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스페셜
"
관측
"(으)로 총 1,039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력이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을까?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30
보고서에 따르면 원자력 발전의 비중도 현재 10.7%에서 2030년에는 13.1%로 늘어날 것으로
관측
됐다. 특히 아시아 지역은 원자력발전의 증가세를 주도할 전망이다. 실제로 현재 전세계에 건설 중인 원자로 69기 중 약 70%가 아시아에 있다. 온실가스에 대한 국제적인 움직임은 원전 확산에 탄력을 ... ...
힉스 이후, 한국인이 제안한 3대 입자가 이끈다
IBS
l
2015.05.06
한국에서 할 예정이다. 바로 세메르치디스 단장의 액시온및극한상호작용연구단에서다.
관측
의 기본 원리는 강한 자기장에서 액시온이 광자로 붕괴하는 현상을 검출하는 것으로, ADMX와 비슷하다. 다만 자기장이 ADMX의 3.5~5배나 되는 등 모든 면에서 훨씬 성능이 뛰어나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1~100μeV ... ...
수성 탐사선 ‘메신저’여 편히 잠드소서!
2015.05.04
발표해 화제가 됐다. 물론 수성의 극지방에 물이 있을 거라는 사실은 지구에서의
관측
에서 이미 예상된 것이었지만 실제 확인하는 건 다른 얘기다. 프로젝트의 책임자인 션 솔로몬은 수성 북극 얼음의 양이 “워싱턴DC를 높이 4킬로미터로 덮을 양”이라고 재치있게 비유하기도 했다. 이 연구결과는 ... ...
韓中 백두산 폭발 대비 구멍뚫어 탐사 나선다
2015.04.02
3차원(3D) 지도를 만든다는 구체적인 청사진도 내놨다. 중국 정부는 그동안 천지화산
관측
소를 세우고 백두산 천지와 그 일대의 지진 등을 감시해 왔지만 지표면 탐사에 머물렀다. 분화할 가능성이 있는 세계 주요 대형 화산 가운데 마그마가 있는 지하 수 km 깊이까지 구멍을 뚫어 조사하는 건 ... ...
화학결합의 처음과 끝을 봤다
IBS
l
2015.03.27
밝히고 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데도 관심을 두고 있다. 여러 화학반응을
관측
하기 위해서는 펨토초 X선 펄스가 필요한데, 이를 제공할 수 있는 X선 자유전자 레이저는 4세대 방사광가속기에서 생성시킬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도 4세대 방사광가속기(PAL-XFEL)를 포항에 건설하고 있다. 여기서 ... ...
[오늘, 아리랑 3A호 발사] 발사 성공 1차 확인…노르웨이 지상국 교신 성공(4보)
2015.03.26
3.3~5.2㎛의 중적외선을 감지해 도시 열섬 효과나 산불 발생, 밤에 움직이는 구름 등을
관측
할 수 있다. 기존 아리랑3호보다 더 정밀한 해상도 0.55m급 전자광학카메라도 장착돼 지상에 서있는 사람의 대략적 모습도 확인이 가능하다.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는가?
IBS
l
2015.03.26
것은 아니다. 이러한 요동은 어디까지나 공간을 플랑크 길이(1.6×10-35m) 정도로 확대해야
관측
할 수 있다. 이처럼 ‘조용하지 않은 진공’은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이 만난 결과다. 양자역학에서 슈뢰딩거 방정식을 따르는 입자는 필연적으로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정확하게 결정할 수 없다. ... ...
모든 것의 시작을 찾는 여정
IBS
l
2015.02.25
존재한다는 강력한 증거가 된다. 20세기 후반부터 허블 우주망원경을 위시하여
관측
수단이 크게 발전하면서 암흑물질의 증거가 속속 보고되어 암흑물질은 실제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금은 존재 여부를 증명하는 차원을 넘어 암흑물질의 분포까지도 알아낼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 ...
로제타호가 혜성에 닿기까지
KISTI
l
2015.01.26
지구의 바다와 직접 연관성이 없을 수 있다는
관측
데이터가 나왔다. 따라서 로제타호의
관측
결과가 우리의 이런 가설을 미궁에 빠지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앞으로 1년간 로제타호는 혜성과 태양계 초기의 환경에 관한 비밀을 풀 수 있는 암호들을 보내올 것이다. 로제타석의 암호를 풀듯 이를 ... ...
우주여행의 지름길, 웜홀(worm hole)
KISTI
l
2015.01.13
개념을 도입했다. 이 이론은 블랙홀의 존재를 예언했고, 이후 이론의 발전과 간접적
관측
을 통해 블랙홀의 존재를 인정하게 됐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웜홀에 대한 이론이 서게 된 것이다. 웜홀을 이용한 우주여행은 가능할까? 현재 웜홀은 수학적으로만 존재한다. 또 웜홀이 존재한다고 해도 지속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