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내"(으)로 총 5,445건 검색되었습니다.
- 다양한 관점에서 ‘행복’에 접근하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물질적으로 풍요롭게 사는 것이 가장 중요한 척도로 여겨지기도 했기에, 행복지수에서 국내총생산(GDP)이 중요한 측정기준으로 활용됐다. 그러나 기본 욕구가 충족된 국가들에서는 소득이 지속적으로 증가해도 개인의 행복 체감도가 정체되는 현상인 ‘이스털린의 역설’이 등장하면서 행복 측정에 ... ...
- [과학뉴스] 비트코인, 모르고 사면 독(毒)된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화폐로 인정했고, 미국에서는 12월 11일 시카고 옵션 거래소에서 첫 거래를 시작했다. 국내에서는 비트코인을 화폐나 금융상품으로 인정하지 않고 오히려 투자 과열과 범죄 위험에 규제를 하겠다는 방침이지만 분위기는 쉽게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비트코인 말곤 없나2017년 12월 14일 기준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냄새를 맡으며 원거리에서도 감정적 안정감을 주기 위해서다. 사람과 소통하는 로봇국내 로봇 제조 회사인 로보케어는 사람과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케어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자폐아의 사회성을 키워주기 위한 로봇 ‘키보’는 학급의 보조교사의 역할을 수행한다. 수업에 참관하며 지켜보다 ...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우주 관측 실험 등 우주의 비밀을 풀어내는 기초 분야부터 최첨단 탑재체 개발까지 국내 연구진은 여러 분야에서 영향력을 높이고 있다”며 “포스트 ISS 시대가 기대되는 이유”라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20년 우주 개발 협력의 상징, 국제우주정거장 ISSPart 1. 1998~2018, ... ...
- [인터뷰] KAIST 입학처장 신하용, 기본기 갖춘 ‘능력자’가 유리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학부생이 연구에 참여해서 학점을 받을 수 있는 ‘학부생연구참여프로그램(URP)’도 국내 최초로 도입했다. 모두 학생들이 학업과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교육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제도들이다. 신 입학처장은 “KAIST의 경우 연구를 하고 싶어서 지원하는 학생이 많다”며 “KAIST에서 ... ...
- Part 4. 너의 취향을 추천할게과학동아 l2018년 01호
- 2016년 기사와 동영상, 웹툰 등 콘텐츠를 추천하는 딥러닝 기반 기술인 ‘에어스(AiRS)’를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에어스 기술의 핵심은 두 가지다. 관심사가 비슷한 사용자들을 네트워킹하는 머신러닝 기법(협력필터 기술)과 개인의 텍스트 콘텐츠 소비 유형을 분석해 예측하는 인공신경망 기술 ... ...
- [Culture] 좌완투수의 시대 왼손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주로 왼손 타자들을 상대하고 내려간다. 단 한 명만을 상대하는 경우도 흔하다. 국내 LG 트윈스의 진해수 선수나 NC 다이노스의 임정호 선수가 대표적이다. 타자의 입장에서는 같은 쪽 손을 쓰는 투수가 공을 던지는 경우 팔이 나오는 각도를 파악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마치 공이 ...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일환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정상기 KISTEP 미래예측본부장은 “KISTEP 내부 분석 결과 국내 인공장기 분야 기술경쟁력은 해외 선진국에 비해 아직 부족한 수준이어서 국가 연구방향을 설정해 역량을 집결할 필요가 있다”며 “대학, 국책연구기관, 기업이 서로 협력해 성과를 바로 산업화하는 ... ...
- [Culture] 우리 개가 자꾸 똥을 먹어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동물행동의학 및 야생동물의학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국내 최초로 동물의 정신과 진료를 전문으로하는 비아동물행동클리닉을 운영했고, 해마루케어센터 센터장으로 동물정신과와 호스피스 진료를 했다. 현재는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데이비스)에서 ... ...
- [Issue] 국내 첫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2008년 2월, 숭례문 화재는 설 연휴 마지막 날 저녁에 발생했다. 한 노인의 어처구니없는 방화로 2층 상부의 90%가 불 타 버렸다. 국보 1호가 거대한 화마에 휩싸인 장면은 아직도 트라우마로 남아 있지만, 다행히 숭례문은 5년 만에 예전 모습을 거의 되찾았다. 큰 규격의 부재가 상당 부분 재활용 가능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