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째깍째깍... 회춘, 시계를 되돌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그런데, 회춘이 무슨 뜻이냐고? 회춘은 봄이 다시 돌아온다는 뜻으로 젊은 시절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해. 회춘하려면 시간을 되돌려야 하지. 타임머신을 타냐고? 아니, 우리 몸의 시계를 거꾸로 돌리면 되지! 우리 몸도 컴퓨터처럼 ‘리셋’할 수 있을까?지난 1월 12일 미국 하버드대학교 의과대학 ... ...
- [포토뉴스] 가장 가까이서 포착한 용암 뒤덮인 이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목성 탐사선 주노가 목성의 세 번째 큰 위성 이오를 역사상 가장 가까운 5만 1500km 거리에서 3월 1일 촬영한 사진이 공개됐다. 이오 표면은 활발한 화산 활동으로 얼룩덜룩해 보인다. 표면의 빨강, 노랑, 주황, 검정 등 다채로운 색깔은 용암이 흐른 흔적이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2011년 8월 발사 ... ...
- [화보] 살아있는 모든 것을 품다, 생명의 보고 맹그로브과학동아 l2023년 04호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ㅣ 맹그로브 사진전 설립자 인터뷰 ㅣ “바다의 뿌리 맹그로브를 지키기 위해 전세계를 다닙니다” _ 레오 톰 자기소개 부탁합니다. 저는 1992년 설립된 미국 비영리단체 맹그로브 액션 프로젝트(Mangrove Action Project·MAP)에서 광고기획총괄관리자 ... ...
- [특집] 가짜 과학 믿는 사람, 설득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어떻게 비과학적 주장을 피할 수 있을까 ‘가짜 과학’으로 분류되는 주장들은 공통적으로 과학의 ‘권위’만 등에 업고 있으며, 실제로 과학이 성공적으로 작동하게 만드는 방법론을 따르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그렇다면 전문가가 아닌 사람들은 이런 유사과학적 주장들을 어떻게 가려낼 수 ... ...
- 사람 같은 생성형 AI는 언제? MIT-IBM 왓슨 AI 연구소에 묻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1월의 끝자락, 미국 케임브리지는 한파가 절정이었다.미세먼지 하나 없는 깨끗한 공기를 즐기기엔 항구도시의 칼바람이 너무도 매서웠다.두터운 외투로 꽁꽁 싸매고 걸음을 재촉해 메인스트리트에 있는 MIT-IBM 왓슨 인공지능 연구소(MIT-IBM Watson AI Lab) 건물로 들어갔다. 30일~31일 연구소에서 개최한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유인원들이 죽음을 마주하는 방법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아자입이 어제부터 보이지 않는다. 엄마 아유는 우~우~ 소리를 내며 숲 한편으로 걱정어린 눈빛을 보내고 있다. 아자입이 장남 아모레를 따라갔거나, 불행히도 포식자의 공격을 받는 등 사고를 당한 것으로 추측된다.” -2021년 2월 9일 필드 연구 리포트 발췌-인도네시아 야생 자바긴팔원숭이 A ... ...
- [기획] 풍선에 매달린 과학, 고고도 과학기구과학동아 l2023년 04호
- “2021년 이후 보고된 미확인비행물체(UFO) 366건 중 163건은 풍선과 관련된 것이다.” 미국 국방부가 1월 12일 공개한 ‘미확인비행현상 2022년 연례보고서’에 담긴 내용이다. 2월 4일, 중국산 풍선이 미국 국경을 넘은 것을 확인한 미군이 미사일로 풍선을 격추했다. 미국은 이를 ‘정찰용’이라 주장 ... ...
- [기획] 풍선, 우주를 보는 제3의 눈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남극 하늘, 저 멀리 하얗고 동그란 무언가가 떠 있다.자세히 살펴보니 물체는 점점 더 높이 올라간다.남극 황제펭귄의 눈에는 달이나 UFO처럼 보일 지 모르나, 실은 풍선이다. 그것도 고가의 망원경을 매단 풍선. 과학자들은 크고 튼튼한 풍선을 만들어 대기권 너머 우주를 바라보고 있다. ▲ 12월부 ... ...
- [한승전의 '초재료'] 저항 0, 에너지 손실도 0 극강의 효율 초전도 금속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전기저항=0’. 일반인들은 가늠하기 힘들겠지만 과학적으로는 어마어마한 일이다. 전기저항이 굉장히 낮은 순수한 구리선도 전기가 흐르면 열이 발생한다.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동안 그 일부가 열로 바뀌어 손실이 생긴다는 뜻이다. 저항이 없다면 에너지 손실도 사라지기 때문에 아주 작은 ... ...
- 유재석이 꿈이었던 학창 시절수학동아 l2023년 04호
- “말도 많고 나대는 걸 너무 좋아하는 아이였습니다.” 김 교수가 말하는 학창 시절 자신의 모습이다. 개그맨 유재석처럼 되는 게 꿈일 정도로 학교 행사에서 자주 나서서 진행했고, 만화 ‘슬램덩크’에 빠져 농구를 하며 친구들과 열심히 몰려다녔다. 수학을 좋아하긴 했지만, 수학자는 수학경시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