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율"(으)로 총 805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블록체인, 불평등을 불러온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연결한다. 이더리움이 이를 가장 잘 하고 있다.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 탈중앙화 자율조직(DAO) 등 파생 블록체인 기술이 ‘자유로웠던’ 사이버 공간의 인간 활동 및 커뮤니케이션 분야를 시장 논리로 잠식할 준비를 하고 있다. 이제 사람들은 즐거움을 얻기 위해서 게임을 하는 것이 아니라, ... ...
- [기획] 떠난 자리에 남은 사람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했다. “‘일 없잖아, 퇴사해야 하는 거 아니냐’면서 비관적인 사람이 많았어요. ‘자율주행, 자동차 같은 소프트웨어 분야로 가는 것이 어떠냐’고 이야기하기도 했죠. ‘국회 같은 데 가지 말고 그냥 우리 회사 와라’는 제의도 있었어요. 회사 내에서도 다른 분야를 스터디 해보라고 권장하기도 ... ...
- [청소년 연구활동 보고서] ‘논문 한 편 쓰고 끝’ 67% 영재들과학동아 l2022년 06호
- 문제가 되는 논문의 비율은 영재고의 경우 전체 해외 논문의 5.9%, 과학고는 10%, 그리고 자율고·외고·일반고는 22.4%였습니다.보고서는 “보다 심각한 문제는 이 비율이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라면서 “2020년도에 출간된 고등학생 공저 해외 논문 16편 중 37.5%가 의심스러운 약탈적 ... ...
- [출동! 어과동 기자단] 화학 실험실에 로봇이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작업을 반복하는 공장형 로봇에서 나아가 지금은 로봇과 컴퓨터 인공지능이 결합해 자율성도 얻었어요. 화학 실험은 사람만 가능하다고 생각했나요? 미래엔 인공지능이 실험에 활용돼 예상 못한 상황에서 스스로 결정하고 창의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로봇이 나올 거예요. 지금 그 첫걸음을 뗀 ... ...
- 안드로메다행 음식배달비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소요되는 단계이기도 합니다.자율주행이 가능한 지역에서 권역을 나눠 라스트 마일을 자율주행 배달 로봇에게 맡기고, 음식점에서 해당 권역의 한 지점까지는 배달원이 나서면 일부 지역에서는 활용이 가능합니다. 실제로 라스트마일과 관련된 이동 기술은 여러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2019년 ... ...
- [수학자 가상인터뷰] 알아야만 한다, 알게 될 것이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6호
- 발전을 위해 수학계가 꼭 해결해야 할 23가지 문제를 정리해 발표했지요. 그중에는 훗날 자율주행차와 로봇을 제어하는 첨단 기술에 활용된 문제도 있었어요. 아직까지 해결되지 않은 문제도 있어서, 많은 수학자가 계속해서 도전하고 있지요. Q. ‘무한호텔’은 어떻게 떠올리셨나요? 끝없는 ... ...
- [엣지사이언스] 인공지능 개발, 진짜보다 나은 가짜 데이터과학동아 l2022년 05호
- 데이터를 구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빛을 발합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충돌을 피하도록 자율주행 AI를 훈련시키려면, 충돌에 대한 훈련 데이터가 필요하겠죠. 하지만 실제 자동차를 충돌시켜 대규모 데이터를 얻기는 쉽지 않습니다. 이를 실제 도로가 아닌 시뮬레이터 내 가상 도로 환경에서 재현한 ... ...
- 지자체ㆍ대학ㆍ기업이 만들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DSC 공유대학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장비 관련 산업체가 포진해 있다. 또 세종은 2018년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로 선정돼 자율주행 서비스를 기반으로 스마트시티를 구축하고 있다. 모빌리티 기반의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인재 양성이 우선돼야 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대전, 세종, 충남 지역의 24개 대학, 이공계 ... ...
- [폴리매스 수학자를 만나다] "수학으로 인공지능을 연착률시킬래요!" 현윤석 인하대 교수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수 있거든요. 자율주행차가 앞의 장애물이 무엇인지 알아차리고 움직여야 해서 딥러닝은 자율주행차의 핵심 기술입니다. Q 대수기하학을 전공하셨으니 연구 분야가 바뀌는 셈인데, 일이 어렵진 않으셨어요? 적응하느라 처음에 고생을 많이 했어요. 딥러닝에 쓰이는 알고리듬을 개발하고 ... ...
- [융복합@파트너] 빛으로 구현하는 극초고속 계산 기계과학동아 l2022년 03호
- 기술로 광섬유를 직접 움직인 덕분에 훨씬 더 빠르게 많은 회선 재배치가 가능해졌다. 자율주행차, 라이다(LiDAR), 우주 광통신 등에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인정받아 지난해 11월에 광통신 분야 최대 학회인 2021 OFC에서 ‘탑스코어드 페이퍼(학회 선정 상위 10% 논문)’로 선정됐다. doi: 10.1364/OFC.2021.F4A.3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