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푸른곰팡이
푸른곰
팡이
곰팡이
곰팽이
초록
녹색
뉴스
"
푸른
"(으)로 총 382건 검색되었습니다.
누리호 발사 D-2, 발사대 이동 하루 앞두고 긴장
2021.10.19
이뤄졌다. 이 도로를 약 1시간을 넘게 이동하면 발사대에 도달하게 된다. 그곳에는
푸른
빛의 제1 발사대와 초록색의 제2 발사대가 우뚝 서 있다. 제1 발사대는 2013년 나로호(KSLV-Ⅰ) 발사를 위해 러시아 연구진이 건설해 누리호 시험발사체 발사에도 사용됐다. 그러나 누리호는 나로호보다 두 배가량 ... ...
[프리미엄 리포트]발사 카운트다운 앞둔 누리호 개발의 숨은 주역들
과학동아
l
2021.10.16
눈에 들어왔다. 그 왼쪽으로는 8년 전 나로호와 2018년 누리호 시험발사체를 발사했던
푸른
빛의 제1발사대가 서 있었다. “발사체 지상고정장치(VHD)에 화염 방지 커버를 씌우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산꼭대기 발사장에서 만난 강선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발사대팀장이 설명했다. 네 명의 ... ...
스타트렉 선장 윌리엄 샤트너 90세 꿈 이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14
가득차 있다”고 말했다. 이어 “모든 사람들이 내가 본 것을 볼 필요가 있다”며
푸른
하늘이 우주의 검은 색으로 변하는 경험을 죽음의 느낌에 비유하고는 “죽는다는 것이 이런 것인지 모르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베이조스는 탑승객들에게 블루 오리진이 제작한 우주 비행사 배지를 달아줬다. ... ...
[화보+]수묵담채화로 본 원자력의 미래
동아사이언스
l
2021.10.12
제공 붉게 떠오르는 태양과
푸른
바다를 마주보고 한국원자력연구원 '문무대왕과학연구소'가 보인다.동양화에서 먹을 기본으로 하고 그 옆에 엷은 채색을 더해 그린 그림인 수묵담채화로 표현해 강하고 세차지만 자극적이지 않다는 느낌을 준다. 또 화려하고 곱지만 깊이가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 ...
[2021노벨상]미국판 노벨생리의학상 '래스커상'에 mRNA백신에 기여한 과학자들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9.26
다이세로스 교수는 수년간 실험한 끝에 2007년 쥐의 뇌에 이식한 광섬유를 통해
푸른
빛을 내고 이를 통해 쥐 수염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뉴런을 조절하는 실험에 성공했다. 앞서 1971년 외스터헬트 교수는 박테리아 연구를 통해 빛에 반응하는 단백질이 이온 상태로 유입돼 신경 활성화 채널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성층권에 수증기 쏟아붓는 거대 뇌우
동아사이언스
l
2021.09.12
솟아오른 구름 속으로 번개가 번쩍이고 있다. 맨 윗부분에 형성된 구름 아래는
푸른
하늘이, 구름의 경계를 따라 위로는 별이 보여 묘한 대조를 이룬다. 대류권과 성층권을 잇는 이 구름은 실제로는 성층권에 수증기를 쏟아붓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건 오닐 미국 스탠퍼드대 ... ...
사우디 북부 사막은 10만년 주기로 '초원의 문' 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06
가득해 생명체가 살지 못하는 삭막한 불모지로 꼽힌다. 하지만 한때 10만년 주기로
푸른
초원으로 바뀌어 인류의 조상들이 아프리카에서 다른 대륙으로 이동할 때 이용했던 주된 통로였다는 사실이 최근 연구에서 드러났다. 마이클 페트라글리아 독일 막스플랑크인류사과학연구소 교수 연구팀은 ... ...
'붉은행성' 화성 국지적 먼지폭풍도 고대 물 증발에 한몫
연합뉴스
l
2021.08.18
발생…MRO 등 위성 3대 동시 관측 입증 지난 2010년 11월 30일 포착한 것으로 왼쪽의
푸른
빛이 도는 흰색은 수증기 구름이다. 왼쪽 상단으로 높이 21.9㎞로, 태양계에서 가장 큰 화산으로 알려진 올림푸스 몬스(Olympus Mons)가 포착돼 있다. [NASA/JPL-Caltech/MSSS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붉은 행성' 화성은 ... ...
바다 떠다니며 크는 어린 바다거북, 플라스틱 먹고 자란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2
던컨 제공 플라스틱 섭취 비율은 태평양 거북이가 인도양보다 훨씬 높았다. 태평양의
푸른
바다거북 중 플라스틱을 먹은 비율은 83%였다. 붉은바다거북이 86%, 납작등바다거북이 80%, 올리브각시바다거북이 29%였다. 인도양에서는 납작등바다거북이 28%로 가장 높았고 붉은바다거북이 21%, ... ...
[지구는 살아있다] 해양동물은 죽어 돌이 된다
2021.07.24
탄산염 퇴적물을 조사하고 있다. 우경식 제공 남태평양 미크로네시아는 하얀 백사장과
푸른
바닷물, 늘씬한 야자수, 뜨거운 태양과 더불어 멋진 산호초가 유명합니다. 산호충의 분비물이나 유해인 탄산칼슘이 퇴적되어 만들어진 암초인 산호초는 다양한 어류의 서식지가 되고 있습니다. 산호는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