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SF소설] 엔딩의 발견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정우의 몸을 빌린 ★★를 헷갈린 적이 없었다. 하지만 중요한 얘기를 마친 다음에도 바로 집으로 향하지 않고 호수를 두 바퀴 더 돌면서, 아리는 마치 어른이 된 정우와 함께 걷는 것 같았다. 그는 이상하게 너그럽고 때때로 생각 없던 그녀의 옛 친구 정우와는 아주 달랐지만, 결국 우리 모두는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지구의 모든 땅은 하나였다? 외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명)6개의 거대한 대륙으로 나뉜 지금과 달리, 과거 지구의 땅은 하나로 이어져 있었 어요. 바로 초거대대륙 ‘판게아’입니다. 판게아는 1910년 기상학자 알프레드 베게 너가 처음으로 주장했어요. 세계 지도에서 아프리카 대륙과 남미 대륙의 해안선 이 일치하는 것을 보고, 지금은 멀리 떨어져 있는 ... ...
- 전략의 신 2. 고정관념 깨는 선수 기용수학동아 l2024년 03호
- 나와 3~6이닝을, 다시 불펜투수와 마무리 투수로 경기를 마무리하게 한다. 이것이 바로 오프너 전략이다. 선발투수진이 약하거나 기존 선발투수가 부상이 있을 때 이 전략을 주로 쓴다. 오프너 전략은 2018년 MLB 탬파베이 레이스에서 처음 시도해 성공했다. 당시 선발투수진이 약한데, 새로운 투수를 ... ...
- [신의 책] 세상을 해석하는 수열수학동아 l2024년 03호
- 거리의 차를 나열해보면 7, 7, 14, 21, 35, 56이에요. 발견하셨나요? 연달아 있는 두 수의 합이 바로 뒤의 수가 되는 수였습니다. 여기에서 김재희 교수는 힌트를 얻은 거예요.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100 - 7(Fn + 1로 표현할 수 있어요. Fn은 앞에서 언급한 피보나치 수열을 말해요. 예를 들어 F3은 2니까, 토끼 ... ...
- Intro 당신은 도파민 중독인가요?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여러분의 하루와는 얼마나 다른지 비교해 보세요. 자칭 도파민 중독자의 하루 제가 바로 도파민 중독이에요 김소연 기자 인스타그램 숏츠를 서너 시간이고 본다던가, 트위터 타임라인에 더 이상 새로운 글이 없을 때까지 보고 있었다는 걸 문득 깨달을 때마다 제가 도파민 중독이 아닐 리가 없다고 ... ...
- [특집] 소셜 미디어가 설계한 중독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가끔 얻는 보상에는 짜릿한 기분을 느껴 같은 행위를 반복하는 것이다. 소셜 미디어는 바로 이런 간헐적(변동적) 보상을 전제로 디자인돼 있어 사용자들은 스키너의 실험 속 쥐가 될 수밖에 없다. 친구의 얼굴을 보며 수다를 떨 때는 상대의 반응을 예상할 수 있고 또 반응이 즉각적인 것과 달리, ... ...
- [커리어] 지하 1000m 과학자들의 놀이터! IBS ‘예미랩’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암흑물질의 신호를 구별하기 위해선 더 조용한 곳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 답이 바로 지하 1000m에 위치한 실험실이다. 암흑물질은 은하의 내부에 가득 차, 은하의 질량을 이루고 있을 것으로 추측되는 물질로 다른 입자와 상호작용하지 않아 검출하기 어렵다. 지상은 그런 의미에서 암흑물질을 ... ...
- [특집] 세상에서 가장 작은 도서관, DNA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나는 달 도서관의 사서 달토끼야. 지구에서 보낸 수많은 자료를 보관하고 있지. 바로 생물의 유전물질인 DNA의 형태로 말이야. DNA를 활용하면 같은 양의 정보를 다른 저장 장치보다 훨씬 작은 공간에, 더 오랫동안 저장할 수 있거든. 너는 어떤 정보를 간직하고 싶어?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 ...
- 영화를 DNA에 저장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저장 장치는 지금보다는 미래에, 지구보다는 지구 밖에서 더욱 필요한 기술이야. 바로 내가 있는 달 도서관 같은 곳에서 말이야. 그 이유를 알려줄게!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데이터를 보관하려면? 2018년 IT분야 분석 기관인 국제데이터코퍼레이션(IDC)은 인류가 만든 모든 정보의 용량이 2025년 기준 17 ... ...
- [통합과학 교과서] 신들에게 전기를 보내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직류 송전이 가능해진 덕분에 활용할 수 있는 방식이죠. 게다가 태양광 발전에서는 바로 직류 전기를 만들기 때문에 초고압직류송전 방식을 이용하면 전기를 따로 변환할 필요가 없어요. 이러한 이유로 전 세계 많은 나라에서 초고압직류 송전 설비를 갖추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에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