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3,905건 검색되었습니다.
발효의 마법 '장', 과학 만나 바질페스토·뇨끼로도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2.22
고초균이 많이 증식합니다. 고초균은 땅에 많이 사는 세균으로 콩을 재배할 때 쉽게 콩
표면
에 붙어 옵니다. 누룩곰팡이와 고초균은 화학반응을 빠르고 쉽게 도와주는 물질인 효소를 만들어 냅니다. 약 한 달 동안 발효를 마치면 콩 덩어리는 메주가 됩니다. 장 담그기는 발효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 ...
당뇨·코로나19·에이즈 한번에 진단하는 AI 도구
동아사이언스
l
2025.02.21
있는 사람은 B세포와 T세포 수가 증가한다. 또 항원을 인식하기 위해 면역세포의 세포막
표면
에는 수용체가 생성되기 시작한다. 해당 수용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배열 순서를 밝히면 질병과 감염에 대한 기록을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연구팀은 B세포와 T세포 수용체의 주요 영역을 암호화하는 ... ...
'임무 연장' 달 궤도선 다누리 고도 60km로 낮춰
동아사이언스
l
2025.02.20
연구팀은 “궤도 조정으로 다누리가 기존보다 낮은 궤도에서 약 7개월간 운영되며 달
표면
을 더욱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누리의 임무 고도는 평균 100km에서 60km로 낮아졌다. 지난 10일 열린 '달탐사 관련 사업추진위원회'에서 다누리의 임무기간이 2년 추가 연장됐다. 202 ... ...
'기적의 항암제' CAR-T 치료제, 암환자 18년 생존 기록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2.18
알려져 있는데 이를 반박하는 사례가 나온 셈이다. 혈액암과 달리 고형암은 암세포
표면
에 표적으로 삼을 수 있는 적절한 바이오마커가 없다. 헤슬롭 교수는 "CAR-T 세포 치료를 받은 환자 몸에서 5년 이상 지난 뒤에도 변형된 T세포가 검출된다"면서 "몸에 남아 있는 T세포가 암이 재발할 때 ... ...
차세대 친환경 건식 반도체 제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17
회로 패턴이 점점 미세해지고 있다. 기존의 반도체 습식 제조법에서는 액체 화학물질의
표면
장력 때문에 극자외선 포토레지스트의 미세 패턴이 무너질 위험이 있다. 연구팀은 습식 공정법과 다른 건식 공정법에 주목했다. 기존 건식 공정법은 전용 장비가 필요하고 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 ...
냉난방 소비 줄이는 법 발견…열방사율 자동 조절하는 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2.17
상관없이 내부 온도를 70℃로 유지시켰다. 김 교수는 “개발한 고분자 복합재를
표면
으로 하는 냉난방 장치는 외부 온도와 상관없이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냉난방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면서 “배터리처럼 온도에 민감한 제품에 활용하면 일정한 온도 유지가 가능해 ... ...
저렴한 '코발트-철' 촉매로 친환경 수소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6
특성(Ce³⁺/Ce4⁺ 전환)을 이용하면 촉매의 전자 특성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촉매
표면
에서 암모니아가 질소와 수소로 분해되는 과정 중 가장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계(속도결정단계)인 질소의 재결합-탈착 반응이 원활히 이뤄지는 것이다. 이번에 개발된 촉매는 낮은 온도에서도 우수한 ... ...
한국 시조 담은 美 민간 달 탐사선, 달 궤도 진입
동아사이언스
l
2025.02.16
Crisium·위난의 바다)' 내의 몬라트레이유(Mons Latreille)라 불리는 고대 화산 지형 근처다. 달
표면
에 착륙한 뒤에는 달이 밤을 맞을 때까지 약 14일 동안 작동하며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블루 고스트에는 위성 항법 실험을 비롯해 방사선에 적응하는 컴퓨터, 달 먼지를 닦아낼 수 있는 자동 세척 ... ...
햇빛·바람으로 바닷물→식수 전환…효율 5배 개선
동아사이언스
l
2025.02.14
바닷물을 가열해 발생한 수증기만 분리해 내는 방법이다. 하지만 수증기가 증발기
표면
에 쌓여 태양광 흡수를 방해하고 증발을 억제한다는 문제가 있다. 기존의 태양열 및 바람 증발기의 한계와 이를 극복한 회전형 3D 태양열 증발기의 성능 모식도. 포스텍 제공 연구팀은 원통형으로 회전하는 ... ...
피 몇 방울로 '폐암 돌연변이' 잡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3
4~5개의 양인 20µL(마이크로리터)의 혈장만으로 암을 진단할 수 있다. 연구팀은 리포좀
표면
이 전하를 띠도록 설계해 검출 민감도를 높였다. 감도가 높아 특정 암 돌연변이 유무 확인뿐 아니라 초기암 진단, 치료 후 잔류 암세포(미세잔여질환) 모니터링 등에도 활용 가능하다. 또 기존 진단법과 달리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