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출량
수확고
수량
생산고
뉴스
"
수확량
"(으)로 총 90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후변화로 사라지는 아라비카 커피, '스테노필라'가 대체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4.21
원산지로 커피의 고향으로 알려진 동아프리카 에티오피아는 기후변화로 일반 커피의
수확량
은 증가하지만 스페셜티 커피 생산량은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아벨 케무라 포츠담 기후영향연구소 연구원팀은 15일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에 “평균 품질의 커피는 더 많이 생산될 수도 ... ...
[인간 행동의 진화] 아빠의 진화
2021.04.18
사회가 대표적이다. 농사를 지으려면 갖은 고생을 해야 하고,
수확량
도 빈약하다. 자원이 풍부하고 기후가 온난하면 아무래도 살기는 편하다. 겨울이 없으니 장작을 팰 이유도 없고, 튼튼한 집도 필요 없다. 옷도 가볍게 만들어 입으면 그만이다 ... ...
소빙하기 기회로 삼은 동로마인들... 과거로부터 배우는 '기후탄력사회'는
동아사이언스
l
2021.03.29
유적에서 발견된 꽃가루를 활용해 당시 기후변화에도 불구하고 통치 지역에서는 농작물
수확량
이 오히려 늘어났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고기후학과 고고학에서 유적에서 발견된 꽃가루는 당시 농업의 현황을 추론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연구팀은 13~19세기 또 다시 찾아온 소빙기에서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야생 벼가 식량 위기 구원투수 될까
2021.02.16
낟알이 익은 뒤에도 흩어지지 않았다. 다음으로 1960년대 현대 벼 품종을 탄생시켜
수확량
증가에 결정적인 역할을 해 ‘녹색혁명 유전자’로 불리는 sd1의 변이형으로 바꿔치기했다. sd1 변이형을 지닌 벼(사티바)는 줄기가 짧아 잘 쓰러지지 않고 낟알도 많이 열린다. sd1 변이형인 알타 역시 ... ...
[인간·공감·AI] 점점 불확실해지는 날씨 'AI 데이터 보정'으로 정확히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1
기후 모형을 개발했다. 옥수수 등 작물의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엘니뇨를 예측함으로써
수확량
등을 미리 조절하는 선제적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
“해바라기꽃으로 Go!” 꿀벌도 길들여진다
과학동아
l
2020.10.06
및 실험생물학과 교수는 “꿀벌의 채집 활동을 (특정 식물에) 편향되도록 유도해 작물
수확량
을 크게 높일 수 있다”며 “아몬드, 배, 사과 등 다양한 작물의 냄새를 모방한 화합물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우주에서도 확인한 코로나19가 바꿔놓은 지구의 풍경
동아사이언스
l
2020.09.09
한나 케르너 미국 메릴랜드대 교수팀은 작물이 재배되는 것을 위성으로 관찰해 작물의
수확량
을 관측한다는 계획이다. 케르너 교수는 “위성 데이터와 기계학습을 사용해 작물이 재배되는 위치를 지도화하고 있다”며 “미국의 옥수수와 대두, 러시아의 밀 등 주요 작물을 관측하고 있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벼가 물에 잠겼을 때 일어나는 일들
2020.08.11
것이다. 광합성 산물을 식물체 생장 대신 씨앗을 만드는 데 쓰고 벼가 잘 쓰러지지 않아
수확량
이 많기 때문이다. 1960년대 녹색혁명은 벼와 밀의 키가 작아진 덕분이다. 그러나 침수가 만성적인 지역에서는 평범한 벼는 물론이고 FR13A 같은 침수 내성 벼도 버티지 못한다. 따라서 지금도 여전히 심수 ... ...
[프리미엄 리포트] '갤럭시A 퀀텀'에 들어간 양자난수생성기란 어떤 장치인가
과학동아
l
2020.08.01
기능을 실행할 때 등 다양한 용도로 쓰인다.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시뮬레이션, 작물
수확량
예측, 금융 시장 예측 모델, 심지어 핵무기의 지하 폭발 탐지 등의 확률을 측정할 때도 난수가 사용된다. 난수는 예측이 불가능한 만큼 생성 방법이 결정돼 있지 않다. 그래서 고전적으로는 수학 ... ...
벼 노화 늦추는 유전자 알아내
수확량
7% 늘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4
부족 문제의 유력한 해결책으로 꼽힌다. 노화 속도를 늦추면 광합성 기간과 양이 늘어나
수확량
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기존에도 벼의 노화 속도를 늦추는 데 성공한 연구는 있었다. 그러나 벼가 제때 익지 않아 수량성을 높이지는 못했다. 이번 연구는 노화를 늦춘 인디카 종의 수량성을 7% 늘려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