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휴
공중 장애
아이들링
운행
헛돌기
대기잡음
잡음
뉴스
"
공전
"(으)로 총 407건 검색되었습니다.
영화 ‘아마겟돈’ 현실로…NASA, 소행성 충돌 우주선 24일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1.11.23
“소행성의 궤도 방향을 변경하는 데는 소행성의 구조와 내부 물질 조합, 회전속도와
공전
속도 등 여러 변수를 고려해야 한다”며 “분명한 것은 이번 미션이 사상 첫 미션이며 이를 통해 다음 단계로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 ...
"지구 궤도 도는 소행성 '카모오알레와'는 달의 파편"
동아사이언스
l
2021.11.14
4000만km까지 멀어진다. 현재 지구를 도는 것처럼 보이는 준위성 궤도에서 태양을
공전
하고 있다. 연구팀은 카모오알레와가 약 5000년 전에 이 궤도에 진입했으며 앞으로 약 300년쯤 머물 것으로 예측했다. 연구팀은 달에 운석이 충돌할 때의 여파로 카모오알레와가 떨어져 나왔을 것으로 추정했다. ... ...
지름 50m 지구근접 소행성 '카모 오알레와'는 달서 떨어진 파편
연합뉴스
l
2021.11.12
알려진 카모 오알레와는 지구의
공전
궤도와 비슷하지만 약간 더 기운 상태로 태양을
공전
하면서 지구에 가까이는 1천440만㎞까지 접근했다가 4천만㎞까지 멀어지며 위성처럼 붙어있다고 해서 '준(準)위성'으로 분류됐다. 달이 지구의 중력에 붙잡혀 지구 주변을 돌고 있는 것과 달리 카모 ... ...
중심별의 죽음에서 살아남은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21.11.05
있었으며 질량은 목성의 약 1.4배였다. 기존에도 태양 질량의 8배를 넘지 않는 중심별을
공전
하는 목성형 행성은 파괴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시뮬레이션 연구로 밝혀져 있었지만, 실제로 관측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블랙맨 연구원은 “이번에 관측된 항성계는 백색왜성 주변의 행성이 중심별의 ... ...
목성 궤도 트로이군 소행성 탐사선 '루시' 12년 대장정 올라
동아사이언스
l
2021.10.17
NASA의 소행성 탐사선 '루시(LUCY)'가 16일(현지시간) 12년간의 대장정에 올랐다. NASA는 루시가 이날 저녁 6시 34분쯤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기지에서 아틀라 ... , 화성(빨간색), 목성(주황색)과 목성 앞뒤에서 같은 궤도로 트로이군 소행성들(초록색)이
공전
하고 있다. NASA 제공 ... ...
태양계 50억년 뒤 '미래' 백색왜성 도는 목성급 행성 첫 발견
연합뉴스
l
2021.10.14
고 덧붙였다. 앞서 백색왜성을 도는 목성급 행성 WD1856 b가 발견돼 학계에 보고됐지만
공전
주기가 1.4일로 항성이 백색왜성이 된 뒤에 현재 위치로 이동해 약 2.8 AU 떨어진 궤도를 도는 MOA-2010-BLG-477Lb와는 의미가 다른 것으로 지적됐다. 태양과 같은 주계열성은 진화 마지막 단계에서 핵의 수소 ... ...
지구방어 소행성 충돌 첫 시험 DART 우주선 내달 말 발사
연합뉴스
l
2021.10.06
디디모스 궤도를 도는 속도가 약 1% 줄어들 것으로 예측돼 있다. 이는 0.495일 주기의
공전
시간을 수분가량 늘려 지상 망원경으로도 충분히 관측이 가능하다. DART 우주선이 충돌하고 2년 뒤에는 유럽우주국(ESA)이 현장 조사를 위해 우주선 '헤라'(Hera)를 발사한다. 이 우주선은 2026년께 디모르포스 ... ...
한국 달궤도선에 NASA ‘섀도캠’ 실리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1.09.21
가설이다. 이 이론은 달이 태양계의 다른 곳에서 생성됐으며 지구 주변을 지날 때 지구를
공전
하기 시작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때 달이 지구의 중력장으로 끌어당겨지면서 자체 회전력을 가졌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또다른 가설은 달이 지구와 동시에 생성됐다는 공동 생성 이론이다. 화성 ... ...
지구에서 단 36광년 가장 가까운 외계행성 관측
과학동아
l
2021.09.05
약 6배로 크고, 항성과 매우 멀리 떨어져 있음에도(6471AU) 110만 년 주기로 매우 빠르게
공전
하는 특성상 비교적 쉽게 포착할 수 있었다. 더군다나 항성이 형성된지 불과 1억 5000만~8억 년밖에 되지 않아 행성이 만들어질 당시 발생한 뜨거운 열이 여전히 잔류해 방출(약 160℃)되는 빛이 있어 관측할 수 ... ...
극대기 이틀 넘겨 시간당 200개 넘게 쏟아진 페르세우스 유성우…천문학자들 "이례적 현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8.18
유성우는 태양풍에 의해 혜성이나 소행성 궤도에 남아있는 잔해물 사이를 지구과
공전
하면서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잔해물이 대기권을 통과하며 마찰로 불타올라 빛이 난다. 매년 7월 17일에서 8월 24일 사이 지구는 스위프트 터틀 혜성의 궤도를 지난다. 이때 페르세우스 유성우가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