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깃
날개
d라이브러리
"
지느러미
"(으)로 총 244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공룡의 그늘 밑에서 살아 남아라!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또 네 개의 다리로 몸을 들어 올릴 일이 없어지자 이것을
지느러미
로 바꿨다. 네 개의
지느러미
는 헤엄을 치며 몸의 방향을 바꿀 때 유용했다. 꼬리는 좌우로 흔들며 수영하기 편하게끔 끝을 물고기처럼 초승달 모양으로 변화시켰다.중력으로부터 몸이 자유로워지자 몸집이 커진 탈라토수쿠스류도 ... ...
[기자단 소식]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을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있습니다. 등
지느러미
가 없는 것이 특징인데, 북극의 수많은 빙산에 부딪힐 수 있어서
지느러미
가 없게 진화했다고 합니다.마지막 체험은 ‘마린 패밀리’였습니다. 바닷가의 식물을 이용해 방향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병에 물을 절반 정도 넣은 후 일명 개구리 알이라 불리는 크리스탈 파우더를 ... ...
[과학뉴스] 노화 연구 최적의 동물은?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유사하게 피부 색소와 시력 등에 노화가 일어난다고 설명했다. 피부색 변화와 꼬리
지느러미
손실 등 신체기관이 노화하면서 나타나는 특징들이 잘 관찰되며, 분자생물학 연구를 위해 돌연변이를 유도하고 선발하는 것도 어렵지 않다고 밝혔다. 연구를 주도한 김유미 연구원은 “킬리피쉬의 노화 ... ...
보온에서 생존 비결까지! 털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4호
움직일 때 저항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몸이 유선형이랍니다. 또한 날개는 물고기의
지느러미
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크기와 모양이 변형돼 있지요.지구상에 있는 18종의 펭귄 중에 6종의 펭귄이 추운 남극에 살아요. 남극에 사는 펭귄의 털은 추운 곳에서 몸을 따뜻하게 보호하지요. 그런데 ... ...
명태 vs 대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어류예요. 연한 갈색이나 푸른색 바탕에 진한 갈색 등무늬가 있고, 등
지느러미
3개, 뒷
지느러미
2개를 갖고 있는 게 특징이지요. 이런 생김새는 우리 식탁에 자주 오르는 대구와 꼭 닮았답니다.그런데 요즘엔 식탁에서 우리나라 명태를 만나기 어려워요. 예전엔 우리나라 동해에서 명태가 많이 잡혔기 ... ...
[Knowledge] 땅에 적응한 하늘의 파충류, 익룡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같은 장애물에 부딪히지 않고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다.디모르포돈의 꼬리 끝에는
지느러미
와 같은 얇은 피부장식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화석을 통해 확인된 것이 아니지만, 디모르포돈과 비슷한 익룡의 꼬리에서 비슷한 구조가 확인됐다. 괴상한 꼬리와 큰 머리를 달고 날아다니는 ... ...
스스로 자유를 찾은 돌고래 삼팔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2호
바로 그 결과물이었지요.삼팔이는 무척 호기심이 많았고 놀기를 좋아했어요. 해조류를
지느러미
에 걸고 돌아다니다가 나중에는 입으로 물고 다니며 장난을 쳤어요. 가두리에 못 보던 물체나 물고기가 나타나면 삼팔이가 가장 먼저 눈치채곤 했지요. 현장의 연구진은 다른 돌고래는 몰라도 삼팔이는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참치 주낙배에서는 상어가 끌려 올라왔을 때 산 채로
지느러미
를 자르기도 합니다.
지느러미
가 잘린 상어는 헤엄치지 못하고 바닥으로 가라앉습니다. 결국 천천히 죽어가죠.” 상어
지느러미
, 일명 ‘샥스핀’은 한 그릇에 최대 100달러를 호가하는 샥스핀 수프의 재료다.박태현 그린피스서울 ... ...
우리 가족은 식물학자! 국립수목원 귀화식물 탐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이현근 대원은 “수목원을 뛰어다니며 놀이처럼 미션을 수행해 즐거웠다”며, “
지느러미
엉겅퀴 같은 낯선 귀화식물과도 많이 친근해졌다”고 현장교육 소감을 말했어요. 앞으로 지사탐 대원들이 보내 주는 풍성한 귀화식물 탐사 소식을 기대할게요~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만든 새 날개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36%나 더 높은 추력을 냈습니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를 새의 날갯짓이나 물고기가
지느러미
를 이용해 헤엄치는 모습을 딴 생체모방로봇에 적용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