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부"(으)로 총 773건 검색되었습니다.
- 뭉치면 강하다 군집로봇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전세계 다양한 연구실에서 개발된 군집로봇을 소개한다. 2파트는 군집로봇의 머릿속을 해부하며, 3파트는 대한민국 토종 군집로봇을 개발하는 한국 과학자들의 이야기를 담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뭉치면 강하다 군집로봇INTRO - 거대로봇과 새떼로봇이 싸운다면?PART1 - 영화 속 거미군단이 ... ...
- 초파리도 실연당하면 술을 마신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홀은 힘을 합쳤다. 이들은 몸이 암수 모자이크로 이루어진 초파리(자웅모자이크)를 해부해 수컷의 구애행동에 필요한 중추신경계의 지도를 그리는 데 성공했다.홀은 초파리의 동성애에도 매료됐다. 1963년 예일대에서 프루티(동성애)라는 돌연변이 초파리가 동성애 성향을 보인 적이 있었다. 훗날 ... ...
- [Life & Tech] 한밤중 모기의 습격, 불임수컷으로 완전정복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근거가 없진 않은 셈이다. 이후 몇 개의 조상 화석이 더 발견됐는데 모두 현재의 모기와 해부학적 차이가 거의 없었다. 오랜 시간 지구에 살아남은 모기는 시간이 지나면서 흡혈 대상을 공룡에서 포유류로 갈아탔다.26일이면 새로운 모기가 태어난다우리나라 도시 주택가에 사는 모기는 크게 두 가지 ... ...
- 한의원에서 초음파 검사도 한다고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의료기기현대 의료기기도 마찬가지예요. 의료기기에는 초음파기기처럼 인간 신체를 해부학적으로 분석하고 영상화하는 장비도 있지만, 거꾸로 한의학적 진단법인 망(望:보고) 문(聞:듣고) 문(問:묻고) 절(切:만져보는)을 돕거나 확장시킬 수 있는 기기들이 있을 수 있어요.2013년 12월에 ... ...
- 두유노우 마우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Wistar-Imamichi, Wistar, Long-Evans, Spraue Dawley 같은 계통이 있어요. 마우스보다 크기 때문에 해부를 할 때도 내부 장기를 살피기 쉽습니다. [생쥐를 개량해서 만든 실험용 마우스는 가장 많이 쓰이는 실험동물이다. 좁은 공간에서 여러 마리를 키울 수 있고, 약물 실험에 들어가는 약물도 적어 경제성이 .. ...
- [과학뉴스] ‘불로영생의 약’은 젊은 피?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나왔다. 놀랍게도 3개 연구팀이 비슷한 시기에 각각 논문을 냈다.미국 샌프란시스코대 해부학과 사울 빌레다 교수팀과 하버드대 하버드줄기세포연구소의 마니샤 신하 교수팀, 리다 카트심파르디 교수팀은 이 같은 사실을 연구하고 각각 ‘네이처 메디슨’ 5월 4일자와 ‘사이언스’ 5월 9일자에 ... ...
- PART2.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주머니에서 새끼를 키우는 종도 생기고, 알을 낳는 종도 있었다. 미국 스토니브룩대 해부학과 마우린 오레이 교수는 백악기에 유대류(주머니)가 등장했고 신생대에 단공류(알)가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각각의 육아 방법이 당시 생태계에서 유리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분화된 생태는 점점 ... ...
- 환자의 가슴과 배를 열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서른한 살의 이른 나이로 죽기 전 겨울 한 철에만 600구의 시신을 부검하는 등 근대 병리해부학의 창시자가 됐다.이러한 노력이 한데 모여 비로소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형태의 외과의사가 탄생했다. 대표적인 인물은 비엔나종합병원의 외과를 책임졌던 테오도르 빌로트다. 그는 마취과를 ...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영장류보다 더 빠르게 소리를 낼 수 있으며, 호흡 한 번에 여러 개의 소리를 낼 수 있다. 해부학적으로 보면 사람은 다른 영장류와 달리 후두에 기낭이 없다. 영장류는 보통 기낭에 공기를 들락거리게 하거나 입구를 진동시켜서 한 호흡에 낼 수 있는 소리를 조금 더 복잡하게 만든다. 사람은 기낭이 ...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년 09호
- 39세의 미국 흑인 남성의 뇌를 이용해 만들었다. 먼저 뇌 전체의 MRI 영상을 찍고 조직과 해부학적 구조를 촬영한 뒤 뇌를 약 1000개의 조각으로 잘게 잘라 부위별로 전사체를 분석했다.한국에서는 세계 최초로 뇌에서 만들어진 단백질의 전체 지도, 즉 뇌단백질체(프로테옴)지도를 만들고 있다.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