표한 7개의
밀
레니엄 문제 중 하나다. 문제의 요점은 답을 찾는 게 쉬운 경우(P)와 답이 맞는지 확인하는 게 쉬운 경우(NP)가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지다.일반적으로 답을 찾기 쉬우면 그 답이 맞는지 확인하기도 쉽다(P→NP).하지만 ... ...
밀
VS 보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422
그러나 자세히 보면 보리는 수염이 길고 빳빳한 반면,
밀
은 수염이 짧고 가늘지요. 호
밀
(왼쪽)은 수염이 위쪽으로 가지런하고 열매 부위가 위아래로 길쭉하답니다. 귀리(오른쪽)는 수염이 없어요 ... ...
[과학뉴스] 들쭉날쭉 CO2 농도, 범인은 농사
과학동아
l
201412
이산화탄소 농도가 계절편향성을 보이는 이유가 북반구에서 재배하는 옥수수와
밀
, 쌀 등의 작물 때문이라고 밝히고, ‘네이처’ 11월 19일자에 발표했다.지구의 연간 이산화탄소 변화량을 살펴보면 여름에는 농도가 줄었다가 겨울에 농도가 다시 늘어난다. 1961년부터 2008년까지의 자료를 보면 이런 ... ...
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
과학동아
l
201410
서 가장 진화속도가 빠르며, 일반적인 무척추동물보다 10배나 빠르다. LTE급 진화의 비
밀
은 암컷의 '절대음감'이었다. '히든 싱어'에서 관중들이 미묘하게 다른 음을 내는 가수를 탈락시키 는 것처럼, 귀뚜라미 암컷들은 수컷의 구애노래를 음미하며 약 간이라도 다른 음을 구별해낸다. '암컷의 취향이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0
작은 세포 하나로 이루어진 단세포 생물조차도 말이야.이런 것도 ‘노화’?쌀이나
밀
같은 곡식을 물과 함께 익히면 안에 있던 베타 전분이 부풀어 투명하고 끈적끈적한 알파 전분으로 바뀐다. 딱딱한 쌀이 부드럽고 맛있는 밥으로 바뀌는 이 과정을 ‘호화’라고 한다.그런데 호화된 밥이나 빵,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
과학동아
l
201410
정도로 많은 물이 필요하다. 실제로 모내기를 하려다 가뭄이 들어 물이 부족해지면 메
밀
같은 대체 작물을 심었다. 그래서 조선 초기에는 어명으로 모내기를 금지했다. 관개 시설이 잘 정비돼 물 걱정 없이 농사를 지을 수 있게 된 영조 시대에 이르러서야 모내기를 전국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됐다 ... ...
벌집 아이스크림엔 진짜 벌집이 들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08
유통됐음에도 단단하게 굳어있지 않고 숟가락이 부드럽게 들어간다. 무슨 제품인지는 비
밀
이다(:D). 독자 여러분이 직접 찾아보는 재미를 빼앗아 갈 순 없으니까 ... ...
[이석영 연세대 교수] "우리 모두는 별에서 온 그대"
과학동아
l
201407
돌아오고, 거꾸로 진지한 물음엔 엉뚱한 대답이 돌아온다. 책에서는 우주 초기의 원시
밀
도 요동을 ‘우주의 생강’이라고 시처럼 표현하다가도, 우리가 외계문명을 만날 가능성은 드레이크방정식에 따르면 0.00005라고 말할 정도로 냉정하다(사실상 못 만난다는 얘기다). 그런가하면 학회 때문에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