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푸른곰팡이
푸른곰
팡이
곰팡이
곰팽이
초록
녹색
뉴스
실험실서 만든 치즈, 3~4년 내 유럽 식탁에 오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14
관점에서 소비자들의 우려를 낳을 수 있다. 이에 대해 베터 데어리는 사람들이 낙농업을
푸른
들판에서 소의 젖을 짜는 낭만적인 모습으로만 인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베터 데어리는 “낙농업은 산업화됐으며 치즈는 천연식품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아직도 낭만적인 관점을을 ... ...
7만년 전 더 극한 환경으로 이동한 인류
동아사이언스
l
2025.06.19
“7만년 전에는 아프리카의 많은 지역이 나무로 무성했고 습했으며 사하라 사막조차
푸른
환경이었다”며 “빙하기로 접어들면서 지구가 냉각됐고 아프리카 지역 강수량이 크게 줄어드는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인류는 거주 지역이 기후 변화의 영향을 받자 생존을 위해 다른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이재명 정부 출범…AI보다 '기초과학'이 더 절박
2025.06.04
만에 선진국으로 발전시키고 평균수명을 2년마다 1살씩 연장하고 시뻘건 민둥산을
푸른
숲으로 만들어놓은 '한강의 기적'을 앞장서서 이끌어왔던 과학자와 의사가 나락으로 떨어져 버린 현실을 서둘러 바로잡아야 한다. 과학자와 의사에게 뒤집어씌운 '떼도독'(카르텔)과 '악당'의 누명을 벗겨줘야 ... ...
인류가 사용한 가장 오래된 '고래뼈 도구'
동아사이언스
l
2025.05.28
분류하고 제작 연대를 확인했다. 그 결과 발견된 뼈의 절반 이상은 향유고래, 참고래,
푸른
고래 등 최소 5종의 고래에서 유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오래된 표본의 연대는 약 1만9000년~2만년 전으로 추정됐다. 지금까지 보고된 사례 중 인간이 고래 유해를 도구로 사용했다는 가장 오래된 증거다.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이덕환의 과학세상] 이재명 정부 출범…AI보다 '기초과학'이 더 절박
2025.06.04
만에 선진국으로 발전시키고 평균수명을 2년마다 1살씩 연장하고 시뻘건 민둥산을
푸른
숲으로 만들어놓은 '한강의 기적'을 앞장서서 이끌어왔던 과학자와 의사가 나락으로 떨어져 버린 현실을 서둘러 바로잡아야 한다. 과학자와 의사에게 뒤집어씌운 '떼도독'(카르텔)과 '악당'의 누명을 벗겨줘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본서 사망자 나온 붉은누룩의 비밀
2024.04.03
만들지 못한다. 어쩌면 이번 사태는 홍국균이 만든 시트리닌과 제조 과정에서 오염된
푸른
곰팡이가 만든 오크라톡신이 시너지 효과를 일으켜 강력한 신장독성이 나타난 게 아닐까. ● 최대한 노출 줄여야 곰팡이가 사람과 동물에 치명적인 독성 물질을 만들어낸다는 사실은 1960년대 영국 런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음력설’은 중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2024.01.03
大寒. 양력 1월 21일)에서 새해의 두 번째 절기인 우수(雨水. 양력 2월 18일) 사이에 온다.
푸른
용의 해인 갑진년의 설날은 2월 10일이다. 고종 황제가 을미개혁(1896년)으로 오늘날 ‘양력’이라고 부르는 ‘그레고리력’을 도입하고 ‘건양’(建陽)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설날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후변화로 개구리·도룡뇽 살 곳 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14
제공 국제 학술지 '네이처'는 이번 주 표지에 작고
푸른
점이 온몸을 덮고 있는 작은 개구리를 담았다. 이 개구리는 '검은 마이크로하일리드 개구리(학명 Melanobatrachus indicus)'로 인도 서부 고츠산맥 지역에 서식하는 희귀종이다. 이번 주 '네이처'에선 기후 변화로 좁은 서식지마저도 잃을 위기에 처해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생물발광] 자연에서 찾은 해결책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5호
조명을 길거리에 설치하고 있습니다. 글로위는 2022년부터 도심 주변 강변에 은은한
푸른
빛을 뿜어내는 원통형 튜브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어요. 글로위의 생물발광 조명은 프랑스 앞바다에서 채취한 심해 세균 알리비브리오 피셰리를 바닷물과 함께 조명에 넣고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해 발광을 ... ...
[과학뉴스] 해왕성, 생각보다 파랗지 않다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거의 비슷한 청록색을 띤다. 다만 해왕성은 안개 대기층이 더 얇아 천왕성보다 살짝 더
푸른
빛을 띄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오랫동안 잘못 알려져 온 해왕성의 진짜 색깔을 찾을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 ...
타디그레이트 피플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펼쳐진 초원길을 친구와 함께 걷고 있었다. 태양에서 쏟아진 햇빛 줄기가 식물의 거대한
푸른
잎 위에서 반짝이며 부서졌고, 다섯 갈래 꽃잎 사이로 호박벌이 머리를 집어넣고 엉덩이를 씰룩대는 모습도 봤다. 아마도 책에서 읽고 상상했던 것들이 꿈이라는 형태로 구현된 것이리라. 선은 꿈속의 ... ...
[이야기로 냠냠! 어수잼] 자릿값 맞히면 데뷔! 용 오디션 대작전
어린이수학동아
l
2024년 01호
연습생 ‘띠용’이야. 오늘도 친구들은 ‘2024년 용 오디션’ 준비로 분주해. 2024년은
푸른
용의 해로, 무려 12년 만에 열리는 오디션이거든! 이번에는 꼭 용이 될 거야. 아직은 이무기라 뿔도 없고 날 수도 없지만, 900년 동안 용 연습생으로 실력을 갈고 닦았다고! 용이 되려면 미션 3개를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오랜만에 와서 글 던지고 튀기
포스팅
l
20250723
고대 회화에서 미의 여신에게나 허락될 법한 아름다운 미모, 거의 죽은 듯이 보이는 창백한 피부, 배양실의
푸른
빛 때문에 얼핏
푸른
색으로 보이는 옅은 회색 머리카락이 이질적인 존재의 날개를 꺾고 다리를 묶어 가둬놓은 듯했다. “이건...” 소년의 머릿속에 그가 뭔가 일을 저질렀다는 생각이 들었다. 소년은 불길한 예감이 그저 느낌 ...
현장 교육
기사
l
20250714
긴 꼬리와 검은색 머리를 가지고 있고 등과 날개, 꼬리는 하늘색이고 꼬리끝은 흰색입니다.무리지어 생활하는 새 중에 하나입니다.
푸른
수목원 일대를 탐조를 한 후, 근처 하천인 역곡천으로 이동하였습니다. < 시민과학풀씨 개천에서 새난다! > 시민과학프로젝트의 주요 환경조사지인 하천에서 탐조와 생태모니터링을 하였습니다.하천을 따라 걸으면서 새를 관찰하 ...
오늘따라
포스팅
l
20250616
세상이 밝고 선명해서 아름다워요.
푸른
빛 도는 안경을 쓰고 세상을 보는 느낌이랄까요... 갑자기 왜 이런 감성에 젖어들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
거대한 삼나무, 일본 원숭이, 사슴과 바다거북의 산란을 모두를 볼 수 있는 섬 아시나요? [야쿠시마 탐사대 이야기]
기사
l
20250602
우미가메에 대한 정말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 야쿠시마에 산란을 위해 상륙하는 거북 중 98% 정도는 붉은바다거북, 2% 정도는
푸른
바다거북이다. 붉은 녀석들은 보통 거북이 초식을 하는 것과 다르게 갑각류를 주식으로 삼아서 턱이 매우 발달해서 머리가 크다. 바다거북(붉은,
푸른
)들은 어미가 알을 낳은지 60일이 지나서 부화하는데 ...
[어과동태국탐험대] 태국에서 만난 동물들의 삶을 이해하다
기사
l
20250525
5월 13일 화요일, 우리는 바다거북 쉼터에 가서 보호 받는 바다거북들을 만나러 갔다. 거기에서
푸른
바다거북과 매부리 바다거북을 보고 목욕을 시켜줬다. 눈이 안 보이는 바다거북을 만날 수 있었다. 바다거북 쉼터의 관리자는 “물속에서는 냄새를 못 맡기 때문에 눈까지 안 보이면 먹이를 찾을 수 없다”고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