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치
공간
곳
현장
자리
스페이스
지면
d라이브러리
"
장소
"(으)로 총 2,635건 검색되었습니다.
[통계이야기 ] 미래 인기 직업, 인구통계로 밝힌다!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당연히 아픈 곳이 생기고, 은퇴 후 사는 삶이 늘어나기 때문에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장소
나 기회가 많이 필요합니다. 그러니 의사와 복지전문가가 촉망받을 겁니다. 또 노인과 젊은 사람 간의 갈등을 해결하는 관계전문가나, 은퇴 후 생활을 위한 자산전문가가 유망합니다. 이 직업은 2012년 10월 ... ...
우리나라 하늘에서 춤추는 UFO 웨이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날을 택해야 한다. 구름이 있어도 태양 주변에만 구름이 없다면 가능하다. 적절한 촬영
장소
는 태양이 중천에 떠 있을 때, 태양을 가릴 수 있는 천장 또는 지붕의 처마, 또는 다리 밑이다. 셔터속도는 1/2000초로 세팅한다.이제 삼각대에 카메라를 붙이고 줌인 상태에서 태양 주변의 밝은 코로나 주위를 ... ...
우주지도분쟁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지난해 기자는 앨런 튜링 100주년 기념 기사 취재차 영국 런던에 간 기회를 이용해 그리니치 천문대를 방문했다. 경도의 기준인 본초자오선이 지나는 ... 갖고 다른 세계에 착륙할 것이다. 우리도 언젠가는 다른 행성에 도착해 한국식 이름이 붙은
장소
를 찾아다니며 재미있어할지도 모른다 ... ...
만화에 기술을 담다 조남호엔지니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2호
여긴 스마트폰이나 가전제품을 만들기로 유명한 회사 사무실 아닌가요? 아무래도
장소
를 잘못 찾아온 것 같은데요. 흐음…. 네? 여기가 확실하다고요? 그럼 오늘 주인공은 이 회사에 근무하는 엔지니어? 즐거운 사무실을 찾아라!말이 끝나자마자 미션 쪽지 한 장을 받았어요. 쪽지에는 ‘즐거운 ... ...
떠나라! 해양 생태 탐사 뉴칼레도니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7호
확인하고 만져 보는 경험은 직접 해 보지 않고는 알 수 없는 기분이었어요.두 번째 탐사
장소
는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 탐사원들은 누메아에서 직접 요트를 타고 무인도를 찾아갔습니다. 잔뜩 기대하고 물속을 들어갈 때는 조금 실망했어요. ‘잘피’라고 부르는 바다풀이 마치 잔디처럼 ... ...
별이 빛나는 사량도 천문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4호
친구들이라면 요즘 걷기가 유행인 건 알고 있겠지? 제주도의 올레길처럼 걷기에 좋은
장소
나 길이 각 동네의 명소가 되고 있다고. 트레킹은 도보여행이 나 산과 들을 따라 걷는 걸 말해. 사량도를 한 바퀴 돌 수 있는 해안길(도로)이 트레킹으로 인기란다. 특히 아침이나 저녁엔 지나는 차도 적어 ... ...
Part 4. 검은 태양이 유혹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한꺼번에 몰려들었다. 원정대는 케언스에 도착해 숙소를 정하고 가까운 해변에 관측할
장소
를 둘러봤다. 그 사이 소나기가 두어 차례 지나갔다. 예상했던 대로 내일 아침 날씨가 그다지 좋지 않을 것이라는 예보를 확인했다. 확률이 높지는 않지만 일식을 볼 수 있기를 기원하면서 잠자리에 들었다.1 ... ...
인천국제고 Sci-Fac 과학동아 동아리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정독도서관으로 향했다. 일반인을 비롯해 초, 중, 고등학교 학생까지 많은 사람들이 강연
장소
를 가득 메웠다. 그 많은 사람 중에도 교복을 깔끔하게 입고 노트북을 꺼내 열심히 강연 내용을 기록하는 멋진 학생들이 눈에 띄었다. 바로 인천국제고 Sci-Fac 과학동아 동아리 학생들이었다. 서울 세륜초 ... ...
검은 황금 어디까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가스 추출 비율이 80~85%에 달하는 것과 비교해 앞으로 기술이 더욱 발달하면 새로운 매장
장소
를 확보하지 않아도 확정 매장량을 네 배 이상 늘릴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넓은 영토를 바탕으로 2000년대 들어 사우디아라비아를 제치고 최대 산유국으로 등장한 러시아가 셰일 가스를 전혀 발굴하지 ... ...
PART 1. 나는 왜 그 사람을 찍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사진을 본 집단이 찬성표를 던지는 비율이 높았다. 지금까지 대수롭지 않게 여겼던 투표
장소
가 무의식중에 우리에게 영향을 끼치고 있을 가능성을 보인 연구다.선택의 순간이 온다이제 선택의 순간이 돌아왔다. 아직 투표권이 없는 사람도 앞으로를 위해 대통령 후보의 면면을 잘 살펴보자.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