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휴
공중 장애
아이들링
운행
헛돌기
대기잡음
잡음
뉴스
"
공전
"(으)로 총 40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첫 달궤도선] 다누리가 156만km까지 돌아 가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2.08.05
달의
공전
속도와 비슷하게 천천히 접근해 달의 중력장에 포획되면서 저절로 달
공전
궤도를 형성한다. 지구에서 아무리 높은 곳에 물체를 쏘아 올려도 다른 천체가 없는 한 그 물체는 (탄도 궤도를 취하기 때문에) 결국 다시 지구로 되돌아온다. 하지만 다른 천체가 있다면 그 영향으로 물체가 ... ...
[제임스웹 첫 영상공개]제임스웹은 어떤 우주망원경인가
2022.07.12
우주의 팽창을 이끈 빅뱅이 약 138억년전 발생했다고 본다. 과학동아DB 지구저궤도를
공전
하는 허블 우주망원경과 달리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지구와 달 사이 거리의 약 4배인 지상에서 150만km 떨어진 라그랑주점(L2·태양과 지구의 중력이 상쇄되는 5개의 라그랑주점 중 하나)에 설치됐다 ... ...
가슴 쓸어내린 NASA…달 정거장 궤도시험 위성 교신 복원
연합뉴스
l
2022.07.07
맡았다. '직선에 가까운 헤일로 궤도'(NRHO)라는 명칭이 붙은 이 궤도는 지구-달의
공전
궤도면과 수직으로 길쭉한 타원형을 그리는데, 달의 북극은 약 1천600㎞, 남극은 6만9천600㎞ 거리를 두게 된다. 지구와 달의 중력이 균형을 이뤄 안정적인 비행을 유지하며 연료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 ...
달 정거장 건설 출발부터 '삐걱'…궤도시험 위성 연락 끊겨
연합뉴스
l
2022.07.06
예정이었다. '직선에 가까운 헤일로 궤도'(NRHO)라는 명칭이 붙은 이 궤도는 지구-달의
공전
궤도면과 수직으로 길쭉한 타원형을 그리는데, 달의 북극은 약 1천600㎞, 남극은 6만9천600㎞ 거리를 두게 된다. 이 궤도는 지구와 달의 중력이 균형을 이뤄 안정적인 비행을 유지하며 연료 소모를 최소화할 수 ... ...
26일 새벽 일렬로 선 태양계 행성 5개 맨눈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4
남쪽 하늘 위쪽에서 마지막 자리를 잡는다. 이들 행성이 일렬로 보이는 이유는 각 행성의
공전
궤도가 지구에서 볼 때 한 방향으로 몰리기 때문이다. 천문연은 “달이 그믐에 가깝고 수성의 고도가 3도 이상인 6월 26일 전후 새벽 4시 30분경이 일렬로 늘어선 6개의 행성을 가장 관측하기 좋은 ... ...
[프리미엄 리포트] 태양계 끝 소외된 행성 ‘천왕성’의 재조명
2022.06.18
상에서 구르다시피 하는, 태양계에서 가장 독특한 궤도 운동을 하는 행성이다.
공전
축을 기준으로 자전축의 기울기는 98도나 된다. 여기에 더해 자기장의 형태까지 고려하면 과거 천왕성에 다양한 충돌이 여러 차례 있었으리라 짐작해볼 수 있다. 여기저기 부딪히고 심하게 긁힌 흔적이 가득한 ... ...
태양계 끝자락 맴도는 천체 26개 발견...태양계 초기 역사 '실마리'
동아사이언스
l
2022.06.09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안영민 천문연 박사후연구원은 “2022 GV6처럼
공전
주기가 특이한 천체들을 발견해 태양계 역사의 비밀을 알아낼 것”이라고 말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마야의 천문 지식을 발굴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05
기울였다. 온두라스 코판에서 발견된 판화에서는 현대 달력 기준 29.53일 주기로 지구를
공전
하는 달을 30초 단위로 세세하게 추적하기 위한 공식을 기록한 흔적이 발견됐다. 멕시코 남부 팔렝케에서는 더욱 정확한 공식을 담은 비문이 발견되기도 했다 ... ...
[화보]서울 밤하늘에 나타난 '하트 성운'
동아사이언스
l
2022.05.18
공전
하는 모습들을 한 장면에 담은 작품이다. 금성이 지구보다 안쪽 궤도에서 태양을
공전
하기 때문에 생기는 금성의 위상변화를 잘 보여주는 사진이다. 천문연 제공 임상균 씨의 '꿈틀거리는 태양'. 태양의 흑점을 촬영한 사진으로 흑점 주변의 다양한 역동적인 모습을 볼수 있는 사진이다. 흑점은 ... ...
내달 1일 새벽 4시 56분 금성과 목성 한 점에서 만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18
약 3년 3개월마다 지구에서는 두 행성이 가깝게 붙어있는 것처럼 보인다. 반면 두 행성의
공전
궤도면 기울기가 달라 근접하더라도 겹쳐 보이지 않는 현상도 반대로 발생하기 한다. 이번 근접 현상에서 금성과 목성 사이의 각거리가 0.2도에 불과하다. 보름달 크기인 0.5도의 절반에도 미치지 않는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