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옆"(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 [디지털 새싹 캠프] 우리는 레고로 코딩을 배운다, 사이언스 챌린지 해커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둘러 앉아 뭔가 열심히 만들고 있다. “모터를 조금 더 옆에 꽂아보면 어떨까?” 옆에 앉은 학생은 컴퓨터 모니터를 들여다보며 친구와 의논 중이다. “If 문을 앞으로 보내야 작동할 것 같아.” 지난 1~2월 전국 각지에서 열린 ‘디지털 새싹캠프 사이언스 챌린지 해커톤’의 풍경이다. 디지털 ... ...
- [SF 소설] 우리 할머니들이 깨어날 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유동식이나 링거액, 산소 같은 것이 빠듯했다. 마을회관에서 돌아 나왔다. 그리고 기준하 옆의 보호석에 올라타면서 잠시나마 헛된 꿈을 꾸며 설렜다고 쓴웃음을 지었다.그때 창밖으로 멀리서 뛰어오는 ‘본’이 보였다. 낡은 옷을 입고 머리를 아무렇게나 질끈 묶었지만, 본이 틀림없었다. 본은 ... ...
- [특집] 중이온 가속기, 1년 만에 터진 라온의 첫 축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나뉜다”고 했다. 신 부장이 가리킨 곳을 보니 ISOL 장치에서 나온 빔라인이 벽을 통과해 옆 방으로 이어지는 모습이 보였다. 실험구역에서 저에너지 가속구간으로 넘어가려면 지하1층에서 지상으로 올라왔다 다시 내려가야 한다. 각 구역을 차단해 둔 이유는 가속기에서 발생하는 방사선으로부터 ... ...
- 양자와 친구가 되는 곳 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됩니다. 바닥에 푹신푹신한 매트가 깔려 있죠? 언뜻 연결된 것 같지만, 사실 이 실험동은 옆 건물과 완전히 분리돼 있습니다.” 장 연구기술원의 안내에 따라 실험동으로 들어섰다. 진동을 줄이기 위해 특별한 건물을 설계한 이유는 그 안에 들어있는 실험장비, STM이 무척 예민하기 때문이다. STM은 ... ...
- 첫 번째 질문 l 허수는 어떻게 받아들여 졌는가?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있었어요. 독일 수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1777~1855)는 허수 대신 외수(Lateral number, 옆의 수)라는 이름을 붙이길 제안한 바 있습니다. 수학자로서 허수라는 이름을 어떻게 생각하세요? 수학자 반가운 질문이네요. 저도 허수라는 이름에 불만이 있거든요. 어떻게 보면 수는 애초에 존재하지 ... ...
- [특집] GPT-4의 4가지 가능성과학동아 l2023년 02호
- AI가 인간다워지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과학동아 독자들이 기사를 읽으면 글자와 함께 옆에 있는 사진과 그림도 동시에 살펴보며 기사를 이해한다. 하지만 아무리 성능이 좋은 언어모델이라 할지라도 단일 모달리티를 채택하기에 텍스트로 이루어진 입력만 받아들일 수 있다. OpenAI는 현재 텍스트를 ... ...
- [인터뷰] 필즈상 허준이 교수 아버지 허명회 고려대학교 통계학과 명예교수수학동아 l2023년 02호
- 허준이 교수가 대학 시절 뭘 해야 할지 몰라 긴 방황의 터널을 지날 때 허 교수는 그저 옆에 있었다. “맘껏 자고 푹 쉬어라”라고 이야기하고 함께 인근 산에서 산책하며 가정이 자녀의 따뜻한 보금자리라는 점만 전하려고만 했다. 그러다 돌아왔을 때 따뜻하게 맞아줬다. “자녀가 직접 부딪쳐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고흐의 밤하늘을 비춘 소용돌이의 놀라운 비밀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달리는 트럭 뒤 차량들은 트럭을 앞지르기 위해 옆으로 차선을 바꾼다. 그 결과 처음부터 옆 차선을 달리고 있던 차량들과 맞물려 정체 구간이 생긴다. 하지만 트럭을 피한 차량들이 계속 정체 구간에 머무르는 것은 아니다. 빠르게 속도를 내며 정체 구간을 벗어난다. 이 상황을 하늘에서 내려보면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초효율 전기모터 구현할 초자성 금속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것이 중력이다. 질량이 있는 모든 것은 서로를 잡아당긴다. 사람은 질량이 작아서 옆사람과 서로 당기는 힘을 느끼지 못하지만, 거대한 지구는 어마어마한 중력으로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가 땅에 발붙이게 한다. 한편 끌어당기는 힘에는 전기력도 있다. 양전하와 음전하는 서로 끌어당겨 중성이 ... ...
- [논문탐독] 휜 숟가락 펴기 힘든 이유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시작하죠. 이 상태에서 가해지던 힘이 사라지면, 이웃을 바꿨던 원자는 다시 예전 이웃의 옆으로 돌아가지 않습니다. 이것이 바로 비가역성의 이유입니다. 힘을 받은 숟가락이 영구적으로 휜 이유는 그 원자가 이웃을 완전히 바꿨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숟가락이 비가역적으로 변하는 현상을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