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뿌직, 똥으로 회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똥은 더럽다고만 생각했는데 똥도 회춘의 열매래. 똥이 어떻게 우리를 어리게 만들어 주는 거지? 똥에 사는 미생물이 그 비밀이라는데... 똥에 사는 세균, 회춘을 돕는다! 지난해 12월 26일 연세대학교 시스템생물학과 김지현 교수팀은 똥에 사는 세균으로 쥐를 회춘시켰다고 발표했어요. 기존 연 ... ...
- [과학영상 읽어줌] ChatGPT에게 수능과 토익을 풀게 해 봤다. 결과는 충격적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인공지능(AI)이 날로 발전하고 있어. 이제는 사람처럼 채팅도 하고 심지어는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과 토익까지 쳐봤다는데.... 과연 결과는 어땠을까? AI의 시험 결과를 확인하고, 지금 우리가 쓰는 아라비아 숫자의 기원과 애니메트로닉스에 대해서도 알아봐!☞소개된 영상보기 http://m.site.naver.com/1 ... ...
- [질문하면 답해ZOOM] 생선을 먹고 김치를 먹으면 왜 쓴맛이 나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세상엔 신기한 일들이 진짜 많고 궁금한 일들도 많아요. 그런데 왠지 친구들도 선생님도 모르고, 유튜브를 뒤져봐도 답이 안 나올 것 같은 질문이 있다고요?주저 말고 어과동에 물어봐요! 어과동 기자들이 답을 찾아서 알려줄게요! Q. 생선을 먹고 김치를 먹으면 왜 쓴맛이 나나요?A. 김치의 주 ... ...
- [뉴스&인터뷰] 드릴처럼 땅속 파고든다, 씨앗 심어주는 종자 운반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돌돌 말린 나무조각 사이로 새싹 하나가 고개를 내밀고 있다. 헬리콥터처럼 나무조각 날개 세 개가 달린 이 물건. 씨앗을 심는 종자 운반체다. 리닝 야오 미국 카네기멜론대 교수팀은 항공파종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드릴 모양의 종자 운반체를 개발했다고 2월 15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 ...
- 기어코 찾아올 죽음을 위한 궁리, ‘곱게 죽는’ 법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여러분은 자신의 장례를 생각해 본 적이 있나요? 내 장례식장에 틀 음악을 ‘장례식 플레이리스트’로 정리해보는 게 소소한 유행이 된 적이 있었죠. 한 누리꾼은 “내 장례식에선 사람들이 분홍색 옷을 입고 피자를 먹으며 날 기억해주면 좋겠다”는 글을 남기기도 했습니다. 미리미리 생각해 ... ...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네, 그래서 이과가 화재를 진압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아파트에서 폭발이 일어났습니다. 폭발이 일어난 층은 곧 불길에 휩싸입니다. 불이 난 곳은 탈출하기도 어려워 보이는 높은 층입니다. 불이 다른 층으로 옮겨 붙으면 큰일입니다. 위기의 순간, 아파트 옥상에 달린 경고등이 번쩍이더니 불이 난 층이 통째로 분리돼 움직입니다. 네, 마치 서랍 열 듯 ... ...
- DARE MIGHTY THINGS 위대함에 도전한 사람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세 명의 지구인이 지은 ISS의 운명은 어떻게 될까. 한편, ISS에서 가장 오래 머문 사람은 879일의 기록을 가진 러시아의 우주비행사 겐나디 파달카다. 뒤이어 미국의 페기 윗슨이 665일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 그는 여성 최초 ISS 사령관으로도 알려져 있다. 윗슨은 “나는 나를 의지 있는 사람이라고 하길 ... ...
- [이그노벨상] 단세포 생물에게 노선 설계 맡겼더니과학동아 l2023년 04호
- ※ 편집자 주 이그노벨상. 괴짜들의 노벨상이라 불리며 “다시 할 수도 없고 다시 해서도 안되는 업적”에 수여되는 상으로 불립니다. 매년 듣기만 해도 웃음이 터져 나오는 연구 약 10개에 수여되고 있죠. 하지만 웃음 너머로 과학의 본성에 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하는 연구들을 조명하는 상 ... ...
- [수학상위1% 비밀무기] 의대 합격 비결은 친구와 함께 수학 공부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월말에 빼는 문제를 풀었는데 풀이가 똑같은 거예요. 이 둘이 똑같다는 데서 초초말말 동일의 법칙이라는 이름이 탄생했어요. 월초는 전 달 말로 생각할 수 있잖아요. 따라서 4가지 경우 모두 월초에 돈을 넣어서 월말에 뺀다고 바꿔서 계산할 수 있어요. 그렇게 문제의 특정 부분을 포착해서 답을 ... ...
- 두 번째 질문 I 수학에선 무한을 어떻게 정의할까?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인문학자 고대 그리스에서 무한으로 어떤 탐구를 했는지 짧게 살펴봤는데요. 오늘날 수학자는 무한을 어떻게 정의하나요? 수학자 앞서 무한은 수의 개념이 아니라 영원히 끝이 안 나는 상태에 가깝다고 했는데요. 아무리 큰 자연수가 있어도 그 수에 1을 더하면 새로운 자연수가 나타나잖아요. 그 ... ...
이전9192939495969798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