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지
내륙
나라안
국내컴퓨터통신망
컴퓨터
통신망
내국
d라이브러리
"
국내
"(으)로 총 5,44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중국 탓에 심해졌다?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실제로 효과가 있는지 의문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한국소비자원은 2016년 11월
국내
에서 소비자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9개 업체 공기청정기 9개 모델을 대상으로 성능 테스트를 진행했다. 미세먼지 제거 효율과 탈취 효율, 유해가스 제거 성능, 소음, 안전성 등 17개 항목을 평가했다. 미세먼지 제거 ... ...
[에디터 노트] 가짜의 달콤함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인공 기관(trachea)을 개발한 뒤 2011~2012년 이를 환자에게 이식하는 수술로 명성을 떨쳤다.
국내
에는 2013년 TV 다큐멘터리 ‘해나의 기적’에서 한국계 캐나다 여아 해나 워런의 기관 이식 수술을 담당한 의사로 등장하면서 유명해졌다. 하지만 당시 마키아리니 박사에게 인공 기관 이식 수술을 받은 ... ...
[Origin] 비브라늄으로 무장한 슈퍼히어로, 블랙팬서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지금은 가시광선을 비롯해 음파를 흡수하거나 휘어지게 만드는 메타물질도 개발됐다.
국내
에서는 최근 투명망토뿐 아니라 홀로그램을 만드는 데 활용할 수 있는 메타물질이 개발됐다. 노준석 POSTECH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교수팀은 반도체 연구에 쓰이는 실리콘을 가시광선 파장인 400~700nm보다 ... ...
[Future] K팝과 인공지능의 만남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강한 나선형 신경망으로 동작을 포착했다. 곡가무일체는 1~2년 내 다양한 산업에 적용돼
국내
콘텐츠의 산업성을 높이는 데 사용되는 것이 일차적인 목표다. 가령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캐릭터의 춤을 더 빠르고 더 저렴하게 만드는 데 활용할 수 있다. 현재 애니메이션은 캐릭터의 움직임을 ... ...
[과학뉴스] 평창 하늘 수놓은 1218대 드론 군무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펼치듯, 드론 기술도 계속해서 경쟁하며 발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공 팀장은 “
국내
군집 비행 기술은 인텔과 비슷한 수준”이라며 “슈팅스타와 같은 드론 쇼를 펼칠 수 있는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Culture] 정현 호주오픈 4강 비결 분석, 테니스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한 교수는 “외국의 경우 테니스를 물리학적으로 해석한 논문의 양이 증가하는 추세지만
국내
에서는 여전히 관심이 적은 편”이라며 “테니스 등 스포츠를 과학과 결합해 융합적 분석을 한다면 그 분야의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Issue] 노벨상 산실 가속기 누가 먼저 짓나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 현재 일본이 계획 중인 국제선형가속기(ILC·Inter national Linear Collider) 프로젝트에
국내
에서 유일하게 참여하고 있는 김은산 고려대 가속기과학과 교수는 ILC와 중국의 CEPC를 비교하며 이렇게 말했다. ILC는 일본이 2013년부터 추진해 온 세계 최대 규모 선형가속기 건설 프로젝트다. 길이가 약 31km로 .. ...
Part 3. 암호화폐 둘러싼 소문4, 진위 확인해 보니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규모의 해킹이 발생했다. 신생 암호화폐인 ‘나노’ 1700만 개가 무단으로 인출된 것이다.
국내
에서는 지난해 12월 19일 거래소 ‘유빗’이 해킹으로 약 172억 원의 손실을 입고 파산 절차를 진행했다. 암호화폐 거래소의 골칫거리 중 하나는 해킹이다. 일각에서는 해커의 소행이 아니라 거래소의 ... ...
[Issue] 머스크의 ‘팰컨헤비’ 드디어 우주로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등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역할을 차츰 줄이고 민간 기업의 역할을 키우자는 것이 앞으로
국내
우주 개발의 기본 방향”이라고 밝혔다. 김승조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명예교수는 “우주산업의 발전에 있어서 정부의 지원 규모보다 중요한 것은 산업계가 우주개발에 관심을 가질 만한 환경을 ... ...
이보다 안전할 수 없다 양자암호통신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레이저를 이용해 무선으로 양자암호통신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지난해 12월
국내
최초로 50m 거리에서 송수신에 성공했다. 한상욱 KIST 양자정보연구단 선임연구원은 “중국은 인공위성을 이용해 대륙 간 양자암호통신을 성공시켰고, 우리는 광케이블이나 레이저를 이용했다는 점이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