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소"(으)로 총 2,63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친구 따라 투표장 가는 ‘페이스북 법칙’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받은 사용자는 약 2.08% 더 투표를 했다고 보고했고(투표 완료 버튼을 누름), 투표 장소를 알아보러 들어간 사람도 0.26% 많았다. 그리고 실제로 투표를 하러 간 사람도 0.39% 많았다(‘투표 완료’ 버튼은 실제로 투표를 하지 않아도 누를 수 있다. 이에 연구팀은 실제 투표 기록을 통해 현실 투표 수를 ... ...
- 2012 뉴칼레도니아 탐사대 모집 썰렁홈즈 비밀퍼즐을 맞춰라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2호
- 퍼즐의 수수께끼가 모두 풀렸어! 뉴칼레도니아 탐사 초대장이었구나. 함께 맞춘 퍼즐 속 장소를 모두 갈 수 있대! 한국해양연구원 박흥식 박사님과 ‘SOS! 애니몽’ 홍승우 작가님, 섭섭박사님도 만날 수 있다니 난 꼭 갈꺼야~! 뉴칼레도니아에서는 어떤 사건이 날 기다리고 있을까? 흐흐흐~.도움 : ... ...
- Part 1. 응답하라 백두여우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왜 소백산으로 정했을까요. 인간들은 2010년에 오대산, 덕유산, 소백산 중 가장 적절한 장소를 조사했습니다. 제주도와 울릉도를 제외하고 한반도 전지역에서 여우가 살았던 만큼 비교적 중간에 있는 산을 고른 거지요. 쥐나 나무열매처럼 내가 먹을 먹이나, 동물을 잡는 올무나 인간처럼 여우를 ... ...
- 잊혀진 ‘삭금’의 고장, 김포 한강 하구과학동아 l2012년 11호
- 그렇다고 잘 찾아오지 않는 건 아니라고 말했다.“새는 귀소본능이 강해서 찾아오는 장소를 쉬이 바꾸지 않아요. 환경이 아무리 바뀌어도 마지막의 마지막까지 제자리를 찾아오죠. 그러다 도저히 못 오는 환경이 되면 그제서야 떠나요. 그러니까 새가 안 찾아온다는 건, 그 지역 생태계가 마지막에 ... ...
- 수학쌤의 이중생활 영화를 꿈꾸다!수학동아 l2012년 11호
- 촬영, 후반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사전 작업은 영화 기획부터 시나리오 작성, 콘티 작업, 장소 섭외, 스텝 구성, 장비 대여, 촬영 계획표 작성 등 촬영에 바로 들어갈 수 있도록 모든 준비를 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콘티작업이란, 영화의 모든 장면을 그림으로 그리는 것이다. 영화를 보는 사람은 ... ...
- 이상한 착시 나라의 앨리스수학동아 l2012년 11호
- 장소에 대물렌즈와 주름상자, 반투명 렌즈가 장착된 사진기를 설치한 다음 유리 위에 장소의 일부를 그대로 본떠 그린다. 완성된 유리그림을 다시 공간에 설치한 뒤 사진으로 찍으면 작품이 완성된다. 현실에서는 공존할 수 없는 서로 다른 차원을 포개어 가상의 공간으로 만드는 작업이라고 할 수 ... ...
- 죽음의 공포를 삭제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일종인 노출치료다. 트라우마를 겪었던 장소나 상황에 자꾸 노출시켜 환자에게 그 장소나 상황이 더 이상 트라우마를 주는 것이 아님을 인식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쓰면 대부분의 환자들이 상태가 좋아진다. 다만 부작용이 있는데, 치료 후에 줄어든 공포 기억이 갑자기 재발할 수 있으며, 그 ... ...
- 대한민국의 공기를 책임진다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북극은 유라시아 대륙에서 생기는 인위적인 에어로졸이 침범해 기후 변화를 일으키는 장소이기 때문이다.“북극에 가려고 다섯 번이나 비행기를 타고, 헬리콥터까지 타야 했습니다. 장비를 부치는 비용도 많이 들고요. 비행기가 연착하는 일이 잦아서 장비와 인력이 예정한 날짜에 딱 도착하면 ... ...
- Part 1. 미래 전장에 뛰어들다과학동아 l2012년 10호
- 확인할 수가 없다.”“유도는 저희가 하겠습니다.”“도착까지 약 8분. 최대한 탈출 장소로 이동하라.”또 한 발의 레일건 포탄이 어마어마한 폭발을 일으켰다. 건물 바로 옆이었다. 일부러 오조준을 해 위협사격을 가한 것이다. 나와 동료들은 건물을 빠져나와 달리기 시작했다. 길게 자란 풀 때문에 ... ...
- 세상을 확실히 끝내는 9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사피엔스. 이 종이 잘 걸리는 치명적이고 전염성이 강한 병원체를 만들어 슬쩍 사람 많은 장소에 흘리면 된다. 인수 공통 전염병이라면 더욱 좋다. 올초 과학계에서 이슈가 된 인공 바이러스가 독성만 더 강했더라면 이런 작전에 활용될 수 있었을 거다.게다가 인류는 2010년부터 전체 인구의 절반이 ... ...
이전9495969798991001011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