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표면"(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봄비가 박테리아 퍼뜨린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통해 증명했다. 실험 결과 특정 토양, 비의 강도 조건에서 빗방울 하나는 접촉한 토양 표면의 박테리아 0.01%를 옮겼으며, 운반된 박테리아는 한 시간 이상 살아남았다.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에어로졸과 결합한 미생물은 기후 변화, 질병 전파, 수질·토양 오염 등 미생물의 지리적 이동에 중요한 ... ...
- Intro. 21세기 양자물리학의 최전선 양자물질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있는 혁명을 눈치채지 못하고 있었다. 양자물질은 2017년 현재 양자물리학의 최전선이다. 표면에만 전류가 흐르고 내부는 절연체인 ‘위상절연체’, 우주론의 웜홀과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는 ‘바일 준금속’ 등이 발견되면서 새로운 입자를 예측하고 발견하는 게임이 물리학자들 사이에서 한창 ... ...
- 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하나 발견하게 된다. 이 숫자가 짝수면 그 절연체의 표면은 평범하다. 만약 홀수면 그 표면에는 디랙 입자가 ‘반드시’ 존재해야만 한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물리및천문학과 찰스케인과 그 동료들의 위대한 발견이다.분수 전하나 디랙 입자 같은 단어만 열거해 보면 입자물리학자나 우주론 ... ...
- [Future] 행성 중력 이용해 우주 탐사해 볼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그린 상상도. 스마트-1호는 달에서 3년간의 임무를 마친 뒤, 2006년 9월달 남반구 표면 화산분화구인 ‘엑설런스 호수’와 충돌한 뒤 소멸됐다. +더 읽을거리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 ‘보이저 1, 2호, ‘인터스텔라’ 여행길에서 성간구름 만 날 예정’(2017.2)dl.dongascience.com ... ...
- Part 1. 역설의 정체를 밝혀라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딱 맞게 둘러 묶으려면 이 지구의 지표면이 지금보다 얼마나 더 솟아올라야 할까?(단, 지표면은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솟아오르며, 리본을 묶는 부분의 길이는 무시한다.) 세 번째 문제 감자 튀김을 판매하는 햄버거 가게 주인이 감자 100kg을 샀는데, 감자의 수분 함유율이 99%였다.이후 감자가 ... ...
- [Career] 꿈의 연구실에서 만든 꿈의 다이오드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교수가 그토록 자랑하는 연구원들이 만든 꿈의 다이오드는 대체 어떤 것일까. 반도체 표면에 금속막을 증착해 만드는 금속/반도체 접합 다이오드는 역사적으로 가장 오래되고 대표적인 반도체 소자다. 그런데 접합면에서 두 물질의 원자가 뒤섞여 전류 누설이 늘어나는 현상을 피할 수 없어 ... ...
- Part 2. 빙하기 땅이 꽁꽁 얼면 동물이 커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빙하기의 환경 때문이랍니다.빙하기는 지구상의 물이 얼어붙는 시기이기 때문에 바다의 표면인 ‘해수면’ 높이가 내려가고, 얕은 바다가 뭍으로 변하게 돼요. 이렇게 육지가 넓어지면 육상 동물이 살 수 있는 서식처도 함께 넓어져요. 넓은 서식처를 이리저리 옮겨다녀야 하는 큰 초식 동물들이 ... ...
- Part 3. 때 이른 겨울이 독감 불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준 것일까요?우선 낮은 기온은 바이러스가 살아가기에 좋은 조건이에요. 바이러스의 겉 표면이 기름 성분인 지질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이죠. 지질은 높은 온도에서 흐물흐물해지는 반면, 낮은 온도에서는 단단해지는 특징을 갖고 있답니다. 마치 버터가 뜨거운 프라이팬에서는 녹고, 냉장고에서는 ... ...
- [과학뉴스] 에너지 없이 지붕 식히는 필름?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자연에 없는 완전히 새로운 특성이다. 연구팀은 마지막으로 빛 반사율을 높이기 위해 표면을 은으로 얇게 코팅했다.태양이 가장 높이 뜬 정오에 실험한 결과, 필름 면적 1m2당 93W의 열을 배출했다. 비슷한 면적의 태양 전지가 생성하는 전기량과 맞먹는다. 연구팀은 또한, 대량생산과 사용이 ... ...
- [과학뉴스] 해리포터 이름을 딴 새로운 게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발표했다.해리플랙스 세베루스는 길이와 너비가 1cm 미만이며, 달걀 모양의 등껍질은 표면이 우툴두툴하다. 또 어두운 심해에 적응하면서 눈 크기가 작아지고 촉각이 발달했다. 응 교수팀은 두 가지 뜻을 담아 이 게에게 해리플렉스라는 이름을 붙였다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