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재배식물"(으)로 총 353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올해 벚꽃, 제 날짜에 필까과학동아 l2015년 04호
- 4월, 세상이 깊은 겨울잠에서 깨어나 무지개 빛으로 물드는 달이다. 온갖 꽃들이 저마다 화려한 색과 향기로 치장하고 인간을 유혹한다. 특히 세상을 하얗게 뒤덮은 벚꽃은, 3월 제주를 시작으로 4월 중 서울 부근에서 절정을 이룬다. 봄에만 만끽할 수 있는 이런 즐거움을 극대화하기 위해 기상청은 ... ...
- 원시인들은 무얼 먹고 살았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6호
- 아주 오래 전 선사시대에 살았던 원시인들은 무엇을 먹고 살았을까요? 최근 스페인 과학자들은 농사를 짓기 훨씬 전부터 인류가 채소를 먹었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스페인 바르셀로나오토노마대학교 카렌 하디 박사 연구팀은 아프리카 수단 알키다이 지역에서 발견된 화석을 관찰했지요. 이 화 ... ...
- 엘라티오르베고니아 VS 장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친구 집에 갔더니 화분에 예쁜 장미꽃이 피어서 “장미꽃이다”하고 달려갔어요. 그런데 친구 어머님이 장미가 아니고 ‘엘라티오르베고니아’라는 거예요. 장미랑 똑같이 생겼던데, 둘이 어떻게 다른 거죠? -이진주(대전 중앙초 6)엘라티오르베고니아 처음 본 사람들은 장미라고 착각할 정도 ... ...
- [과학뉴스] 오후 잠 쫓는 ‘카페인’ 비밀 풀리나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나른한 오후, 과테말라산 커피 원두를 분쇄기로 간다. 뜨거운 물을 받아 잠시 식힌 뒤 여과지에 조금씩 내린다. 달콤한 향이 피어오르며 ‘악마의 유혹’ 같이 까맣고 뜨거운 액체가 잔을 채운다…. 커피는 일상에서 빠질 수 없는 음료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국민 한 사람이 소비하는 커 ... ...
- 우주에서 키우는 싱싱한 채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우주에서도 채소를 키울 수 있을까요? 조만간 ISS(국제우주정거장)에서도 농사를 지을 수 있을 예정이에요. ISS에서 우주를 관찰하고 여러 실험을 하고 있는 우주인들은 채소를 먹기가 쉽지 않아요. 채소를 갖고 간다하더라도 금세 상해버리거든요. 그래서 NASA(미국항공우주국) 과학자들은 ISS에서 직 ... ...
- [Knowledge] 녹색식물도 키우는 ‘ 화성 호텔’과학동아 l2014년 08호
- *필자 주: 이 기사는 NASA의 심우주 거주시설 연구를 기초로 한 가상 이야기다.오늘은 지구 날짜로 2031년 8월 13일. 화성에 도착한 지 벌써 7개월 이틀이 지났다. 밤 하늘에 별처럼 보이는 작은 지구와 달의 모습이 아직도 낯설다.우리 탐험대 12명은 지난 7개월 동안 인류 최초의 화성기지를 구축하기 ... ...
- PART 2. 태초의 꽃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암보렐라는 뉴칼레도니아에만 서식하는 희귀식물이다. 과거에는 아무도 이 식물에 관심을 갖지 않았지만, 2000년대 들어 많은 식물학자들이 관심을 갖는 슈퍼스타가 됐다. 암보렐라가 중요한 이유는 현존하는 꽃식물 중 가장 먼저 나머지 모든 꽃식물들에서 갈라져 나왔기 때문이다. 꽃식물은 지구 ... ...
- PART 3. 인간의 역사를 바꾼 꽃의 유혹과학동아 l2014년 04호
- 꽃의 첫번째 유혹은 자신의 아름다움을 통해서였다. 꽃을 아름답다고 느끼고, 선호하던 사람에게 꽃은 열매라는 보상으로 보답했다. 한 달 전 산딸기 꽃이 피었던 장소를 기억한 사람은 나중에 그곳에서 산딸기를 먹을 가능성이 더 높았다는 얘기다. 미국 하버드대 심리학과 스티븐 핑커 교수는 ... ...
-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김장은 겨울에 담가야 제맛김치의 대표는 역시 배추김치다. 배추를 다듬고 한 나절을 소금에 절인 뒤, 고춧가루와 파, 마늘, 생강, 젓갈을 넣은 양념으로 버무린다. 그러나 오늘날 먹는 것처럼 고춧가루에 버무린 빨간 김치가 만들어진 것은 채 400년도 안됐다. 고추가 우리나라에 전해진 것은 조선 ... ...
- PART 2. 남산 위에 저 소나무, 귤나무로 바뀔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우리나라의 미래 기후는 어떻게 바뀔까. 기상청에서는 지난해 ‘한반도 기후변화 전망보고서’를 펴냈다. IPCC 제5차 보고서에 반영된 RCP 시나리오 중 4.5와 8.5 시나리오를 적용한 것이다. 이 중 RCP 8.5 시나리오를 통해 2071~2100년 한반도 기후가 어떻게 변할지 알아보자. 보옴 여어르음 가을 결…, 계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