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내"(으)로 총 5,445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과학자 100명에게 물었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논문 수와 같은 정량적인 평가에 치중하는 R&D 시스템에서 비롯됐다는 지적이 많다. 최근 국내에서는 연구 내용을 더 깊숙이 들여다보고 독창성과 우수성 등 연구의 질적인 측면을 평가하려는 R&D 평가 시스템이 시도되고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자 100명에게 물었습니다Part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보통 NIH 소속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내부 연구 프로그램’과 연구소 밖 국내외 연구자들에게 연구비를 지원하는 ‘외부 연구 프로그램’으로 나뉜다. 가장 중요한 평가요소는 과학적 우수성이다. 논문 수나 임팩트 팩터(IF)가 아니라 아이디어의 독창성, 학계에서의 영향력, 사회적 공헌도, ...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아주 위험한 생물 무기가 될 수 있다. 항생제와 수액을 투여해 치료하며, 최근 국내에서 국제백신연구소(IVI·International Vaccine Institute)와 유바이오로직스가 경구용 콜레라 백신 ‘유비콜’ 개발에 성공했다. 후보물질 4. 페스트균(Yersinia pestis)유럽 역사상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감염병을 하나 ... ...
- Part 4. 지금은 ‘미소년’ 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전망했다. 얼굴의 구조보다는 표정이 아름다운 얼굴이 뜬다는 얘기다. 그는 “국내 성형수술 수준이 발달하고 최근 10년 동안 비슷한 얼굴의 미인이 많아지면서 이런 얼굴에 더 이상 호감을 느끼지 않는 것 같다”며 “최근에는 웃을 때 입 꼬리가 올라가거나, 보조개가 들어가는 등 표정을 동적으로 ... ...
-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 처음으로 동료평가방식을 도입해 연구단을 평가했다. IBS는 연구분야에 이해도가 높은 국내외 석학 10명으로 이뤄진 성과평가위원회를 구성했다. 이 중 절반 이상은 해외 석학들이다. 정유진 IBS 연구평가팀장은 “연구단 출범 후 최초 평가인만큼 지난 5년간의 성과와 과학적 진보에 대해 국제적 ... ...
- [Culture] 세인트 앤서니 폭포 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동일(?)한데, 교수들이 물건을 건네 달라고 할 땐 학생들이 던져서 준다고 하네요. 국내 연구진도 SAFL에 방문 연구를 했고, 현재도 초공동현상과 관련된 연구로 SAFL 연구진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만약 SAFL에 방문할 기회가 있다면 가을을 추천합니다. 미니애폴리스에는 호수가 유달리 많습니다. ... ...
- Part 3. 소라게, 인공집은 과연 필요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진해만에서는 여름철 저층의 pH가 7.3~7.4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어요. 하지만 국내 해양 산성화의 현황이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뤄지지 않고 있지요.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한동욱 박사는 “앞으로 우리나라 소라게들에게도 인공집이 필요한 날이 곧 올 수 있다”며, ... ...
- [쇼킹 사이언스] 과학자들도 풀지 못한 파도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세계 곳곳의 해변에서 나타나는 현상이에요. 우리나라의 동해안에서도 발견되지요. 단, 국내의 해빈 커습은 사진만큼 굴곡이 뚜렷하진 않답니다.과학자들도 풀지 못한 파도의 비밀! 과학자들이 수십 년간 이 현상을 연구를 했지만, 아직까지 그 원인이 뚜렷하게 밝혀지지 않았어요. 현재는 두 가지 ... ...
- Part 1. 72시간 동안 태백산맥이 활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것은 지난해 1년 동안 산불 피해를 입은 면적(378ha)에 가까운 엄청난 넓이예요. 국내에서 100ha이상 피해가 발생한 것도 2013년 울산 산불 이후 4년 만이랍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긴급취재, 산불을 막아라!Part 1. 72시간 동안 태백산맥이 활활~!Part 2. 사람이 만들고 바람이 키운 ...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표준기관인 국립물리학연구소(NPL)의 브라이언 키블 박사가 처음 제안한 방식이다. 국내에서는 필자가 속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역학표준센터가 키블 저울 방식으로 플랑크상수를 구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XRCD는 실리콘 개수를 세어 아보가드로 수를 측정하는 실험이다. 실리콘 구의 부피를 ... ...
이전98991001011021031041051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