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내"(으)로 총 5,445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 취재] 24시간 생물 탐사 대작전! 2017 바이오블리츠코리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선운산생태숲에서 총 836종의 생물이 기록됐거든요. 269종이 발견된 곤충 가운데에는 국내 ●미기록종인 파리 ‘케로플라티데’가 포함돼 있답니다.●미기록종 : 분류가 되어 있지만, 그 지역에 사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던 생물.또 식물 319종 중에는 습지에서만 사는 희귀식물 ‘끈끈이 주걱’과 ... ...
- [과학뉴스] 흡연이 대장질환 유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난치성 대장 질환인 크론병을 유발하는 원리를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크론병은 설사와 복통을 일으키는 만성 염증 질환으로 가수 윤종신씨가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관심을 받은 바 있다. 최근 흡연이 크론병을 유발하는 핵심 요소라는 임상 연구 결과들이 나왔지만, 어떤 원리로 ... ...
- Part 4. 지금은 ‘미소년’ 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전망했다. 얼굴의 구조보다는 표정이 아름다운 얼굴이 뜬다는 얘기다. 그는 “국내 성형수술 수준이 발달하고 최근 10년 동안 비슷한 얼굴의 미인이 많아지면서 이런 얼굴에 더 이상 호감을 느끼지 않는 것 같다”며 “최근에는 웃을 때 입 꼬리가 올라가거나, 보조개가 들어가는 등 표정을 동적으로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보통 NIH 소속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내부 연구 프로그램’과 연구소 밖 국내외 연구자들에게 연구비를 지원하는 ‘외부 연구 프로그램’으로 나뉜다. 가장 중요한 평가요소는 과학적 우수성이다. 논문 수나 임팩트 팩터(IF)가 아니라 아이디어의 독창성, 학계에서의 영향력, 사회적 공헌도, ... ...
- [Culture] 세인트 앤서니 폭포 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동일(?)한데, 교수들이 물건을 건네 달라고 할 땐 학생들이 던져서 준다고 하네요. 국내 연구진도 SAFL에 방문 연구를 했고, 현재도 초공동현상과 관련된 연구로 SAFL 연구진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만약 SAFL에 방문할 기회가 있다면 가을을 추천합니다. 미니애폴리스에는 호수가 유달리 많습니다. ... ...
- [Career] 슈퍼컴퓨터로 단백질 연구하는 물리학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연산 처리 속도가 1130테라플롭스(TFlops·1TFlops는 1초에 1조 번 연산)로 가장 빠르다. 국내에서 가장 빠른 기상청 슈퍼컴퓨터와 비교하면 연산 속도가 약 50% 수준이며, 세계 슈퍼컴퓨터 순위 500위 안에 3번이나 등재됐다. 20년 가까이 단백질을 연구하면서 장 교수는 뇌 조직에 찌꺼기처럼 쌓여서 ... ...
- [과학뉴스] 발암물질 석면, 안전하게 폐기 가능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국제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하면서 2009년부터 국내에서 제조와 사용이 전면 금지됐다. 문제는 그 전에 사용된 석면을 폐기할 때 다량의 석면이 공기나 토양으로 배출돼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 해외 연구진이 섭씨 1500도 이상의 고온에서 석면을 ... ...
- Part 1. 72시간 동안 태백산맥이 활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것은 지난해 1년 동안 산불 피해를 입은 면적(378ha)에 가까운 엄청난 넓이예요. 국내에서 100ha이상 피해가 발생한 것도 2013년 울산 산불 이후 4년 만이랍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긴급취재, 산불을 막아라!Part 1. 72시간 동안 태백산맥이 활활~!Part 2. 사람이 만들고 바람이 키운 ... ...
- [에디터 노트] 노벨상의 시간과학동아 l2017년 11호
- 1.3% 늘었고, 고정적으로 편성되던 R&D예산은 최근 10년간 1%가까이 줄었다. 한국은 2014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R&D에 4.29%를 투입했다. 비율만 놓고 보면 일본을 넘어선다. 희망적인 신호다. 노벨상은 최소 20~30년 전의 연구 성과에 주어진다는 점에서 ‘기다림의 미학’에 가깝다. 우리에게 필요한 건 ...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 가설을 세우는 것뿐이었다. 필자는 형질전환 초파리를 이용한 생체시계 연구를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시작한 2004년 무렵에서야, 위와 똑같은 가설을 초파리 동물 모델을 이용한 실험으로 증명해낸 연구 논문이 1971년에 이미 발표됐다는 사실을 알았다. 최초로 찾아낸 생체시계 유전자 ... ...
이전98991001011021031041051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