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심리
상태
상테
뉴스
"
심리상태
"(으)로 총 614건 검색되었습니다.
"소셜미디어 과사용, ‘중독성’ 탓 아니다"...학계 갑론을박
동아사이언스
l
2023.11.10
소셜미디어 사용은 ‘중독’이 아니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PeopleImages/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인스타그램, 엑스(X), 페이스북 등의 소셜미디어 사용은 중독성 때문이 아니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일부 전문가들의 이같은 연구결과에 동의하지 않고 있다. 영국 더럼대 심리학과 연구팀은 학생 51 ... ...
하루 간병만 14.4시간..."중증아동환자 이곳에 잠깐 맡기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3.11.01
서울대병원 넥슨어린이통합케어센터 입원실 모습. 중증 소아청소년 환자를 둔 보호자의 하루 간병 시간은 평균 14.4시간(서울대병원 2020년 조사)이다. 중증 소아 환자 자녀를 둔 A씨는 “에너지 음료로 버티고 있다”며 하루하루 수면 부족과 고된 돌봄 노동에 시달리고 있다고 호소했다. 아이를 돌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부정적 생각을 '생각'할 줄 알아야 한다
2023.10.14
감정에 먹히지 않되 그것의 메시지를 알아차리는 것이 중요하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생각에 대해 생각할 줄 아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부정적 정서를 잘 이겨낸다는 발견들이 있었다. 예를 들어 슬프고 우울한 기분이 들 때 밑도 끝도 없이 우울하다고 하기보다 "오늘따라 사소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뒷담화'의 사회적 순기능
2023.10.07
가십의 대표적인 역할은 ‘결속’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직장 상사에 대한 욕을 하거나 자신에게 상처를 준 사람에 대해 그 사람을 알고 있는 제 3자에게 이야기 하는 행위를 흔히 ‘가십(gossip)’ 또는 뒷담화라고 한다. 가십과 관련된 흥미로운 발견은 인류 역사를 통틀어 어떤 사회에서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둘러보면 '소중한 존재'가 있다
2023.09.09
사회적 동물인 인간에게 양질의 사회적 관계는 생명줄과도 같은 존재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요즘 피로에 지쳐서 아무 것도 하지 못하고 있는 나를 붙들고 나보다 더 내 일을 열심히 챙겨 주는 친구가 있다. 만사가 다 귀찮지만 덕분에 조금씩 힘을 내보고 있다. 문득 위기의 순간마다 항상 내 곁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피곤하면 왜 몸이 무겁게 느껴질까
2023.09.06
대뇌 감각피질의 넓이에 비례에 만든 인체 모형인 감각 호문쿨루스. 얼굴과 손은 실제보다 훨씬 크고 몸과 팔다리는 왜소한 생김새다. 같은 자극이라도 신체 부위에 따라 꽤 다르게 느껴지는 이유다. 위키피디아 제공 인터뷰 녹음을 듣다 보면 ‘이게 내 목소리인가?’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발 ... ...
모든 말에는 의미가 있다…심지어 욕설까지도
과학동아
l
2023.08.19
욕설에도 의미가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악! XX!” 새벽에 화장실에 가다 문지방에 발가락을 찧었다. 한참을 냉장고 옆에 쓰러져 발가락을 부여잡고 문지르다보니 창피하면서도 궁금하다. 왜 사람은 아프면 욕을 할까. 그 이유를 연구한 심리학자는 2010년 이그노벨상을 수상했다. 웃기게 ... ...
인공지능 기술로 '어린이 보호' 앞장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18
어린이보호구역에서 초등학생들이 길을 건너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정부가 인공지능(AI) 기술을 이용해 어린이 보호 구역 내 교통사고를 예방하고, 아동 목격자의 2차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를 추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경찰청과 공동으로 추진하는 '치안현장 맞춤형 연구개 ... ...
생성형AI의 의학·과학 습격...'전문가' 인간은 살아남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7.17
인공지능은 단순한 이해를 넘어 창조의 영역까지 넘보고 있다. 위키미디어 제공 오픈AI의 챗GPT가 등장한 이후 글로벌 테크 공룡들이 앞다퉈 고성능 생성형AI(인공지능)를 내놓고 있다. 편향성, 허위정보를 의미하는 '환각' 등 생성형AI의 한계점도 드러나나면서 과학계에서는 AI가 과연 의학, 법학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감정과 생각 평가하지 않아야 마음이 쉰다
2023.07.15
행복하고 싶다면 현재를 살라고 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행복하고 싶다면 과거도 미래도 아닌 ‘현재‘를 살라고들 한다. 실제로 다년 간의 심리학 연구에 의하면 이미 지나간 일을 되돌아보며 계속해서 괴로워하는 ‘곱씹기(rumination)’나 높은 확률로 일어나지도 않을 미래의 일에 대해 이러면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