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스페셜
"
관측
"(으)로 총 1,039건 검색되었습니다.
백두산은 과연 어떻게 생겨났나?... BMW vs 판구조론 격돌
동아사이언스
l
2017.09.27
대로라면 1500만 년전부터 600만 년사이에도 계속 폭발이 발생했어야 하는데 지금까지
관측
결과 이 시기에는 화산 활동이 없었다”면서 “이런 부분을 설명하기위해 새로운 가설이 필요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화학적 분석에서도 BMW 모델로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 ...
토스터 크기 소형 탐지기, “유령을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17
볼링공에 미세한 떨림이 생기는 정도의 흔들림”이라고 묘사했다. 유 교수는 “이번에
관측
된 중성미자의 결맞음 상호작용은 초신성이 폭발할 때 중성미자와 핵자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또 작은 검출기로도 중성미자의 결맞음 상호작용 검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 ...
수 천만 개의 원자가 하나처럼 움직이는 때는?
동아사이언스
l
2017.09.10
이해를 이끌어낼 수 있다고 강조한다. 이와 함께 다른 두 편의 논문은 BEC 현상을 더 잘
관측
할 수 있게 만든 첨단 물리학에 대해 소개했다. 초저온 원자의 진동 및 회전 자유도 특성으로 인해 알게 된 다양한 사실들이 소개됐다. 또, 초저온 상태에 이른 원자를 움직이지 않게 잡아두기 위한 ‘광학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2.6등급이었다. 한편 1604년
관측
된 케플러 초신성(SN 1604)이 우리 은하에서 마지막으로
관측
된 초신성 폭발이다. 이 초신성의 최대 밝기는 -2.5 등급으로 태양과 달 다음으로 밝았고 3주 넘게 낮에도 보였다고 한다. 우리 은하 정도 크기라면 대략 50년에 한 번 꼴로 초신성 폭발이 일어나는 것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7.06.27
티타늄44가 만들어지고 그 붕괴 과정에서 초당 10의 43승 개의 양전자가 나와 지구에서
관측
하는 0.511MeV 감마선 피크를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지금까지 미스터리였던 칼슘44의 기원도 자연스럽게 해결이 된다. 즉 지구에 있는 칼슘의 97%가 칼슘40이고 2%가 칼슘44인데 후자의 경우 그 기원을 ... ...
북한 핵실험 여부, 실시간으로 탐지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5.16
때엔 그 시간이 더 짧아진다. 플라즈마 발생 여부와 발생까지 걸린 시간 등을
관측
하면 실시간 탐지가 가능하다. 연구진은 방사능 물질인 코발트-60을 실험 수준에서 탐지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의 1저자인 김동성 UNIST 석박사통합과정생은 “북한의 핵실험 탐지를 위해 전자기파 기법을 적용하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규모 7.8 지진으로 뉴질랜드 南-北섬 5m 가까워져
동아사이언스
l
2017.04.16
제공 연구진은 현장
관측
, 지진 데이터, 유럽우주국(ESA) 레이더
관측
위성 ‘센티넬1’의
관측
결과를 토대로 카이코우라 지진을 분석했다. 그 결과 이 지진에 12개의 대형 단층과 9개의 소형 단층이 관여했음을 확인했다. 거리가 멀어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생각했던 여러 단층이 한번에 흔들린 ... ...
이 세상에 없는 새로운 물질 형태를 찾아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12
박사팀은 다이아몬드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에 전자기파를 통과해 시간 결정의 진동을
관측
했습니다. 방법은 다르지만 두 연구는 모두 같은 결과를 의미합니다. 기존의 물리학으로는 설명할 수 없었던, 또한 발견되지 않았던 새로운 상태의 물질을 만들어낸 것이지요. 네이처 표지는 바로 이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0) 남극 오존층을 구하는데 일조한 랄프 시세론
2017.01.04
경고했다. 관련 업계는 강력하게 반발했지만 1985년 남극 오존층에 구멍이 뚫렸다는
관측
이 발표되자 1987년 CFC를 규제하는 몬트리올 의정서가 마련되어 1989년 1월 발효됐다. 이 업적으로 1995년 노벨화학상을 받을 때 롤런드와 몰리나는 시세론과 스톨라르스키를 언급했다. 시세론은 미시건대와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5)우주가 물질이 왜 더 많은지 실험으로 보여준 제임스 크로닌
2016.12.30
모여 있는 피에르아우거
관측
소 덕분에 아르헨티나의 기초과학이 큰 힘을 얻었다.
관측
소가 입주한 지역인 말라그에는 그의 이름을 딴 고등학교도 세워졌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