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후
안팎
시종
주변
주위
상황
뉴스
"
앞뒤
"(으)로 총 247건 검색되었습니다.
[카드뉴스] 비·커피·만년필의 물리학
동아사이언스
l
2021.09.07
미세한 속도 차이가 납니다. 그 결과 걷는 방향에 따라
앞뒤
로 진동하고 컵 안의 커피도
앞뒤
로 출렁입니다. 발걸음에 따라 머그컵은 위아래로 진동하는데 실험에 따르면 진폭은 1cm 정도입니다. 그에 따라 컵 안의 커피도 위아래로 출렁거립니다. 머그잔에 신경을 쓰지 않거나 장애물을 피하려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랑받는 게 두려운 사람들
2021.09.04
사람들의 경우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지만 모든 것이 내 잘못”이라고 하는
앞뒤
가 맞지 않는 자책을 한다. 할 수 있는 게 없다면 내가 모든 것을 망칠만한 영향력 또한 없는 게 맞을 것이다. 또 대체로 성공 확률은 작고 실패 확률이 더 큰 법이어서 서로 다른 100가지 일을 전부 잘 해낼 ... ...
[올림픽의 과학]인간은 단거리보다 마라톤에 최적
동아사이언스
l
2021.08.07
존재하는 목덜미인대는 두개골 아래 부분과 목을 연결하고 있는데, 달릴 때 머리가
앞뒤
로 흔들리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긴 아킬레스건을 비롯해 다리의 힘줄 배치를 보면 스프링 역할을 해 매번 발을 뻗을 때마다 에너지의 절반을 비축해 다음 번에 방출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인간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니소바인은 한반도에도 살았을까
2021.07.13
반면 현생인류는 이마가 높고 얼굴 폭이 좁고
앞뒤
가 짧다. 위아래가 짧지만 폭이 넓고
앞뒤
가 길어 하얼빈 두개골의 뇌용량은 1420㎖로 호모 사피엔스와 비슷하다. 네안데르탈인도 같은 이유로 현생인류와 뇌용량이 비슷하다. 하얼빈 주인공과 네안데르탈인의 뇌가 럭비공이라면 호모 사피엔스의 ... ...
발사체 엔진 수출 타진하던 연구자들 '칭찬' 대신 '경고'…과기정통부의 이상한 감사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1.06.29
것은 누리호 상업용 개량과 우주산업화에 시동을 걸고 있는 과기정통부의 최근 행보와
앞뒤
가 맞지 않아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개한 항우연 종합감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과기정통부 감사관실은 2015년부터 지난해 5월까지 항우연 한국형발사체 개발사업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근시와 보랏빛
2021.06.08
파란빛(BL)은 다소 효과가 있지만 초록빛(GL)과 빨간빛(RL)은 소용이 없다. 아래는 안구의
앞뒤
길이로, 왼쪽은 도수가 없는 안경을 쓴 눈이고 오른쪽은 오목렌즈를 쓴 눈이다. PNAS 제공 ○ 뉴롭신, 보랏빛에 민감한 빛수용체 연구자들은 빛수용체의 하나인 뉴롭신(옵신5)을 주목했다. 생쥐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통제감 환상, 의지력처럼 보이는 잘 포장된 객기
2021.05.01
자신을 믿더라도 ‘믿을만한’ 부분을 잘 파악해서 믿어야 하는 것이다. 안타깝지만
앞뒤
재지 않고 자신은 뭐든지 다 할 수 있다고 우기는 것을 ‘의지력’이라고 포장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 것 같다. 다른 사람이 하면 ‘객기’라고 부를만한 일을 자신이 하면 의지력이라고 포장하는 경향이 ... ...
163일만에 귀환길 오르는 '크루-1' 참가자들, 우주에 머물며 어떤 실험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4.27
전후의 망막 변화를 연구했다. 우주에 장시간 체류한 우주인 중 40%는 안구가 눌려 안구의
앞뒤
길이가 짧아지는 ‘신경안구증후군(SANS)를 겪는다. NASA는 워커의 연구를 통해 우주에서 시각 장애가 나타나는 원인과 예방,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 ...
무겁고 두꺼운 VR기기, 안경처럼 얇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6
일정하거나 회전하는 현상이다. 빛의 편광 상태를 제어해, 빛이 광학계의 공간 안에서
앞뒤
로 왕복 진행하도록 만들었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짧은 물리적 거리만으로 충분히 빛이 왔다갔다할 수 있는 길을 만들었다”며 “이를 통해 VR 디스플레이의 두께를 3분의 1 더 줄였다”고 설명했다. 약 3 ... ...
피부에 이식한 태양전지로 빛 만들어 뇌 기능 조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삽입하고 태양전지로 생산된 전력을 원격 스위치로 작동시켰다. 그러자 수염이
앞뒤
로 정확하게 움직이는 사실을 확인했다. 김태 교수는 “광유전학은 정밀하게 뇌 기능을 조절하는 뇌과학 연구뿐 아니라 신경정신과 질환 치료를 위한 임상 활용 등 잠재력이 크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