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후
안팎
시종
주변
주위
상황
뉴스
"
앞뒤
"(으)로 총 242건 검색되었습니다.
산업용 로봇팔 조종하는 스마트 마우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지시를 자유자재로 수행하기 위한 6자유도 마우스를 설계했다. 6자유도는 좌우 상하
앞뒤
방향으로 움직임과 함께 각 방향을 축으로 하는 회전 모두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경우를 일컫는다. 마우스는 아래로 버튼을 당기면 아래로 내려가고, 돌리면 돌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등 직관적으로 로봇을 ... ...
[주말N수학] 프로듀스X 101 투표 조작 의혹
수학동아
l
2019.10.12
최종 득표수에서 이상한 점을 발견하고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렸습니다. 1위부터 20위까지
앞뒤
순위의 표 차이를 계산했을 때 똑같은 수가 반복된다는 것입니다. 7494와 7495는 각각 2번, 29978은 무려 5번이나 나왔습니다. 우연의 일치라고 하기에는 믿기 어려운 현상입니다. 의혹② 20위 득표수는 ... ...
연구재단 '노벨상 근접 한국 학자' 놓고 '타당성·적절성' 논란
연합뉴스
l
2019.10.10
잣대가 되는 요인들을 제외하고 분석한 결과를 '노벨상' 관련 제목으로 공개한 것은
앞뒤
가 맞지 않는 설명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명예교수는 이에 대해 "노벨상은 피인용지수로 상을 주는 기록경기가 아니다"라고 잘라 말했다. 특히 국내에서 기초연구를 위한 정책과 ... ...
"충전 가능한 세상 만든 과학자들"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노벨화학상 수상자 공적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장점은 전극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대신,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리튬 이온이
앞뒤
로 흐른다는 것이다. 1991년 리튬 이온 배터리는 처음 상용화됐다. 이후 우리의 삶에 거대한 혁신을 가져왔다. 전자기기들을 무선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됐으며, 앞으로 화석연료가 없는 친환경 사회가 탄생할 수 ... ...
[주말N수학] 수학적으로 베이글과 머그잔은 똑같다
수학동아
l
2019.09.14
있고 밑이 하나 더 뚫려있지 않나. 딱 보면 답이 보이는데 어떻게 1개인가.” “건물
앞뒤
에 문이 1개씩 있으면 출입구가 2개라고 하지 1개라고 안 한다.” 주장B : “빨대 구멍은 긴 1개의 구멍이다.” “빨대 구멍이 2개면 도넛 구멍도 2개냐?” 양쪽 의견이 다 그럴듯하죠? 그럼 이제 정답을 ... ...
에베레스트산에서 조난 당해도 달려갈 헬기 뜬다…서울대팀, 헬기기술 경진대회서 준우승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0m가 날 수 있는 고도의 한계로 알려져 있다. 크레인팀은 헬리콥터 로터와 고정익 항공기
앞뒤
날개가 모두 달려있고 하이브리드 엔진을 장착한 헬기 모델(그림)을 제시했다. 이 헬기는 높은 고도에서도 효율성과 안전성이 뛰어난 점을 입증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연구팀 지도는 이관중 서울대 ... ...
여객기 바닥에서 자는 승객
팝뉴스
l
2019.09.03
아프거나 하지 않고 편한지 궁금해한다. 한편 부정적인 반응도 없지 않다. 분명히
앞뒤
승객에게 큰 불편을 끼칠 것이라는 지적이다. 또 여객기 카펫이 절대 깨끗하지 않다면서 혀를 차는 사람도 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 ...
[프리미엄리포트]"박휘이따고훼서 곡종헸는대"…맞춤법 틀려도 해석이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9.08.10
하나는 음절교환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네글자씩’을 ‘네짜글씩’ 등으로 단어의
앞뒤
음절을 바꾸고 된소리를 추가한 문장 4개로 이뤄진 구문을 제시했다(아래 사진 2). 한국어 경력이 1~17년으로 다양한 외국인 10명에게 제한시간 5분 내에 이들 문장을 해석해 한글로 쓰게 했다. 결과는 ... ...
[Science토크]‘알파폴드’ 쇼크로 치열해지는 단백질 구조 분석 경쟁
동아사이언스
l
2019.07.28
그의 접근법에 ‘반복적 기하학적 네트워크’라는 이름을 붙였다. 아미노산이 배열되는
앞뒤
의 정보를 기반으로 단백질의 일부분 구조를 예측하는 방식이다. 사람들이 문장 전체를 이해할 때 해당 문장에서 주변 단어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단어를 해석하는 것과 유사하다. 알쿠래시 박사는 자신이 ... ...
[과학촌평] ‘연구소 6시면 불꺼진다’는 담론이 불편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9.07.15
국내 출연연구기관의 52시간 근로제 적용으로 국가의 앞날이 어둡다는 논리는
앞뒤
가 맞지 않다. “연구과제를 맡은 연구자들은 어떡해든 정해진 기한 내에 성과를 내야 합니다. 주52시간 근로제 도입과 관계없이 말입니다. 후속 연구비를 받아내려면 어쩔 수 없지요. 저녁 6시 컴퓨터와 불을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