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출량
수확고
수량
생산고
뉴스
"
수확량
"(으)로 총 87건 검색되었습니다.
들쭉날쭉 CO2 농도, 범인은 농사
과학동아
l
2014.12.08
마크 프라이들 교수는 “경작지의 면적은 일정해도 기술이 발달하면서 면적당
수확량
은 늘어난다”며 “농업 기술의 발달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의 계절 편향성을 더 심해지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 ...
감자부터 북극곰까지 15년간 게놈클럽 회원 240명 넘어
과학동아
l
2014.05.09
등 자가면역질환을 일으키는 2차 면역 기능이 없는데도 생존하는 데 문제가 없다. ●
수확량
40% 늘린 쌀, 병충해 강한 감자 식물 게놈은 기아 해결의 수단으로 활용된다.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하루 2400명이 굶어 죽는다. 2002년 해독된 쌀 게놈에서는 저온과 가뭄 등 스트레스에 저항성을 가진 ... ...
뛰는 GMO 위에 나는 해충
과학동아
l
2014.03.19
옥수수의 뿌리를 갉아먹는다. 뿌리에 해를 입은 옥수수는 성장능력이 떨어져 결국
수확량
이 줄어든다. 병충해를 이기기 위해 개발된 유전자변형(GM) 옥수수들이 ‘변신’을 거듭하는 해충에게 번번이 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아이오와대 애런 개스먼 교수팀은 병충해에 견디도록 ... ...
"GM작물, 막연한 불안감보다 현실을 직시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9.13
의미심장한 이야기를 꺼냈다. “1930년대 옥수수 종자 혁신으로 미국의 옥수수
수확량
이 ha당 1.2t에서 현재 9.7t으로 비약적으로 늘었습니다. 식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경지를 늘릴 수 없으니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을 택한 것이죠. 재미있는 점은 당시 개발된 교배종 옥수수가 GM 작물이 ... ...
[기고/서석철]식량문제 해결 생명공학에 길이 있다
동아일보
l
2013.08.13
하면 전 세계 인류에게 식량을 공급할 충분한 양의 농업생산량을 확보할 수 있을까.
수확량
을 증가시키는 유일한 해결책으로 유전자변형식품(GMO)을 이용하면 이러한 어려운 점을 극복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GMO는 재배 조건을 개선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과 해충에 ... ...
환경오염 줄이고 밥맛은 좋은 '최고 벼'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21
개발됐다. 농촌진흥청은 기존 벼에 비해 질소비료 사용량을 30%까지 줄여도 쌀
수확량
은 오히려 더 늘어나는 신품종 벼 ‘현품’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질소비료는 벼를 잘 자라도록 돕지만, 많은 양을 사용할 경우 토양산성화와 수질오염의 원인이 됐다. 현품의 개발로 오염은 줄이고 ... ...
곡물 게놈 해독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물론 불필요해져 퇴화하는 경우도 많다. 빵밀 역시 엠머밀에 비해
수확량
도 많고 밀알의 조성도 부드러운 빵이 나올 수 있게 바뀌었다. 논문에 따르면 빵밀의 유전자는 9만4000~9만6000개 정도로 추정된다. 빵밀의 선조인 A, B, D타입 식물은 각각 2만8000개, 3만8000개, 3만6000개의 ... ...
이전
5
6
7
8
9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