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자 이름 새긴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피보나치 소수’도 있다. 피보나치 수열은 1과 1로 시작하고, 앞의 두 수의 합이 바로 뒤의 수가 되는 수열이다. 피보나치 수열을 나열하면 아래와 같다. 아래 수를 ‘피보나치 수’라고 한다. 피보나치 소수 또한 무한할 것으로 추측하지만 증명되지는 않았다. 현재까지 알려진 피보나치 소수는 3 ... ...
- RSA 암호의 핵심 원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답을 금방 낸다. 그러나 반대로 ‘143은 어떤 소수의 곱으로 이뤄졌나?’라고 물으면 바로 답할 수 있을까? 조금 더 수의 크기를 키워보자. 소수 1031과 5119를 곱하는 것은 쉽게 할 수 있지만, 이 수를 곱한 5277689를 소인수분해 하면 몇이 되는지 빠르게 말할 수 있을까? 아마 답을 낼 때까지 시간이 ... ...
- Part2. 4족보행 로봇 AI에게 걸음마 배워 세상으로!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로봇을 직접 만들 수 있는 공장을 2023년 10월 경북 구미시에 지었습니다. 수요가 생기면 바로 양산 가능한 셈이니 1~2년 내에는 국내 시장에도 로봇이 들어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
- 사람에게 지문이 있다면, 반려견에겐 ‘이것’이 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틀면 코주름 촬영이 중단됐습니다. 진땀을 빼는 기자를 보며 임 대표는 “이것이 바로 반려동물 비문 인식 기술 개발이 쉽지 않은 이유”라며 “뽀뇨를 안고 촬영하면 훨씬 수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반려동물 비문 인식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그동안 5만여 장(!)의 개 코 사진을 직접 촬영한 ... ...
- 티타임 속 과학 이야기5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답을 떠올렸다면 당신은 틀렸다. 찻잎은 오히려 찻잔 가운데로 몰린다. 이 문제가 바로 수십년 간 과학자들을 괴롭힌 ‘찻잎 패러독스’다. 찻잎 패러독스에 대한 완전한 해답을 처음 제시한 건 알버트 아인슈타인이다. 아인슈타인은 1926년 한 편의 논문을 통해 찻잎 패러독스가 찻잔과 차 사이의 ... ...
- [논문탐독] 혹등고래가 알려준 자유자재 유체 사용법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밀고 들어갈 힘을 보충하면 실속을 지연시킬 수 있죠. 주변의 유체를 어떻게 섞을까요? 바로 지느러미 표면에 인위적인 소용돌이를 일으키면 됩니다. 정리하면, 지느러미가 힘을 내기 위해서는 더 높은 받음각에서도 실속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고, 실속을 지연시키려면 유동 박리를 억제해야합니다. ... ...
- 소수만 거르는 에라토스테네스의 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반복한다고 생각해보자. 결국 마지막에는 2, 3, 5, 7, 11, …처럼 소수만 남을 것이다. 이게 바로 에라토스테네스가 고안한 소수 판정법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다. 더 시야를 넓혀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이용해 N 이하의 자연수 중에서 소수를 찾아보자. 커다란 종이에 N까지 자연수를 모두 적는다. ... ...
- 소수를 사랑한 신학자 메르센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학술지의 시작으로 볼 수 있다. 수학에도 심취한 그가 가장 열중한 대상이 있었으니, 바로 소수다. 소수에 흠뻑 빠진 메르센은 모든 소수를 나타낼 수 있는 수학 공식을 찾으려고 노력했지만, 찾지 못하고 일정한 형태를 가진 소수를 깊게 연구한다. 연구 과정에서 n이 1보다 큰 자연수일 때 Mn = 2n - ... ...
- 희대의 난제 리만가설을 만든 리만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만들었다. 그 리만 제타 함수의 자명하지 않은 근(영점)은 모두 일직선 위에 있다는 것이 바로 리만 가설의 내용이다. 여기서 자명하지 않은 근이란 오일러가 계산한 근을 뺀 나머지 근이다. 오일러는 리만 제타 함수의 s가 음의 짝수일 때의 값은 모두 0이라고 밝혔다. 고로 리만 가설이 참이라 ... ...
- 앞으로 읽어도 뒤로 읽어도 똑같다 회문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이 수들이 11의 배수인 것을 어떻게 알까? 직접 나눠보지 않고도 쉽게 아는 방법이 있다. 바로 홀수 자릿수의 합과 짝수 자릿수의 합의 차를 확인하면 된다. 그 둘의 차가 0 또는 11의 배수면 그 수는 11의 배수고, 그렇지 않으면 11의 배수가 아니다. 이런 방법을 ‘11의 배수 판정법’이라고 한다. 예를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