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죄수복
임의
시체 입히는 옷
의지
욕구
자유
마의
뉴스
"
수의
"(으)로 총 840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학 '매직넘버' 이론 뒤흔든 산소 동위원소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8.31
0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앞서 과학자들은 원자핵 안에 일정한
수의
양성자나 중성자를 가진 원소에 주목했다. 이론상 양성자나 중성자가 특정 개수만 존재할 때 원자핵은 훨씬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반감기가 긴 안정적인 상태를 이룰 수 있는 양성자나 중성자의 수는 ... ...
[주말N수학] 대수와 기하는 어떤 관계일까
수학동아
l
2023.07.22
포물선, 원과 연결돼서 기하학과 대수학을 확실히 통합하는 거지요." Q(인문학자). 변
수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복잡한 형태의 도형이 만들어지겠네요. A(수학자). "네, 정확합니다. 보통 데카르트의 좌표평면처럼 x축, y축을 가진 2차원을 생각하는데요. 변수를 늘리지 말라는 법이 없잖아요. 예를 ... ...
[日 오염수 팩트체크] ⑥삼중수소가 몸 속에서 암을 유발한다?
과학동아
l
2023.07.14
남는 삼중수소의 양은 극히 적다. 2011년 캐나다원자력안전위원회가 ICRP의 ‘삼중수소
수의
생물역학’ 자료를 인용해 발표한 바에 따르면 우리 몸에 삼중수소가 들어와 존재할 수 있는 형태의 97%는 HTO다. 나머지 3%는 반감기가 약 40일인 OBT와 반감기가 350일인 OBT다. 몸속 삼중수소는 거의 물의 ... ...
2차 미세플라스틱, 뇌에 염증 유발...신경독성 물질로 작용
동아사이언스
l
2023.07.12
나왔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최성균 핵심단백질자원센터장, 박진규 경북대
수의
학과 교수 연구팀이 이같은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환경 연구’에 발표했다고 12일 밝혔다. 매년 800만 톤의 플라스틱이 쓰레기로 버려지고 있다. 여기엔 미세플라스틱 두 종류가 포함된다. 하나는 ... ...
기온 1도 오를 때마다 꿀벌도 '일주일' 일찍 깬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10
전 세계 농작물의 3분의 1 이상이 꿀벌의 수분으로 생산되는 것으로 추정한다. FAO는 꿀벌
수의
감소가 인류의 식량 수급에 위기를 가져올 수 있다고 밝혔다. ... ...
개가 사람보다 반응 빠른 이유 찾을까...개 후성유전체 표준지도 구축
동아사이언스
l
2023.07.06
개의 후성유전체 기능 표준지도를 작성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조제열 서울대
수의
학과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개의 기능 유전체학 연구 분야 길을 여는 후성유전체 지도를 작성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5일 (현지시간) 게재됐다. ... ...
[주말N수학] 수학자에서 사회운동가로...러셀의 삶을 뒤흔든 역설
수학동아
l
2023.06.24
자신을 포함하지 않는 모든 집합으로 구성된 집합 R을 고려해 볼 게요. 예를 들어 R은 자연
수의
집합을 포함하지만 ‘열여섯 글자로 표현 가능한 대상의 집합’은 포함하지 않습니다.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R은 자기 자신을 포함할까요? R이 자기 자신을 포함한다고 가정해볼게요. R의 정의에 ... ...
면역항암치료 부작용, AI로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6.22
알렸다. 기존 면역항암제 부작용 관련 연구들은 소규모로 진행이 되거나 적은
수의
지표로 국한된 범위에 대해서만 행해졌다. 또한 수행된 연구들은 면역 관련 부작용을 위해 디자인된 연구 설계가 아닌 다른 목적을 위해 모집된 환자군을 모아 수행하는 후향적 연구 설계로 진행됐다는 ... ...
원자력학회 "후쿠시마 오염수, 국내 영향은 무시할 수준"...공개토론 제안
동아사이언스
l
2023.06.20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후쿠시마 오염
수의
처리후 방류가 한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공개토론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한국원자력학회 ... ...
[과기원은 지금] KAIST, 광반도체 소자 집적도 100배 이상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3.06.20
새로운 광 결합 메커니즘을 발견했다고 19일 밝혔다. 하나의 칩당 구성할 수 있는 소자
수의
정도를 집적도라고 하는데 집적도가 높을수록 많은 연산을 할 수 있고 공정 단가 또한 낮아진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새로운 광 결합 메커니즘을 발견함으로써 기존에는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편광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