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깃
날개
뉴스
"
지느러미
"(으)로 총 14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술의 최전선]체액서 스스로 헤엄치며 목표 찾아…‘나노로봇’ 암치료 새 희망
동아사이언스
l
2017.12.29
만든 이유는, 나노 세계에서는 물이 마치 꿀처럼 끈적끈적해지기 때문에 물고기의
지느러미
나 배의 노처럼 반복적인 움직임을 이용해서는 늪에 빠진 것처럼 전혀 앞으로 나아갈 수 없기 때문이다. 프로펠러처럼 회전해야만 ‘물의 늪’에서 헤어날 수 있다. 김 교수는 이렇게 만든 나선형 단백질에 ... ...
개복치 족보 다시 쓰다
과학동아
l
2017.12.26
다른 개복치와 달리 돌출된 머리, 돌출된 턱, 직사각형의 몸, 방향타로 알려진
지느러미
줄 등의 신체적 특징을 가진 것으로 정리했다. 이번 연구 결과로 1996년 발견 이래 세계에서 가장 무거운 물고기로 기네스북에 등재된 개복치의 종도 개복치에서 범프헤드개복치로 바뀌게 됐다. doi:10.1007/s10228-017 ... ...
[짬짜면 과학 교실] 인어 공주와 펭귄 신사 이야기
2017.12.16
말을 주고 다리를 얻은 인어는 사랑하는 남자에게 다가갈 수 있었어요 창공을 주고
지느러미
를 얻은 큰 새는 바닷속을 헤엄쳐 먹이를 잡을 수 있었어요 언어를 잃어버린 인어는 고백할 수 없어 물거품이 되었어요 하늘을 잃어버린 큰 새는 날아갈 수 없어 눈사람이 되었어요 인어 ... ...
[생태연구 동행르포] 염색체 이형 생명체, '동방종개' 찾아 삼만리
동아사이언스
l
2017.11.02
시계방향으로 고명훈 연구원이 마취를 위해 MS-222를 뿌린 뒤 마취된 동방종개의 꼬리
지느러미
를 잘라 시료통에 넣고 있다. - 김진호 ● 종 보존하기 어려운데...종개 터전은 계속 사라져 이튿날인 27일 오전부터 바쁘게 움직인 조사팀은 북북 영덕군을 가로 지르는 영덕 오십천으로 향했다. 이곳에선 ... ...
킬러 고래 출현, 수영하던 사람들 혼비백산
팝뉴스
l
2017.10.24
제공 수영을 즐기던 사람들이 비명을 지르며 물 밖으로 뛰어나온다. 뒤에는 수직
지느러미
가 수면 밖으로 나온 것이 보인다. 영어로는 킬러 웨일, 한국어로는 범고래이다. 백상아리보다 상위에 있는 포식자로 평가받는 고래가 서서히 접근해왔고 이 사실을 확인한 수영객들이 일제히 대피한 것이다. ... ...
[카드뉴스] 등 푸른 생선의 대표 고등어
동아사이언스
l
2017.09.24
있습니다. 등
지느러미
2개가 멀리 떨어져 있고, 등
지느러미
와 뒷
지느러미
뒤쪽으로 토막
지느러미
가 5개씩 늘어서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고등어는 시속 60~70km로 빠르게 헤엄칩니다. 얇게 퇴화한 비늘과 방추형의 몸꼴 덕분에 물의 저항을 최소화하고, 적색근의 비율이 높아 오랫동안 헤엄칠 수 ... ...
[카드뉴스] 깨처럼 고소한 물고기 전어
동아사이언스
l
2017.09.10
뒤쪽에도 선명하고 커다란 검은 반점이 있습니다. 등
지느러미
맨 뒤쪽에 가느다란
지느러미
줄기가 실처럼 길게 늘어진 것이 특징입니다. 일반적으로 여름 동안에는 먼바다에 머물다가 가을부터 봄에 걸쳐 얕은 바다로 몰려듭니다. 떼를 지어 몰려든 전어들은 3∼6월경에 산란을 합니다. 흔히 가을 ... ...
[팔라우에서 온 힐링레터] 토끼처럼 톡톡 튀는 귀염둥이 물고기 ‘고비’
2017.09.03
물 속에서도 깡충대듯 톡톡 튀는 어류가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어류 대부분이 꼬리
지느러미
를 흔들며 부드럽고 유연하게 헤엄쳐 다니는 것과는 다르다. 우리말로 ‘망둥어’ 또는 ‘망둑’이라고 부르는 ‘고비(goby)’가 톡톡 튀듯 헤엄치는 대표적 어류다. 제임스정 제공 이들 중에서 ... ...
[카드뉴스] 한국인 입맛 사로잡은 먹을거리 오징어
동아사이언스
l
2017.09.03
위해 피부 밑에 있는 색소주머니를 조절해 몸 빛깔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평소엔
지느러미
로 조용히 헤엄치는 오징어지만 급박한 상황에선 몸속에 머금었던 물을 한꺼번에 내뿜어 천적의 눈에서 순간적으로 사라집니다. 먹물로는 물을 흐리며 몸을 숨길 뿐 아니라 흐릿한 형체를 만들어 적의 ... ...
2억 5000만 년 전 물고기는 이렇게 생겼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8.31
가슴과 배에 각각 한쌍씩 있던
지느러미
의 자체근육으로 움직였다. 엽상어류의
지느러미
가 점차 발달해 양서류로 진화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연구팀은 먼저 2억 5000만 년 전 트라이기 해양 침전물에서 나온 화석의 12개 유전자 DNA 서열을 알려져 있던 기저어류와 비교해 친척 종임을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