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부"(으)로 총 77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몸 곳곳에 퍼져 있는 신경세포를 뜻하는 단어예요. 뉴런이라는 이름은 1891년, 독일의 해부학자 하인리히 발다이어가 지었어요. ‘밧줄’이나 ‘힘줄’을 뜻하는 그리스어 ‘neuro-’에서 따온 말이죠.19세기 말, 뉴런을 연구하던 생물학자들 중 유명한 사람은 이탈리아의 카밀로 골지와 스페인의 ... ...
- DNA로 네스호 괴물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 네스호 괴물이 정말 있을까요? 아무도 모르는 일이죠. 닐 겜멜(뉴질랜드 오타고대학교 해부학과 교수) Q어떻게 네스호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됐나요?지난 3~4년 동안 환경DNA를 이용해 뉴질랜드 바다에 어떤 생물들이 살고 있는지, 해양 생태계가 침입종이나 기후 변화 등으로 어떻게 변하고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몰리뉴의 물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얻은 경험은 시력을 찾은 뒤 눈으로 얻은 정보와 이어질 수 없는 거죠. 이후 18세기의 해부학자이자 외과의사인 윌리엄 체슬던의 기록은 이런 로크의 주장을 뒷받침해요. 체슬던은 1728년, 백내장 때문에 시력을 잃은 14세 소년을 수술하는 데 성공했어요. 소년은 그 뒤 시력을 얻었지만 고양이를 ... ...
- [특별 JOB 인터뷰 2] 잎새에 숨겨진 표정을 찾는 사람, 식물세밀화가 이소영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식물세밀화가는 식물의 형태를 그림으로 기록하는 직업이에요. 몸의 구조를 알려주는 해부도처럼, 식물세밀화는 식물의 종류를 알려주는 그림이죠. 이소영 작가님은 우리나라에서 활동하는 식물세밀화가로, 대학에서 원예학을 전공한 후 식물을 그리기 시작했어요. 주로 연구자들이 발견하거나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최고의 학과’ 만드는 ‘최고의 학생’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됐다”고 말했다. 동아리 활동과 각종 대회도 열심히 참가했다. 시간을 쪼개 토론, 실험, 해부, 생명, 화학 등 다섯 개 동아리에서 활동했다. 정 씨는 “이과생이었지만 문과 학생들을 위한 대회에도 참가해 수상할 만큼 열심히 했다”며 “그만큼 관심 분야가 넓고 학교 활동에 적극적이었다는 점을 ...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진입시켜 추간판을 제거하는 것이다. 드디어 꼬리뼈 쪽에 뚫은 구멍을 통해 카데바(해부용 시체)에 카테터를 삽입했다. 수술을 지켜보는 연구팀 모두가 가슴을 졸이던 순간, 로봇팔을 움직이는 필자의 손에도 땀이 맺혔다. 모두의 걱정과 두려움은 내시경 화면을 통해 선명하게 보이는 추간판의 ... ...
- [과학뉴스] 호주의 귀염둥이 ‘웜뱃’ 똥이 네모난 이유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이들은 호주 태즈메이니아에서 교통사고를 당해 수의사를 통해 안락사된 웜뱃을 해부해 이 같은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먼저 웜뱃의 장 끝에서부터 8%에 해당하는 부위에서 대변이 액체 상태에서 고체 상태로 바뀌며, 2cm 길이의 사각형 모양을 갖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 후 내장을 비우고 ... ...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1505년 이탈리아의 천재 과학자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새의 몸 구조와 새의 비행 원리를 해부학과 생리학 지식을 동원해 연구했다. 그 결과 새의 날개 윗부분과 아랫부분에서 압력 차이가 존재해 새가 하늘을 날 수 있는 힘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훗날 과학적으로 증명된 ‘양력’이다. 190 ... ...
- 튜링 모형 쓰는 별별 분야수학동아 l2018년 11호
- 모양으로 튜링 패턴이 나타납니다. 그 비밀은 2009년 타카시 미우라 일본 교토대 해부학과 교수팀이 튜링 모형을 이용해 밝혔습니다. 손가락 생성의 비밀손가락이 생기는 과정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손은 처음부터 완성된 다섯 개의 손가락으로 나뉘어 있지 않고 하나의 덩어리에서 다섯 개의 ... ...
-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하지 않는 시간에는 매일 실습이 진행됐다. 스노클링을 하며 관찰했던 해양 생물을 직접 해부해보기도 하고, 얕은 바다에서 채집한 모래에서 다양한 저서생물을 관찰했다. 특히 연구단은 김동성 KIOST 생태기반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의 지시에 따라 해저면에서 3cm 깊이에 있는 부드러운 해저층을 직접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