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 [통합과학 교과서] 꽃이 피지 않아요!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6호
- 그때 이미 지구상에는 꿀벌의 조상이 있었고, 이들은 지금의 꿀벌처럼 자외선과 청색, 녹색을 볼 수 있었습니다. 색깔을 인식해 방향을 찾은 덕분에 바위나 나뭇잎을 피해 안정적으로 날고 먹이를 발견했지요. 연구팀은 가장 오래된 대륙 중 하나인 호주에서 바위, 흙, 나뭇가지, 나무껍질, 나뭇잎 ...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소셜 미디어가 지구를 뜨겁게 만든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6호
- 충전기 규격을 통일하는 법이 올해부터 유럽연합(EU)에서 시행되고 있습니다. 시민단체 녹색연합도 “스마트폰 속 희귀 금속을 재활용하려면 소비자가 스마트폰을 쉽게 반납, 배출할 수 있도록 수거 장소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지요. 이처럼 우리는 책을 만들기 위해 베어지는 나무보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개과천선한 놀부, 다시 화낸 사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듯, 녹색의 길쭉한 기둥 무늬가 함께 있었어요. 사람들은 보랏빛 띠를 ‘스티브(STEVE)’, 녹색의 기둥 무늬는 ‘피켓 울타리’라고 이름붙였습니다. 스티브 같은 오로라는 당시 과학자들에게도 생소했어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오로라사우루스’라는 시민과학 프로젝트를 통해 스티브를 ... ...
- “기후위기 대응책 뒷전, 최우선 과제로 끌어올리고파”_조천호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월 5일, 녹색정의당은 제22대 국회의원선거를 앞두고 ‘1호 인재’로 조천호 박사를 영입했다. 조 박사는 국립기상과학원 원장직을 퇴임한 후 방송과 강연, 책 집필 등을 통해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강조하고 탄소중립의 필요성을 얘기해왔다. 그가 총선 비례대표 후보로 변신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 ...
d라이브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