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체
분석
분해
검토
검시
해부학
해산
d라이브러리
"
해부
"(으)로 총 773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뒤섞인 시체들의 신원 파악은?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있기 때문이다.특히 시체가 땅 속에 묻힌 뒤에 백골화된 경우라면 더욱 그렇다. 뼈들이
해부
학적인 연관성을 잃지 않고 제 위치에서 고스란히 발견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장에서 뼈를 수습할 땐 충분한 시간을 갖고 각 뼈의 연관성을 신중히 판단해야 한다. 만약 현장을 급히 수습해야 ... ...
Part 2. 위상적인 미래를 엿보다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외과 의사이자
해부
학자인 줄리어스 울프는 많은 사람의 뼈를
해부
해 본 결과 패턴을 발견했다. 그리고 1892년에 사람이나 동물의 뼈는 받는 압력에 따라 변형된다는 ‘울프의 법칙’을 발표했다. 뼈가 환경에 따라 스스로 최적화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엄밀한 증명이 있었던 건 아니고,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학술상을 수상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백두산 폭발 대
해부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Part 2. 백두산 최신 연구 업데이트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Part 4. “나는 백두산 ... ...
Intro. 백두산 폭발 대
해부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백두산 폭발 대
해부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Part 2. 백두산 최신 연구 업데이트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Part 4. “나는 백두산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주변을 감싸는 방법도 고려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백두산 폭발 대
해부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Part 2. 백두산 최신 연구 업데이트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Part 4. “나는 백두산 ... ...
[Knowledge] 미크로네시아 해양과학기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본 물고기의 뇌는 정말 눈곱만 했다(관용적인 표현이 아니라 실제 크기가 그렇다).물고기
해부
만큼 단원들이 재미있어 했던 실습은 ‘흑진주 삽핵’이었다.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는 2008년 국내 최초로 흑진주 양식 기술 개발에 성공한 이후, 꾸준히 흑진주 수확률을 높이려는 연구를 하고 있다. ... ...
[Knowledge] 뼈의 말에 귀 기울이는 사람들(上)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등을 대고 누운 사람처럼 하늘을 향해 팔다리를 편 자세로 뼈를 펼쳐 놓는데, 이 자세를
해부
학적 자세라 한다. 본즈(Bones)와 같은 범죄수사 드라마 팬이라면 익숙한 장면일 것이다. 이렇게 뼈를 늘어 놓는 이유는 어떤 뼈가 남아 있는지 한눈에 파악하고 뼈 목록을 작성하기 위해서다.뼈 목록에는 ... ...
[Knowledge] 내 손이… 옛날엔 물고기 지느러미?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쓰임, 즉 발생 과정이 달라서일 뿐이다. 이 사실을 밝히려면
해부
학적 형태를 비교하거나(
해부
학자와 고생물학자들이 연구한다), 그 유전자를 제거해가며 발생 과정을 비교해야 한다(생명과학자가 한다). 물론 두 방법을 다 쓸 수도 있다(슈빈 교수).슈빈 교수는 어류의 지느러미 가시와 네발동물의 ... ...
PART 1. 현실보다 더 현실같은 가상현실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이용한다. 의과대학 학생들은 3차원 가상영상으로 생리학 원리를 배운다. 시신을 이용한
해부
학 실습을 가상현실로 대신할 수도 있다. 작년 12월 폴란드에서는 가상현실 장치를 이용해 실제 심장 수술도 했다.그 외에도 가상현실의 응용 분야는 무궁무진하다. 건물을 짓기 전에 설계도면에 따라 미리 ... ...
[과학뉴스] 심근세포로 움직이는 가오리로봇 탄생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가오리를
해부
해 근육의 배열과 근육이 움직이는 메커니즘을 분석했다. 그리고 가오리의
해부
학적 구조를 본뜬 수많은 소프트로봇을 만들어 실험했다. 최종적으로 두 개의 평평한 실리콘 층 사이에 금으로 만든 골격을 넣은 샌드위치 형태의 로봇을 선택했다. 이렇게 만든 로봇은 길이가 16mm,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