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심리상태"(으)로 총 297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초과근무', 반드시 좋은 성과 낳는 건 아니다2025.04.12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벌써 10년이 훨씬 지난 이야기지만 야근이 잦은 회사에서 잠시 일한 적이 있다. 일의 성과보다도 엉덩이가 무겁게 회사에 ‘오래’ 붙어있는 것이 충성심(?)과 성실함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곳이었다. 특이한 현상들을 많이 관찰 할 수 있었지만 그 중 하나는 낮에는 아무도 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서머타임은 과연 과학적일까2025.04.02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지난 11월 초 미국의 지인과 화상회의를 하기로 한 시간에 상대가 들어오지 않았다. 5분쯤 기다리다 전화를 했더니 아직 약속 시간이 아니란다. '맞는데...'라고 생각하다 문득 아차 싶었다. "혹시 서머타임(summer time) 끝났나요?" "아 맞네요. 이번 주 일요일(11월 3일)부터 바뀌었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이 과할 때 나타나는 부작용2025.03.29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자존감과 우울증 사이에는 대체로 높은 부적 상관(하나가 높으면 다른 하나는 낮은 관계)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것이 곧 높은 자존감(낮은 우울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이 대체로 낮은 우울증상(높은 자존감)을 보이는 것인지, 안정적인 개인차가 나타나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를 아는 것, 목표 달성 성패 가른다2025.01.04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찰스 카버 등 자기통제를 연구해온 학자들에 의하면 자기 통제의 가장 기본이 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①목표 설정 ②실행 및 모니터링 목표나 실행 과정 개선 ③평가 (개선 과정이 잘 이뤄졌는지) ④최종 평가 (달성해야 할 목표와 현 상태가 얼마나 가까워졌는지 확인)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계엄군에 맞서는 힘은 어디서 나올까2024.12.07
-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가운데 4일 자정께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시민들이 계엄 해제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군인들이 압도적으로 강하다는 걸 모르지 않았습니다. 다만 이상한 건, 그들의 힘만큼이나 강렬한 무엇인가가 나를 압도하고 있었다는 겁니다. 양심.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혼자 이겨내는 고난이 있을까2024.11.16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혼자 이겨낼 수 있는 고난이 존재할까. 불평등, 차별, 가난, 극심한 경쟁과 물질주의, 질병 등 삶에서 큼지막한 고통을 차지하는 문제의 다수가 쉽게 바꿀 수 없는 요소들, 예를 들어 태어난 가정 환경, 양육자의 소득 및 교육 수준, 사회적 구조, 타고난 건강함 등에 의해 큰 영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로마테라피가 과학일까2024.10.30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아로마테라피(향기요법)가 국내에 본격 소개된 지 한 세대가 지났다. 아로마테라피는 식물에서 추출한 오일, 정유를 흡입하거나 몸에 발라 심리 또는 생리 효과를 보는 민간요법이다. 우리나라 사람 대다수는 알게 모르게 아로마테라피 컨셉을 지닌 제품을 써봤을 것이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고통은 '주관적'…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이유2024.10.12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우리가 흔히 '인생은 고통'이라고 이야기할 때 사용하는 고통(suffering)의 의미에 관해 조사할 일이 있었다. 아무래도 신체적, 심리적으로 심각한 고통을 겪는 사람들을 자주 보게 되는 의사들이 주로 만성 통증, 말기 암 환자들을 치료하는 입장에서 고통에 대해 이야기하는 문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육아 하는 부모, 죄책감 줄여야2024.09.28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세상에서 가장 자기 자신에게 모질고 죄책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있다면 그 중 한 그룹이 바로 양육자가 아닐까 싶다. 이제 6개월이 된 아이를 재우고 잠깐 침대에 올려둔 채 잠깐 발 걸음을 돌린 찰나 ‘쾅’ 소리와 함께 울음 소리가 들렸다. 불안한 느낌에 달려가보니 아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일을 미루는 사람일까2024.08.31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많은 사람들은 미루기 천재다. 금방 할 수 있을 거라는 둥 다양한 이유를 붙여가며 마지막까지 미루다가 데드라인 직전에 고통을 맛보며 심지어 우는 일을 많이 겪어봤을 것이다. 필자 역시 미루기에 대한 원고를 미루면서 작성했음을 밝힌다. 뻔히 더 고통받을 것을 알면서 우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