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여성 수학자의 열정 담기다, 소피 제르맹 소수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z는 존재하지 않는다. 여백이 부족해 증명 방법은 적을 수 없다’라고 적었다. 이 추측이
바로
여러 수학자가 증명을 해내려 머리를 싸맸던 난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350년 넘게 난제로 있다가 1995년에 영국의 수학자 앤드루 와일스가 증명했는데, 증명 과정에서 소피 ... ...
타디그레이트 피플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도서관으로 이동할 건가요?”미아가 선의 팔을 끌어당기며 쾌활하게 답했다.“당연히
바로
도서관으로 가야죠! 가자!”공립 도서관으로 이동하는 미아의 발걸음은 유독 들떠 보였다. 선은 그런 미아의 모습이 신기했다. 통계적으로 사이보그의 도서관 이용률은 극히 낮은 편이었다. 그 덕분에 ... ...
[COP28리뷰] 한국은 왜 ‘오늘의 화석상’을 받았나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기후에 큰 영향을 미친 선진국들이 ‘억울한’ 개도국에게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바로
‘기후 손실과 피해 기금’입니다. 기후 손실과 피해 기금은 2013년 열린 COP19에서 처음 제안됐지만 선진국들의 반발에 진행되지 못했습니다. 그러다 2022년 COP27에서 열띤 토론 끝에 원론적 합의에 도달했고, ... ...
다이아몬드에 박힌 초대륙 이동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연구팀은 핑크 다이아몬드가 수 백km 상승 여행을 할 수 있던 이유를 찾아냈습니다. 답은
바로
‘틈’. 초대륙 컬럼비아(누나)가 붕괴하면서 만들어낸 지각의 틈이 핑크 다이아몬드가 솟구쳐 오를 수 있게 했다는 겁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게재됐습니다. doi: 10.10 ... ...
[논문탐독] 혹등고래가 알려준 자유자재 유체 사용법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밀고 들어갈 힘을 보충하면 실속을 지연시킬 수 있죠. 주변의 유체를 어떻게 섞을까요?
바로
지느러미 표면에 인위적인 소용돌이를 일으키면 됩니다. 정리하면, 지느러미가 힘을 내기 위해서는 더 높은 받음각에서도 실속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고, 실속을 지연시키려면 유동 박리를 억제해야합니다. ... ...
[꿀꺽! 생활 속 수학 한 입] 편의점 문구점에 직원이 없다?
어린이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아무도 안 계세요~?”가게 직원은 없고 키오스크★만 덩그러니 있는데…. 이곳이
바로
, 요즘 초등학생들이 자주 간다는 무인★ 가게?!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꿀꺽! 생활 속 수학 한 입] 편의점 문구점에 직원이 없다?Part1. 무인가게에 수학이 사용된다고?Part2. “무인 가게, 가 보니 ... ...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거대 소수 찾기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번째 메르센 소수를발견했다는 기사를 읽은 후 소수를 찾는 프로그램을 개인용 컴퓨터에
바로
설치했다. 소수를 빨리 발견하고 싶은 마음에 가족들의 컴퓨터와 심지어 집사로 봉사하고 있는 교회 건물의 여러 컴퓨터에 프로그램을 몰래 깔았다. 이 메르센 소수도 교회 컴퓨터에서 발견했다 ... ...
희대의 난제 리만가설을 만든 리만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만들었다. 그 리만 제타 함수의 자명하지 않은 근(영점)은 모두 일직선 위에 있다는 것이
바로
리만 가설의 내용이다. 여기서 자명하지 않은 근이란 오일러가 계산한 근을 뺀 나머지 근이다. 오일러는 리만 제타 함수의 s가 음의 짝수일 때의 값은 모두 0이라고 밝혔다. 고로 리만 가설이 참이라 ... ...
수학자 이름 새긴 소수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피보나치 소수’도 있다. 피보나치 수열은 1과 1로 시작하고, 앞의 두 수의 합이
바로
뒤의 수가 되는 수열이다. 피보나치 수열을 나열하면 아래와 같다. 아래 수를 ‘피보나치 수’라고 한다. 피보나치 소수 또한 무한할 것으로 추측하지만 증명되지는 않았다. 현재까지 알려진 피보나치 소수는 3 ... ...
[Chapter5] 우리 곁에 늘 있는 소수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그런데 알고 보니 미국 과학자 살바토레 토르콰토가 이와 비슷한 배열을 연구 중이었다.
바로
‘상자 채우기 문제’를 풀고 있던 것이다. 상자 채우기 문제는 상자 안에 오렌지를 가능한 한 많이 담는 방법을 찾는 것처럼 특정 넓이나 부피 안에 물체를 얼마나 많이 채울 수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