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체
분석
분해
검토
검시
해부학
해산
d라이브러리
"
해부
"(으)로 총 77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 X KRISS] 기본전하 상수로 새롭게 태어나는 암페어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루이지 갈바니는 생체전기를 발견해 1791년 논문으로 발표했다. 그는 개구리를
해부
하던 중 칼이 개구리 다리에 닿자 근육이 꿈틀거리는 것을 목격하고, 경련의 원인이 개구리의 근육 속에 축적됐거나 만들어진 전기라고 결론지었다. 그러나 이탈리아 파비아대 실험물리학 교수였던 알레산드로 ... ...
[Culture] 굳이 과학적으로 꼽아 본 ‘옥에 티’ 3, ‘쥬라기 월드’가 돌아왔다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터키콘도르의 날개뼈에 있는 깃혹(점선 원).4. 깃털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연조직만
해부
했다. 이 교수는 “다만, 중국에서 티라노사우루스의 조상격인 ‘관롱’과 ‘딜롱’의 깃털 화석이 발견돼 티라노사우루스도 깃털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고 덧붙였다. 벨로시랩터의 경우 2007년 깃혹 ... ...
[Origin] 불붙은 신경세포 생성 논란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하지만 사람의 경우에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관찰되지 않았다. 선웅 고려대 의대
해부
학교실 교수는 “실험을 통해 동물의 해마에서 평생 새로운 뉴런이 생긴다는 사실은 의심할 여지가 없이 사실로 확인됐다”면서도 “살아 있는 사람에게는 안전성 여부나 윤리적인 이유로 마커를 주입할 수 없기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마음은 정말 가슴에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가설2 마음은 뇌에 있다?! 기원전 5세기의 그리스 학자인 알크마이온은 사람의 몸을
해부
하고, 우리 몸의 신경이 뇌와 연결돼 있단 사실을 발견했어요. 그 뒤 감각을 느끼고 생각하는 마음의 역할을 뇌가 한다는 ‘뇌 중심설’이 싹트기 시작했답니다. 뇌 중심설에 따르면, 마음은 신경세포들이 ... ...
[Future] 오페라 무대 선 로봇 디바 ‘에버’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달고 피부와 연결시켜서 표정을 구현한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사람의 얼굴 근육의
해부
학적 배치와 얼굴 근육이 표정을 구현하는 원리를 참고해 모터와 와이어를 배치했다. 가령 양쪽 입꼬리에 와이어로 연결된 모터를 작동시켜 입꼬리를 잡아당기면 웃는 표정이 나온다. 하지만 모터로 ... ...
[Future] 그림이 열일 하는 메디컬 일러스트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10여 년간 의학 일러스트를 꾸준히 그려온 오제훈 씨는 “새 학기부터 연세대 의대에서
해부
학을 공부해 앞으로 더욱 심도 있는 일러스트를 그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 ...
[Culture] 천재의 공간에서 그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오늘날 X선 촬영 사진에 필적하는 상세한
해부
학 스케치가 탄생했다. 그는 인간의 눈을
해부
해 그리면서 각막과 수정체의 기능을 연구했다. 또 인간의 척추가 곡선으로 이뤄졌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인간의 혈관을 그리면서 동맥경화증이 있는 사람의 혈관과 없는 사람의 혈관을 비교하기도 했다. 한 ... ...
[Issue] 국내 첫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선임연구원은 세포벽을 빨갛게 염색한 목부재 조각을 현미경으로 보여주며 “
해부
학적 형태를 보면 수종을 비교적 정확히 알 수 있다”며 “조선이 문호를 개방한 이후에 수입된 일본 목재를 가려내는 데도 유용하다”고 설명했다. 조사를 마친 뒤에는 부재에 전자태그(RFID)를 달고 수장고에 ... ...
[과학뉴스] 완벽한 ‘리틀 풋’ 커밍순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역사상 가장 완벽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화석으로 알려진 ‘리틀 풋(Little Foot)’을 드디어 연구할 수 있게 됐다. 1994년 남아프리카공화 ... 진화연구소에서 대중에게 공개했다. 클라크 교수는 “초기 인류의 외관 골격과
해부
학적 구조, 운동 능력 등을 밝혀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과학뉴스] 걸으면서 커피 쏟지 않으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0호
또 영국의 의사인 제임스 히스콧은 나이가 들면 귀가 커지는 이유를 연구해서 ‘
해부
학상’을 받았답니다. 이처럼 이그노벨상을 받을 수 있는 첫 번째 기준은 무엇보다 재미예요. 그래서 다소 우스꽝스러운 연구들이 많지요. 하지만 그 이면에는 호기심, 그리고 고정관념에서 벗어난 즐거운 과학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