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휴
공중 장애
아이들링
운행
헛돌기
대기잡음
잡음
뉴스
"
공전
"(으)로 총 407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우주의 '괴물' 블랙홀
2021.07.22
커진다는 뜻은 시간이 멈춘다는 뜻이다. 블랙홀 주변에서 시간이 느려지는 현상은
공전
의 히트를 기록한 영화 '인터스텔라'에서도 잘 묘사돼 있다. 이 영화의 가장 충격적인 장면은 우주여행을 하고 돌아온 아빠가 자신보다 더 늙어버린 딸과 재회하는 장면이다. 적어도 이 장면은 영화적 ... ...
반짝반짝 작은 별? 사실은 쌍둥이 초거대 별!
과학동아
l
2021.07.08
6월 11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93/mnras/stab1211 쌍성은 두 항성이 공통의 질량중심 주위로
공전
하는 항성계를 뜻한다. 연구팀은 이 별이 은하수의 밀집 지역에 있다는 사실을 토대로 반경 0.25AU(천문단위·1AU는 지구와 태양 사이 거리) 이상인 미지의 천체가 VVV-WIT-08 근처를 지나가며 일시적으로 별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마침내 식품첨가물
공전
이 개정됐다
2021.07.07
소비자들에게 몹시 낯선 것일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상당한 수준의 전문성이 필요한
공전
을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드는 일은 쉽지 않다. 유럽 식약처(EFSA)가 사용하는 ‘E-번호’를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우리 식약처도 국제식품규격(CODEX)이 권장하는 국제번호체계(INS)를 활용한 ‘K-번호’ ... ...
별 집어삼키는 블랙홀, 별 만들기도 한다
과학동아
l
2021.07.05
‘네이처’ 6월 9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038/s41586-021-03545-9 위성은하는 중심은하를
공전
할 때 주변 성간물질과 부딪히면서 별을 형성할 때 쓰이는 원료 기체 일부를 잃는다. 이때 블랙홀에서 뿜어져 나온 에너지는 이 성간물질을 밀어내 밀도가 낮은 공간을 만드는데, 위성은하가 이 공간을 통과하면 ... ...
아포피스 지구 충돌 확률 커졌나…6월 30일은 ‘국제 소행성의 날’
동아사이언스
l
2021.06.27
제기된 ‘아포피스’가 대표적인 사례다. 아포피스는 지름 370m로 324일마다 태양을
공전
한다. 2029년에는 지구에 3만7000km까지 접근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구 상공 약 3만6000km에 떠 있는 정지궤도위성만큼 가까이 지구에 다가올 수 있다는 것이다. 아포피스와 같은 지구위협소행성은 지난해 1월 기준 ... ...
중국·러시아 "2035년까지 달 기지 건설" 손잡았다
연합뉴스
l
2021.06.20
협력을 강화해왔다. 지난 4월 양국은 2024년 탐사선을 발사해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
하는 '준위성'인 소행성 '카모오알레바'의 토양표본을 채취해 돌아오는 임무에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양국의 우주 분야 협력은 관계가 좋지 않은 미국에 대응하는 측면이 있다. 특히 러시아의 경우 현재 미국과 ... ...
NASA, 32년 만에 금성 탐사 재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1.06.03
금성이 왜 지구와 다르게 발전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다. 베리타스는 금성을
공전
하면서 합성개구레이다(SAR)로 행성 표면 고도를 탐지해 금성의 3차원(3D) 지형도를 만들고 판 구조론과 화산 같은 현상이 금성에서도 활성화돼있는지 확인한다. 베리타스는 금성 표면의 적외선 방출을 분석해 ... ...
목성 위성 '유로파' 해저화산 활동 있을만큼 내부 뜨겁다
연합뉴스
l
2021.05.28
열이 발생하면서 암석층을 부분적으로 녹여 해저 화산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분석했다.
공전
주기가 1.7일로 유로파보다 목성 더 가까이 있는 위성 '이오'에서는 수백 개의 화산에서 용암이 흘러나오고 화산 가스가 400㎞까지 치솟는 등 목성의 중력으로 인한 화산 활동이 분명하게 포착됐으나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일반상대성이론의 검증
2021.05.27
궤도가 틀어진다. 그 정도는 뉴턴의 중력상수, 태양의 질량, 수성의
공전
주기, 수성
공전
궤도와 관련된 기하학적 모수들로 계산되는데 수치를 입력하면 정확하게 100년에 43초라는 값이 나온다. 수성의 근일점에 대한 아인슈타인의 논문은 1915년 11월에 발표됐다. 이달에만 아인슈타인은 다섯 편의 ... ...
[프리미엄리포트]달의 안색을 살피다
과학동아
l
2021.05.22
삭망월을 기준으로 하는 음력 한 달(약 29.5일)의 길이가 달라 생기는 현상이다. 달의
공전
주기는 측정 기준에 따라 ‘항성월’과 ‘삭망월’로 나뉜다. 항성월은 멀리 떨어진 별을 기준으로 측정한다. 기준이 되는 별 위치에서 달이 출발해 다시 같은 위치로 돌아오기까지의 기간(약 27.3일)을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