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지구 내핵 회전 멈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맨틀보다 빨리 회전한다고 알려진 내핵! 2009년 말에 한 번 멈춘 후 속도가 점점 느려졌다고 해. 그런데 1971년에도 멈춘 적이 있었다고?! 왜 멈추고, 속도가 변하는지 내핵의 이야기를 한 번 들어 볼까? Q. 자기소개 부탁해.A. 안녕! 나는 지구의 중심 ‘내핵’이라고 해. 지구 내부는 지표에서부터 지각 ... ...
- 회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이곳은 쥐들만 아는 회춘의 방.회춘의 방에 들어갔다 나오면 쥐들은 어려질 수 있지.올해 6월부터 나이를 세는 법이 만 나이로 통일되면 사람들의 나이가 한두 살 어려진다며? 회춘의 방에선나이만 어려지는 게 아니라 신체 나이도 어려진다는데회춘의 방 안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 거냐고? ▼이 ... ...
- 째깍째깍... 회춘, 시계를 되돌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그런데, 회춘이 무슨 뜻이냐고? 회춘은 봄이 다시 돌아온다는 뜻으로 젊은 시절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해. 회춘하려면 시간을 되돌려야 하지. 타임머신을 타냐고? 아니, 우리 몸의 시계를 거꾸로 돌리면 되지! 우리 몸도 컴퓨터처럼 ‘리셋’할 수 있을까?지난 1월 12일 미국 하버드대학교 의과대학 ... ...
- [뉴스&인터뷰] 드릴처럼 땅속 파고든다, 씨앗 심어주는 종자 운반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돌돌 말린 나무조각 사이로 새싹 하나가 고개를 내밀고 있다. 헬리콥터처럼 나무조각 날개 세 개가 달린 이 물건. 씨앗을 심는 종자 운반체다. 리닝 야오 미국 카네기멜론대 교수팀은 항공파종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드릴 모양의 종자 운반체를 개발했다고 2월 15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 ...
- 생성형 AI가 그린 그림으로 돈을 벌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올해 초 세계 최대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회사인 ‘게티 이미지’는 이미지 생성 AI 모델인 ‘스테이블 디퓨전’을 개발한 영국 회사를 상대로 무려 2000조 원의 손해배상을 청구했다. AI 이미지 생성 서비스가 저작권을 침해했다는 이유에서다. 누구나 손쉽게 생성형 AI를 이용할 수 있는 시대, AI 창 ... ...
- [과학사 극장] 아인슈타인은 상대성 이론으로 노벨상을 받지 못했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전자가 튀어나와 광전류가 흐르는데 이를 광전효과라고 한다. 이 현상은 1887년 독일의 물리학자 하인리히 헤르츠가 처음 발견한 후, 다른 물리학자들이 여러 차례 실험으로 그 현상을 확인했지만 빛의 파동론으로는 설명이 힘들었다. 1905년 아인슈타인은 빛을 입자로 가정하는 광양자 개념을 도입해 ... ...
- [성진우·염민규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줄기세포로 장기를 조립하다,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23년 04호
- 2019년이 배경인 영화 ‘아일랜드’ 에서는 인류의 마지막 생존자들이 격리된 시설에 모여 살아갑니다. 그들은 상상 속에서만 존재하는 지상 최대의 낙원 ‘아일랜드’에 가는 것을 엄청난 행운으로 여기죠. 하지만 진실은 달랐습니다. 생존자들이 생활하는 격리 시설은 사실 복제인간들을 수용 ... ...
- [한승전의 '초재료'] 저항 0, 에너지 손실도 0 극강의 효율 초전도 금속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전기저항=0’. 일반인들은 가늠하기 힘들겠지만 과학적으로는 어마어마한 일이다. 전기저항이 굉장히 낮은 순수한 구리선도 전기가 흐르면 열이 발생한다.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동안 그 일부가 열로 바뀌어 손실이 생긴다는 뜻이다. 저항이 없다면 에너지 손실도 사라지기 때문에 아주 작은 ... ...
- [SF] 끝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출발선_뒤_100m현재 시각 오전 6시 38분, 기온 26℃, 상대습도 87%, 불쾌지수는 76으로 경계단계. 정오가 되면 상대습도는 60% 대로 떨어지지만 기온이 약 4℃ 오를 확률이 90% 이상. 달리는 인간의 자율신경계가 체온을 내는 데 어려움을 겪고, 체내 수분은 걷잡을 수 없이 빠져나갈 것이다. 42.195km를 달리 ... ...
- 두 번째 질문 I 수학에선 무한을 어떻게 정의할까?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인문학자 고대 그리스에서 무한으로 어떤 탐구를 했는지 짧게 살펴봤는데요. 오늘날 수학자는 무한을 어떻게 정의하나요? 수학자 앞서 무한은 수의 개념이 아니라 영원히 끝이 안 나는 상태에 가깝다고 했는데요. 아무리 큰 자연수가 있어도 그 수에 1을 더하면 새로운 자연수가 나타나잖아요. 그 ... ...
이전9495969798991001011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