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죄수복
임의
시체 입히는 옷
의지
욕구
자유
마의
뉴스
"
수의
"(으)로 총 857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려동물과 영원히 함께할 수 있을까…복제 동물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2.24
이렇게 태어난 동물은 체세포를 제공한 동물과 DNA가 99.9% 일치합니다. 장구 서울대
수의
학과 교수는 “복제 동물은 원본 동물의 일란성 쌍둥이와 같아 외모는 구별하기 힘들 정도로 비슷하다”며 “다만 여러 털 색깔을 지닌 동물을 복제할 경우 색을 결정하는 요인이 핵 외에 다른 곳에도 있어 털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지나치게 파격적인 의대 증원
2024.02.14
대형병원으로 집중되어 의료 소외 지역은 더욱 어려워진다는 것이 중론이다. 심지어 ‘필
수의
료 패키지’가 사실은 ‘의료멸망 패키지’라는 지적도 있는 형편이다. 의료계의 거듭된 거친 반발도 걱정스럽다. 의료계가 우리 사회의 보건·의료 정책을 책임지고 있다는 무거운 책임감은 찾아볼 수 ... ...
귤을 많이 담으려면…귤포장에 숨은 수학
과학동아
l
2024.02.10
수학적 방법으로 찾지 못한 포장법을 컴퓨터 시뮬레이션 실험으로 찾아낸 겁니다. 다른
수의
경우는 이전에 알려진 결과가 대체로 맞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실험 수학이라니 이게 가능한 일일까요? “이전까지 수학적으로 찾아내지 못했던 쌓기 방식을 찾아낸 것이니 면밀한 검증을 거치면 ... ...
카길한림생명과학상에 김준환·이존화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4.02.05
수의
과대 교수. 과기한림원 제공. 김준환 제주대 수산생명의학과 교수와 이존화 전북대
수의
과대 교수가 ‘제8회 카길한림생명과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카길애그리퓨리나 문화재단은 농·수·축산학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업적과 발전에 기여한 과학기술인을 발굴해 ... ...
[주말N수학] 치킨 주문량 고민 해결책 '피보나치 수'
수학동아
l
2024.01.27
것이다. 제켄도르프 정리는 모든 자연수는 하나 이상의 연속하지 않는 피보나치
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고, 이는 유일하다는 것이다. 이름은 벨기에의 의사이자 아마추어 수학자 에두아르 제켄도르프에서 유래했다. 제켄도르프는 관련 연구를 1972년 논문으로 발표했지만 최초의 연구자는 ... ...
사자·코끼리 생태도 바꿨다…사바나 먹이사슬 '싹' 바꾼 개미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않고 사냥하기 위해 휘파람가시나무처럼 빽빽한 가시덤불 뒤에 몸을 숨기는 사자가 나무
수의
감소로 사냥에 어려움을 겪게 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케냐 라이키피아 카운티에 있는 올 페제타 환경보호구역에 서식하는 암사자 6마리에 목걸이형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을 장착하고 이 사자들이 ... ...
남극해 ‘짠물’ 생성 과정, 첫 정밀 관측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1.18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이원상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로 최근 10년간 고염대륙붕
수의
장기 변동성과 남극저층수 변동에 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며 “전 지구 해양 순환과 해수면 상승 예측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 내용은 국제학술지 ‘네이처 ... ...
꿀벌 줄어들자 '자가수분'으로 번식 전략 바꾼 팬지꽃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하나의 꽃에 모두 지닌 양성화이기 때문에 자가수분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꿀벌 개체
수의
감소가 팬지꽃의 생태에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실시했다. 프랑스국립식물원이 1990년부터 2000년대 초반 사이 채집한 씨앗에서 싹튼 팬지꽃과 프랑스 시골 전역에서 갓 채집한 팬지꽃의 ... ...
인간은 '꼬꼬댁' 소리 듣고 닭 기분 알아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4
감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요그 헤닝 호주 퀸즐랜드대
수의
학과 교수 연구팀은 2일 국제학술지 ‘로열 소사이어티 오픈 사이언스’에 이같은 연구결과를 공개했다. 연구팀은 사람이 닭이 내는 소리의 맥락을 파악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했다 ... ...
나무로 만든 세계 첫 풍력 발전 터빈…에너지 생산에 탄소 흡수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1.01
타워 1개당 240~950톤에 달한다"며 "목재 터빈 타워를 제작하기 위해 벌채한 양보다 더 많은
수의
나무를 새로 심어 지속가능한 재료 수급 구조를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 10년 내 풍력발전 터빈 타워 10%는 나무 소재로 나무는 물이나 불에 취약하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해상에서 거센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