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옆"(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 [2039:화성 일 년 살기] 화성에서도 한국인은 김치를 담근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별다른 반응은 없었다. 장금이는 AI 중에서도 다소 무뚝뚝한 편이었다. 나는 이제 무 옆에서 기르던 배추를 들여다보기 시작했다. 정조 과학기지의 재배실에서 재배하는 배추는 속이 들어차지 않아 봄동과 비슷한 상태였다. 아무래도 겉절이 정도만 만들 수 있을 것 같았다. 특별 제작한 유리 ... ...
- 주스,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1610년, 이탈리아 과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망원경으로 밤하늘을 바라보다가 목성 옆에서 희미한 점들을 처음 발견했어요. 목성을 공전하는 위성들을 최초로 관측한 거예요. 당시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주론에 따라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 된다는 세계관을 뒤집는 발견이었습니다. 주스는 갈릴레이 ... ...
- [통합과학교과서] 빗자루만 타면 울렁울렁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거예요. 그래서 하는 수 없이 여기 내렸죠. 그리고 나서는계속 이 상태예요.”남쪽 마녀 옆에는 비싸 보이는 빗자루가 번쩍거리고 있었어요. 그때 도로시가 말했어요.“빗자루는 이번에 처음 타봤거든요. 그런데 같은 빗자루를 탔는데 왜 남쪽 마녀님은 멀쩡하고 저만 이런 걸까요? 제 몸에 문제가 ... ...
- 올림을 활용한 곱셈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먼저 0을 채워 넣으면 편하겠지? 그리고나서 십의 자리를 계산한 56의 값을 0의 바로 옆에 적으면 되니까! 18과 300을 더하면, 답은 318이네! 난 손을 들고 재빨리 정답을 외쳤어. “나눌리, 이번에도 가장 먼저 정답을 찾았군요! 그런데, ‘올림’을 활용하면 더 편해요. 일의 자리 수인 3과 6을 곱하면 ... ...
- 좌절된 아이디어는 어떻게 (이그)노벨상을 받았나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신비한 푸른빛으로 물들었다. 변기 사용 경력 30년만에 처음 보는 광경이다. 푸른 변기 옆에 서서 박 박사가 설명을 시작했다. “스마트 변기는 대소변을 관찰해 변기 사용자들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해 만든 제품입니다. 비데 세정기 위치에 달려있는 카메라가 사용자가 배출하는 대소변을 ... ...
- [최대 은하] 우주 끝에서 온 별 빛의 주인을 찾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밝기는 비슷한 동반성이 붙은 경우였다. 실제로 우리은하에서 가까운 B형 별은 옆에 작은 별을 거느린 경우가 많다. 에렌델은 정말 쌍성일까? 제임스 웹으로 두 별을 따로 볼 순 없겠지만(쌍성의 두 별은 겨우 1~2AU 떨어져있다) 상상만 해도 흥미롭다.에렌델이 쌍성인지는 몇몇 의문이 있다. 보통 ... ...
- [어수티콘 사전] 공약수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0호
- 6과 8이 축구를 하고 있어요. 숫자 6 옆에는 3이 있는 걸 보니, 둘은 같은 팀인가 봐요. 숫자 4와 8이 한 팀이고요. 그런데, 6과 8이 함께 찬 공에 붙어 날아가고 있는 1과 2는 각각 누구의 팀일까요? ‘공약수’라는 말이 힌트인 것 같아요! [수달에게 묻는다!] 공통의 약수를 찾아라! 어수동 : 숫자 6과 ... ...
- [수학 상위 1% 비밀 무기] 중1 때 을 독학한 비법수학동아 l2023년 10호
- 해서 다시 검토 요청을 드리니까 그 답이 맞았더라고요. 이 문제를 5분 정도 푸는데, 옆에 수학을 잘하는 친구도 있고, 뒤에서 친구들이 바라보고 있고, 대강당에서 서서 푸니까 긴장돼서 1시간은 일어서서 있었던 것 같았어요. Q. 학교에서 수학 활동을 하나요? 고등학교 2학년 때 수학을 좋아하는 ... ...
- [독자기고] 세계 큐브 협회 월드 챔피언십 2023과학동아 l2023년 10호
- ‘큐브 난나’ 부스에서는 900개 이상의 큐브로 만든 큰 고양이 그림이 인상적이었다. 옆 ‘루빅스 큐브’ 부스에는 더 엄청난 큐브 그림이 준비돼 있었다. 루빅스에서 제공한 도안과 큐브로 대회 참가자들이 한 땀 한 땀 만든 거대한 거북선 그림이다. 참가자들의 정성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셋째날 ... ...
- [이달의 책] "지금 바로 직녀성부터 찾아보세요"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있는 백조자리다. 반면 이 대삼각형의 나머지 한 점인 독수리자리의 견우성(알타이르) 양옆에 있는 화살자리와 돌고래자리는 상대적으로 찾기 어렵다는 것이 이 박사의 설명이다. “도전해야 찾을 수 있는 별자리의 기준은 별의 크기와 밝기입니다. 너무 작거나 어두운 별들이 모여있다면 당연히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