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푸른곰팡이
푸른곰
팡이
곰팡이
곰팽이
초록
녹색
뉴스
"
푸른
"(으)로 총 377건 검색되었습니다.
[화보]해바라기를 이불 삼은 이구아나
동아사이언스
l
2020.11.16
푸른
바닷속을 유유히 헤엄치고 있는 바다거북의 모습이다. 바다거북 외에는 깊고
푸른
바다밖에 없다. 사진작가인 마키와 매트는 "물이 너무 맑고 거북이도 너무 많았고 조명도 완벽했고 주변엔 아무도 없었다"며 "발이 물집과 출혈로 가득찼고 강한 조류와 싸우고 있었지만 바다의 아름다움엔 ... ...
[표지로 읽는 과학] 소행성 ‘베누’의 시료를 기다리는 3개의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20.11.08
사실은 베누가 큰 소행성에서 떨어져나왔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고 덧붙였다. 오른쪽
푸른
영역은 풍화 작용에 관한 연구다. 풍화작용이 일어난 달 표면을 적외선 이미지로 촬영하면 붉고 어둡게 나타난다. 그런데 베누처럼 물과 유기물질로 이뤄진 소행성에서는 풍화작용이 표면을 어떻게 ... ...
QLED 디스플레이 난제 '청색광 퀀텀닷' 왜 만들기 어렵나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내년부터 양산할 계획인 QLED 디스플레이도
푸른
색 OLED를 광원으로 하고 앞에
푸른
빛을 받아 적색과 녹색을 내는 퀀텀닷 필름을 배치하는 방식이다. 연구진은 외부 빛이 아닌 전기가 가해지면 스스로 빛을 내는 광원인 퀀텀닷 개발에 착수해 지난해 효율과 안정성을 높인 적색광과 녹색광 ... ...
LED 연구에서 청색광이 마지막에 정복되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네이처'에 발표했다. LED 개발에서
푸른
빛을 내는 것은 마지막 난제로 꼽힌다.
푸른
빛이 다른 빛에 비해 에너지가 크다 보니 이를 내는 소재를 개발하기가 가장 어려워서다. 오랜 기간 큰 에너지를 받으며 견디는 소재를 만드는 것도 관건이다. 빛을 내는 반도체인 LED는 양의 전기적 성질을 가진 ... ...
삼성전자 청색광 QLED 최고 효율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개발에 성공했다. 청색광 퀀텀닷은 적색이나 녹색에 비해 에너지가 큰
푸른
빛을 내야하지만 소재가 이를 견디기 어려워 이를 해결한 소재를 찾는 것이 난제로 꼽혀 왔다. 이번에 개발된 청색광 퀀텀닷은 전기를 받아 빛을 내는 방식의 '자발광' 퀀텀닷이다. 빛 변환 효율을 이론 효율까지 ... ...
[표지로 읽는 과학] 코로나바이러스, 유연한 관절 달린 스파이크로 인체 침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1
스파이크 단백질 주변을 당 분자인 ‘글리칸’이 감싸고 있는 것도 발견했다. 표지의
푸른
스파이크 단백질을 둘러싼 하얀 물질이 글리칸이다. 인체가 바이러스를 무력화하기 위해 만드는 항체는 주로 스파이크 단백질을 표적으로 삼는다. 하지만 글리칸이 스파이크 머리 표면을 코팅하듯 감싸면서 ... ...
[프리미엄 리포트]'맨해튼 프로젝트' 현장에 가다
2020.09.26
조약돌이었습니다. 실험에서 발생한 열 때문에 사막의 모래들이 녹아 만들어진 겁니다.
푸른
조약돌과 산산조각 난 실험 장비들을 보니 폭탄의 위력이 얼마나 컸을지 상상이 됐습니다. 핵에너지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조심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1945년 7월 16일 트리니티 ... ...
[표지로 읽는 과학] 목성 대기에서 치는 새로운 번개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0.08.08
복잡하게 엉켜 하늘을 가득 덮은 구름 내부에서 번개가 치고 있다. 번개는 크고 밝은
푸른
번개와 좀더 규모가 작은 붉은 번개 두 가지다. 붉은 번개는 다른 구름보다 좀더 위로 솟구친 구름에서 발견된다. 헤이디 베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 연구원과 코넬대, 프랑스 ... ...
"북극곰·호랑이보다 초식동물 멸종을 더 걱정해야"
연합뉴스
l
2020.08.06
재판매 및 DB 금지] '북극곰이나 호랑이가 사라지는 것을 걱정할 때가 아니라 코뿔소나
푸른
바다거북 등과 같은 초식동물의 멸종을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미국 유타주립대학 생태학자 트리샤 애트우드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육식 동물이 멸종 위기에 가장 취약하다는 통념과 달리 진짜 ... ...
보현산천문대에서 포착된 '니오와이스' 혜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7.17
태양에 의해 타면서 형성된 긴 ‘먼지 꼬리’는 물론 분자와 전자가 이온화돼 나타나는
푸른
빛의 희미한 ‘이온 꼬리’까지 선명히 촬영됐다(아래 사진). 니아와이즈 혜성은 3월 27일 근지구 천체를 탐사하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니오와이즈’ 탐사위성이 발견한 33번째 혜성이다. 태양계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