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옆"(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핫이슈] 메리 스튜어트 여왕의 비밀 편지, 400여년 만에 암호를 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있었답니다. 컴퓨터 알고리즘으로도 해독할 수 없는 기호들이 있었어요. 바로, 기호의 옆면이나 아래에 점과 같은 부호가 있는 경우지요. 같은 기호여도, 부호가 없는 기호와 부호가 있는 기호는 각각 다른 글자를 나타내요. 연구팀이 암호를 완전히 해독하기 위해 언어의 맥락을 분석한 결과, 약 2 ... ...
- 다가온 누리호 3차 발사, 발사 관전 포인트는 ‘위성’과학동아 l2023년 06호
- 2호는 누리호 3호기 3단의 맨 윗부분에 장착된다. 나머지 큐브위성 7기는 그 아래 양옆으로 탑재된다. 누리호 3호기는 발사 2분 5초 뒤 1단 분리에 들어간다. 발사 3분 54초 후에 3단을 덮고 있는 페어링이 분리되며 4분 32초 후에는 2단 분리가 진행된다. 발사된 지 13분 3초가 흐르면 고도 550km에 도달해 ... ...
- [가상 인터뷰] 쥐의 뇌 시상하부에서 거울 뉴런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거울 뉴런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고 직접 그 행동을 할 때 작동하는 신경세포지. 옆 사람이 하품하면 따라 하게 되는 것도 거울 뉴런이 반응하는 대표적인 현상이야. 그럼 거울 뉴런 때문에 쥐들이 싸운 거야? 맞아. 그런데 조건이 있어. 연구팀이 불을 끄자 싸움을 지켜보던 쥐의 거울 ... ...
- [특집] 기계적 메타물질로 캡틴의 방패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독특한 구조를 만들어 물리적인 압력을 견딜 수 있는 물질입니다. 스펀지를 누르면 양옆이 부풀어오르며 압축되는 모습처럼, 일반적인 고체는 힘을 받으면 그 방향으로 수축합니다. 하지만 기계적 메타물질은 압축되어도 되레 부피가 커지거나 같은 소재를 이용해도 부분에 따라 강도가 달라지는 등 ... ...
- 약 한 알 먹으면 집중력이 쑥쑥? ‘공부 잘 하는 약’의 진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하니, 어딘가 기운이 빠지는 건 사실이었습니다. 쉬운 길이란 없단 뜻이니까요. 그러다 옆을 돌아보니 그간 신 교수에게 진료를 받은 아이들이 그려준 감사카드가 눈에 띕니다. 신 교수는 “어떤 아이들은 도파민 수치를 높이는 약을 먹고 나서 ‘삶이 원래 이런 거였어? 마법같아!’라고 말하기도 ... ...
- [뉴스&인터뷰] 도전, 우주로 가는 길을 만드는 방법과학동아 l2023년 05호
- 항우연은 나로호 개발 기간 중 1단 엔진(30톤급) 개발을 자체적으로 시작했다. 또 옆에서 지켜보며 어떻게 우주발사체를 개발하고 또 쏘아 올리는지에 대한 전반적인 운용 지식도 얻을 수 있었다. 한국 최초의 우주기지인, 나로우주센터 건설에도 러시아에서 기술을 전수받았다. 시간이 지나면서는 ... ...
- [SF소설] 브레인 크런치 : AI 시대에서 인간이 살아남는 법과학동아 l2023년 05호
- 그 정보의 출처가 AI였으니 믿지 않는 것이 오히려 이상했다. 더그는 홍합탕을 슬쩍 옆으로 치우며 핍을 향해 몸을 숙였다.“잘 들어. 내가 방금 들은 거야. 보이저호 알지?”“당연하지. 인류가 외계로 보낸 최초의 물체잖아. 아주 옛날에 회수된 거 아니야?”“비슷하긴 한데, 이번에는 다른 거야 ... ...
- [헷갈린 과학] 지구를 찾아오는 손님, 소행성 vs 혜성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구름’으로 알려졌어요. 오르트 구름은 얼음 조각과 먼지들로 이뤄져 있는데, 구름 옆을 지나던 천체의 영향을 받아 구름을 벗어나면 태양과 가까워지면서 혜성이 됩니다 ... ...
- [가상 인터뷰] 어린이와 어른은 시간을 다르게 경험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양옆이나 위아래로 벌리는 것과 같은 특정 표현을 선호하지 않았지요. 연구팀은 팔을 양옆으로 벌려 시간의 길이를 표현하는 것이 시간이 수평적으로 흐른다는 인식과 관련되어 있다고 분석했어요. Q. 왜 나이에 따라 시간의 길이를 다르게 느끼나요? 연구팀은 어린이가 시간을 말하기 위해 ... ...
- 서울대 표본실 곰팡이 습격 사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균분자생태계통학 연구실로, 관리하는 표본실에 버섯 표본들이 있다. 동물 표본실 바로 옆 방이다. 연구원들이 주기적으로 방문하고 에어컨과 제습기로 온·습도 관리를 한다. 2021년 7월 건물에 정전이 발생했다. 그때는 장마 기간이었는데, 버섯 표본은 습도에 굉장히 민감하다. 연구실 학생들이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